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 명의복지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의복지제 001


論론語어에 曰왈 君군子 不블以이紺감緅추로 飾식이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4:24ㄱ

論론語어에 로 君군子 주001)
군ᄌᆞ:
군자(君子). 여기서는 공자를 가리킨다. 〈해설〉 참조.
너무 주002)
너무:
너무. 넘-[踰, 過]+우(부사 파생 접미사).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너무’가 쓰였는데, 『내훈언헤』 이후에 ‘너모’가 쓰이기도 하였다. ¶①닐굽  너무 오라다〈월인석보 7:2ㄱ〉 ② 너모 어위여 게을오매 니르디 마롤디니라〈내훈 2:14ㄴ〉.
프르러 주003)
프르러:
푸르러. 프를-[靑, 碧]+어(연결 어미). 원순모음화 이전의 모습이다. ‘프르-, 프를-’이 공존하였는데,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프르-’가 쓰이고, ‘-어, -옴/움’ 등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프를-’이 쓰였다. ¶①綠 프르고 누를 씨오〈월인석보 25:20ㄱ〉 ②禁城엣  비치 새배 프르렛도다〈두시언해 6:3ㄴ〉. 소위 매개 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는 ‘누르-’가 쓰였는데, 이 사실은 매개 모음이 ‘첨가’된 요소임을 시사하는 점에서 흥미롭다. ¶대 이티 프르며 고지 이티 누르러〈법화경언해 1:148ㄴ〉. [黃]을 뜻하는 ‘누르-, 누를-’도 형태적인 특징 면에서 ‘프르-, 프를-’과 같다.
블근 주004)
블근:
붉은. 븕-[赤]+은(관형사형 어미).
주005)
빗:
빛. 빛→빗.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도 주006)
도ᄃᆞᆫ:
도드라진. 종래의 사전에서는 옛말 ‘돋다’의 의미를 낱말의 의미를 ‘돋다’로만 풀이하였는데, 여기서는 ‘드드라지다’를 뜻한다. 여기의 ‘도ᄃᆞᆫ’은 『소학집설』의 ‘揚’을 번역한 것이다. ‘너무 프르러 블근 빗 도ᄃᆞᆫ 것’은 『소학집설』의 주석과 부합하는데, 『소학언해』(3:21ㄱ)에서는 원문대로 ‘紺’으로 옮기고, 대신 ‘깁피 프르고 블근 빗 도ᄃᆞᆫ 거시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두 책의 이런 차이는 아주 일반적인 것이다.
것과  주007)
ᄇᆞᆯᄀᆞᆫ:
붉은. ᄇᆞᆰ-[赤]+ᄋᆞᆫ(관형사형 어미). ‘ᄇᆞᆰ-’은 [明]을 뜻하기도 하고 [赤, 丹]을 뜻하기도 한다. ¶브왠 저긔  미 허니(喪亂丹心破)〈두시언해 7:15ㄴ〉. 바로 앞에 ‘블근’이 나오는데, 여기서 ‘ᄇᆞᆯᄀᆞᆫ’을 쓴 것은 같은 낱말을 피하고자 함인 듯하다. 『소학언해』(3:21ㄱ)에서는 ‘블근’으로 바뀌었다.
거로 주008)
거ᄉᆞ로:
것으로. 것(의존 명사)+ᄋᆞ로(부사격 조사). ‘거스로’가 더 일반적이었다. 다음 예는 15세기 문헌의 예로서는 아주 드문 것이다. ¶殑伽神女 고 아닌 거로 香 마며〈능엄경언해 4:116ㄱ〉. 『소학언해』(3:21ㄱ)에서는 ‘거스로 ᄡᅥ’로 바뀌었다.
을 주009)
동져ᇰ을:
동정을. ‘도ᇰ져ᅌᅳᆯ’로 연철되지 않았다. ‘도ᇰ졍’은 한자어로는 ‘의준(衣純), 선(縇), 의연(衣緣)’이다. ‘純’은 여기서는 ‘준’으로 읽힌다. ‘도ᇰ져ᇰ을 아니ᄒᆞ시며’가 『소학언해』(3:21ㄱ)에서는 ‘옷깃 도로디 아니ᄒᆞ시며’로 바뀌었다.
아니시며 주010)
아니ᄒᆞ시며:
아니하시며. 원문 구결에서는 ‘-이러시다’로 문장을 종결하였는데, 언해문에서는 연결 형식을 사용하였다. 『소학언해』(3:21ㄱ)에서는 원문 구결도 ‘ᄒᆞ시며’로 끝나고 언해문도 ‘아니ᄒᆞ시며’로 끝난다. 이 책의 원문 구결이 부적절하다. 단순한 실수로 보인다. 한편 원문 ‘飾이러시다’에 쓰인 서술격 조사 어간 ‘이-’는 문장 전체를 명사적인 성격으로 간주하던 당시의 보편적인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논어』에서 이르되, 군자(君子)는 너무 푸르러 붉은 빛이 도드라지는 것과 붉은 것으로 동정을 달지 않으셨으며,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君子)는 공자(孔子)를 가리킨다. 감(紺)색은 짙은 청색이면서 붉은색이 드러나는 것이니, 재계(齋戒)할 때에 입는 옷이다. 추(緅)는 짙은 진홍색이니, 삼년상 때에 연복(練服)을 식(飾)하는 것이다. 식(飾)은 옷깃에 선(縇)을 두르는 것이다.”(朱子曰 君子謂孔子 紺深靑揚赤色 齊服也 緅絳色 三年之喪 以飾練服者 飾領緣也). ‘연(緣)’은 ‘의연(衣緣)’ 즉 ‘선(縇)’이다. 이 책(4:23ㄴ)의 ‘편ᄌᆞ’에 대한 어석을 참조할 것. 연복(練服)은 소상(小祥) 뒤부터 대상(大祥)까지 입는 상복(喪服)이다. 연제복(練祭服)이라고도 한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군ᄌᆞ:군자(君子). 여기서는 공자를 가리킨다. 〈해설〉 참조.
주002)
너무:너무. 넘-[踰, 過]+우(부사 파생 접미사).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너무’가 쓰였는데, 『내훈언헤』 이후에 ‘너모’가 쓰이기도 하였다. ¶①닐굽  너무 오라다〈월인석보 7:2ㄱ〉 ② 너모 어위여 게을오매 니르디 마롤디니라〈내훈 2:14ㄴ〉.
주003)
프르러:푸르러. 프를-[靑, 碧]+어(연결 어미). 원순모음화 이전의 모습이다. ‘프르-, 프를-’이 공존하였는데,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프르-’가 쓰이고, ‘-어, -옴/움’ 등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프를-’이 쓰였다. ¶①綠 프르고 누를 씨오〈월인석보 25:20ㄱ〉 ②禁城엣  비치 새배 프르렛도다〈두시언해 6:3ㄴ〉. 소위 매개 모음을 가진 어미 앞에서는 ‘누르-’가 쓰였는데, 이 사실은 매개 모음이 ‘첨가’된 요소임을 시사하는 점에서 흥미롭다. ¶대 이티 프르며 고지 이티 누르러〈법화경언해 1:148ㄴ〉. [黃]을 뜻하는 ‘누르-, 누를-’도 형태적인 특징 면에서 ‘프르-, 프를-’과 같다.
주004)
블근:붉은. 븕-[赤]+은(관형사형 어미).
주005)
빗:빛. 빛→빗.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주006)
도ᄃᆞᆫ:도드라진. 종래의 사전에서는 옛말 ‘돋다’의 의미를 낱말의 의미를 ‘돋다’로만 풀이하였는데, 여기서는 ‘드드라지다’를 뜻한다. 여기의 ‘도ᄃᆞᆫ’은 『소학집설』의 ‘揚’을 번역한 것이다. ‘너무 프르러 블근 빗 도ᄃᆞᆫ 것’은 『소학집설』의 주석과 부합하는데, 『소학언해』(3:21ㄱ)에서는 원문대로 ‘紺’으로 옮기고, 대신 ‘깁피 프르고 블근 빗 도ᄃᆞᆫ 거시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두 책의 이런 차이는 아주 일반적인 것이다.
주007)
ᄇᆞᆯᄀᆞᆫ:붉은. ᄇᆞᆰ-[赤]+ᄋᆞᆫ(관형사형 어미). ‘ᄇᆞᆰ-’은 [明]을 뜻하기도 하고 [赤, 丹]을 뜻하기도 한다. ¶브왠 저긔  미 허니(喪亂丹心破)〈두시언해 7:15ㄴ〉. 바로 앞에 ‘블근’이 나오는데, 여기서 ‘ᄇᆞᆯᄀᆞᆫ’을 쓴 것은 같은 낱말을 피하고자 함인 듯하다. 『소학언해』(3:21ㄱ)에서는 ‘블근’으로 바뀌었다.
주008)
거ᄉᆞ로:것으로. 것(의존 명사)+ᄋᆞ로(부사격 조사). ‘거스로’가 더 일반적이었다. 다음 예는 15세기 문헌의 예로서는 아주 드문 것이다. ¶殑伽神女 고 아닌 거로 香 마며〈능엄경언해 4:116ㄱ〉. 『소학언해』(3:21ㄱ)에서는 ‘거스로 ᄡᅥ’로 바뀌었다.
주009)
동져ᇰ을:동정을. ‘도ᇰ져ᅌᅳᆯ’로 연철되지 않았다. ‘도ᇰ졍’은 한자어로는 ‘의준(衣純), 선(縇), 의연(衣緣)’이다. ‘純’은 여기서는 ‘준’으로 읽힌다. ‘도ᇰ져ᇰ을 아니ᄒᆞ시며’가 『소학언해』(3:21ㄱ)에서는 ‘옷깃 도로디 아니ᄒᆞ시며’로 바뀌었다.
주010)
아니ᄒᆞ시며:아니하시며. 원문 구결에서는 ‘-이러시다’로 문장을 종결하였는데, 언해문에서는 연결 형식을 사용하였다. 『소학언해』(3:21ㄱ)에서는 원문 구결도 ‘ᄒᆞ시며’로 끝나고 언해문도 ‘아니ᄒᆞ시며’로 끝난다. 이 책의 원문 구결이 부적절하다. 단순한 실수로 보인다. 한편 원문 ‘飾이러시다’에 쓰인 서술격 조사 어간 ‘이-’는 문장 전체를 명사적인 성격으로 간주하던 당시의 보편적인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