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論론語어에 曰왈 車거中에 不블內顧고며 不블疾질言언며 不블親친指지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論론語어에 로 주001)
ᄀᆞ로ᄃᆡ:
말하되. 가로대. ᄀᆞᆮ-[曰]+오ᄃᆡ(연결 어미).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슬윗 주002)
슬윗:
수레의. ‘술윗’의 오각이다. 『소학언해』(3:13ㄱ)에서는 ‘술윗’으로 나타난다. 이 책에서도 ‘술윗’이 보인다(4:18ㄱ). 술위[車]+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가온셔 주003)
가온ᄃᆡ셔:
가운데에서. 가온ᄃᆡ[中]+ᄋᆡ셔(부사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뒤에서 부사격 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ᄋᆡ셔’는 ‘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가온ᄃᆡ’는 ‘가ᄫᆞᆫᄃᆡ’의 발달형이다.
돌보디 주004)
돌보디:
둘러보지. 돌-[回]+보-[見]+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돌보다’에는 ‘돌아보다(둘러보다), 보살피다’ 두 가지 뜻이 있다. ¶①모로매 기 야  드러 돌보디 말며 코 조 거 깃거고〈계초심학인문 6ㄴ〉 ②扶助他 뎌를 돌보다〈역어유해 하 52ㄴ〉. 비통사적 합성어 ‘돌보다’와 형태 면에서 짝을 이루는 ‘도라보다’ 역시 동일한 두 가지 뜻이 있다. ¶①그 王子ㅣ  네 가라 드러늘 王이 도라보고 上座 닐오〈석보상절 24:47ㄴ〉 ②이 大士ㅣ 목숨 도라보디 아니샤 보고 모다 다 려와 虛空애 야 이셔 우니 므리 한 비 더니〈월인석보 7:54-3ㄱ〉.
말며 주005)
말며:
말며. ‘不’을 ‘말-’로 번역하였다. ‘顧’의 주체를 이 책에서는 독자로 보았는데, 『소학언해』(3:13ㄱ)에서는 ‘顧’의 주체를 공자(孔子)로 보았다. 〈해설〉 참조.
말 리 말며 손 주006)
손ᅀᅩ:
손수. 스스로. ‘손조’로 변하기도 하였다. 손[手]+ᅀᅩ(접미사). ¶그 가시 손조 브즈러니 싀어미 이바며〈삼강행실도 동경대본 열녀 8ㄱ〉. ‘몸소’를 뜻하는 ‘몸ᅀᅩ’에도 접미사 ‘-ᅀᅩ’가 쓰였다.
치디 주007)
ᄀᆞᄅᆞ치디:
가리키지. ᄀᆞᄅᆞ치-[指]+디. 중세 국어의 ‘치다’에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가 다 있었다. ¶①訓民正音은 百姓 치시논 正 소리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右手左手로 天地 치샤 오 내 尊호라〈월인천강지곡 20〉. 현대 국어에서는 표준어 규정과는 무관하게 실제로는 ‘가르키다(가리키다)’가 두 가지 의미를 다 나타내는 말로 쓰이고 있는데, 이 현상의 근본적 원인은 두 가지 의미가 서로 무관하지 않다는 데 있을 것이다.
마롤 디니라 주008)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 국어에서는 ‘말다’의 어간 ‘말-’과 관형사형 어미 ‘-을’이 결합하면 ‘말’이 되는데, 여기서는 ‘말-’과 ‘-올’이 결합하여 ‘마롤’이 되었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그러나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손 치디 마롤 디니라’가 『소학언해』(3:13ㄱ)에서는 ‘親히 ᄀᆞᄅᆞ치디 아니ᄒᆞ더시다’로 바뀌었다. 〈해설〉 참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논어』에서 이르되, 수레의 가운데에서 (수레 안을) 둘러보지 말며, 말을 빨리 하지 말며, 몸소 가리키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내고(內顧)는 둘러보는 것이다. 『예기』에서 이르기를, ‘둘러보는 것은 수레바퀴를 넘어가지 않는다.’고 하였다. 세 가지는 모두 몸짓의 품위를 잃는 행동이고 남으로 하여금 의혹하게 한다.”(朱子曰 內顧回視也 禮曰顧不過轂 三者皆失容且惑人). 수레를 탈 때의 세 가지 품위 없는 행동을 경계하고 있는 것으로 읽힌다. 그런데 『소학언해』(3:13ㄱ)에서는 이 대목이 ‘ ~親히 ᄀᆞᄅᆞ치디 아니ᄒᆞ더시다’로 끝난다. 높임의 선어말 어미 ‘-시-’를 쓴 것은 이 대목에 나타난 세 가지 행위를 수레를 탈 때의 공자(孔子)의 품위 있는 모습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오류를 『소학언해』에서 바로잡은 것이다. 『논어』 「향당편(鄕黨篇)」에서는 이 내용의 바로 앞에 ‘수레를 타시면 반드시 바로 서서 고삐를 잡으셨다(升車 必正立 執綏)’란 내용이 실려 있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ᄀᆞ로ᄃᆡ:말하되. 가로대. ᄀᆞᆮ-[曰]+오ᄃᆡ(연결 어미).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주002)
슬윗:수레의. ‘술윗’의 오각이다. 『소학언해』(3:13ㄱ)에서는 ‘술윗’으로 나타난다. 이 책에서도 ‘술윗’이 보인다(4:18ㄱ). 술위[車]+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3)
가온ᄃᆡ셔:가운데에서. 가온ᄃᆡ[中]+ᄋᆡ셔(부사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뒤에서 부사격 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ᄋᆡ셔’는 ‘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가온ᄃᆡ’는 ‘가ᄫᆞᆫᄃᆡ’의 발달형이다.
주004)
돌보디:둘러보지. 돌-[回]+보-[見]+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돌보다’에는 ‘돌아보다(둘러보다), 보살피다’ 두 가지 뜻이 있다. ¶①모로매 기 야  드러 돌보디 말며 코 조 거 깃거고〈계초심학인문 6ㄴ〉 ②扶助他 뎌를 돌보다〈역어유해 하 52ㄴ〉. 비통사적 합성어 ‘돌보다’와 형태 면에서 짝을 이루는 ‘도라보다’ 역시 동일한 두 가지 뜻이 있다. ¶①그 王子ㅣ  네 가라 드러늘 王이 도라보고 上座 닐오〈석보상절 24:47ㄴ〉 ②이 大士ㅣ 목숨 도라보디 아니샤 보고 모다 다 려와 虛空애 야 이셔 우니 므리 한 비 더니〈월인석보 7:54-3ㄱ〉.
주005)
말며:말며. ‘不’을 ‘말-’로 번역하였다. ‘顧’의 주체를 이 책에서는 독자로 보았는데, 『소학언해』(3:13ㄱ)에서는 ‘顧’의 주체를 공자(孔子)로 보았다. 〈해설〉 참조.
주006)
손ᅀᅩ:손수. 스스로. ‘손조’로 변하기도 하였다. 손[手]+ᅀᅩ(접미사). ¶그 가시 손조 브즈러니 싀어미 이바며〈삼강행실도 동경대본 열녀 8ㄱ〉. ‘몸소’를 뜻하는 ‘몸ᅀᅩ’에도 접미사 ‘-ᅀᅩ’가 쓰였다.
주007)
ᄀᆞᄅᆞ치디:가리키지. ᄀᆞᄅᆞ치-[指]+디. 중세 국어의 ‘치다’에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가 다 있었다. ¶①訓民正音은 百姓 치시논 正 소리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右手左手로 天地 치샤 오 내 尊호라〈월인천강지곡 20〉. 현대 국어에서는 표준어 규정과는 무관하게 실제로는 ‘가르키다(가리키다)’가 두 가지 의미를 다 나타내는 말로 쓰이고 있는데, 이 현상의 근본적 원인은 두 가지 의미가 서로 무관하지 않다는 데 있을 것이다.
주008)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 국어에서는 ‘말다’의 어간 ‘말-’과 관형사형 어미 ‘-을’이 결합하면 ‘말’이 되는데, 여기서는 ‘말-’과 ‘-올’이 결합하여 ‘마롤’이 되었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그러나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손 치디 마롤 디니라’가 『소학언해』(3:13ㄱ)에서는 ‘親히 ᄀᆞᄅᆞ치디 아니ᄒᆞ더시다’로 바뀌었다. 〈해설〉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