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 명음식지절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음식지절 001


毋모摶단飯반며 毋모放방飯반며 毋모流류歠텰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다두드리디 주001)
다두드리디:
뭉치지. 다두드리-[摶(뭉칠 단)]+디(보조적 연결 어미). ‘다두드리다’는 종래의 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 다른 용례가 보이지 않는다. ‘다디르다/다디ᄅᆞ다(=들이받다, 내지르다)’의 ‘디르다/디ᄅᆞ다’가 [打]를 뜻하는 동사이므로 ‘다’는 이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 동사의 어간이거나 활용형일 가능성이 크다. ‘어떤 물체를 둔탁한 것으로 치는 행위’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듯하다. 현대 국어 ‘다듬다’의 ‘다’와도 무관하지 않을 듯하다. 『소학언해』(3:23ㄱ)에서는 ‘무ᇰ킈디’로 바뀌었다.
말며 주002)
말며:
말며. 원문에서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23ㄱ)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바블 크게  먹디 말며 소리 주003)
소리:
소리. 원문에 없는 말이다. ‘毋流歠’을 이 책에서는 ‘소리 내 마시디 말며’로 번역하였고, 『소학언해』(3:23ㄱ)에서는 ‘흘리 마시디 말며’로 번역하였다. 위 주석에서는 ‘유철(流歠)’은 ‘길게 마심(長飮)’을 뜻한다고 보았으니, 모두 다르게 보고 있는 것이다.
주004)
내:
내어. 나-[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마시디 말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밥을 뭉치지 말며, 밥을 크게 떠먹지 말며, 소리 내어 마시지 말며,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해) : 밥을 뜨면서 뭉치면 많이 가져오기가 쉬우니, 이는 배부름을 다투고자 하는 것이다. 방반(放飯)은 밥을 크게 뜨는 것이고, 유철(流歠)은 길게 마시는 것이다.(取飯作摶 則易得多 是欲爭飽也 放飯大飯也 流歠長飮也). 이 대목의 내용은 한 그릇에 담긴 밥을 여러 사람이 같이 먹던 문화를 배경으로 한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두드리디:뭉치지. 다두드리-[摶(뭉칠 단)]+디(보조적 연결 어미). ‘다두드리다’는 종래의 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 다른 용례가 보이지 않는다. ‘다디르다/다디ᄅᆞ다(=들이받다, 내지르다)’의 ‘디르다/디ᄅᆞ다’가 [打]를 뜻하는 동사이므로 ‘다’는 이와 관련된 의미를 지닌 동사의 어간이거나 활용형일 가능성이 크다. ‘어떤 물체를 둔탁한 것으로 치는 행위’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듯하다. 현대 국어 ‘다듬다’의 ‘다’와도 무관하지 않을 듯하다. 『소학언해』(3:23ㄱ)에서는 ‘무ᇰ킈디’로 바뀌었다.
주002)
말며:말며. 원문에서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23ㄱ)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03)
소리:소리. 원문에 없는 말이다. ‘毋流歠’을 이 책에서는 ‘소리 내 마시디 말며’로 번역하였고, 『소학언해』(3:23ㄱ)에서는 ‘흘리 마시디 말며’로 번역하였다. 위 주석에서는 ‘유철(流歠)’은 ‘길게 마심(長飮)’을 뜻한다고 보았으니, 모두 다르게 보고 있는 것이다.
주004)
내:내어. 나-[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