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 명의복지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의복지제 001


孔子 羔고裘구玄현冠관으로 不블以이弔됴ㅣ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孔子 거믄 여믜 주001)
여믜:
염소의. 염[羔]+의(관형격 조사). 주석의 ‘양(羊)’도 ‘염소’를 가리킨다.
갓옷 주002)
갓옷:
가죽옷. 갖[皮]+옷[衣]. ‘갖’이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갓’으로 적힌 것이다.
과 거믄 곳갈로 주003)
ᄡᅥ:
‘’는 [用]을 뜻하는 ‘ᄡᅳ-’의 활용형인 ‘ᄡᅥ’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수단]이나 [도구]를 뜻하는 부사격 조사 ‘로’ 뒤에 쓰여서 복합 조사처럼 쓰이기도 하지만, 연결 어미 뒤에 쓰이기도 하고 부사 뒤에 쓰이기도 하므로 중세 국어에서는 완전한 조사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①이 眞實ㅅ 信 내요미니  法相 업슨 젼라〈금강경삼가해 4:39ㄴ〉 ②우리도 받  敎化 여루리라〈월인석보 25:3ㄱ〉 ③마 體 업수 알면 엇뎨  매 너기료〈능엄경언해 2:84ㄱ〉. ‘ᄡᅥ’는 다음과 같이 동사적 성격과 명사적 성격을 다 지닌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시혹 일후믈 金剛般若波羅蜜經이라 며 시혹 일후믈 摩訶般若波羅蜜經이라 논 그 디 이 시니라〈금강경삼가해〉. 부사격 조사 ‘로’와 ‘ᄡᅥ’가 바로 결합한 ‘로 ᄡᅥ’ 중에는 복합조사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여기의 ‘로 ᄡᅥ’는 그럴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원문의 ‘不以’ 때문이다. ‘ᄡᅥ’는 ‘以’를 번역한 것인데, 구결 달린 원문의 ‘(羔裘玄冠)으로’와 ‘以(ᄡᅥ)’ 사이에 ‘不’이 개입하고 있어서 조사 ‘으로써’로 번역하기보다는 ‘부사격 조사+부사’ 구조의 ‘으로 써’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됴 주004)
됴사ᇰ:
조상(弔喪). 조문(弔問).
아니더시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공자께서는 검은 염소 가죽옷과 검은 관(冠) 차림으로써 조문(弔問)하지 않으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양구(羊裘)는 검은 염소의 가죽을 사용하여 만든 것이다. 현(玄)은 검정색이다.”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상사(喪事)에서는 흰 색을 주로 쓰고, 길(吉)한 일일 때에는 검정색을 주로 하니, 조문을 할 때에 옷을 바꿔 입는 것은 죽음을 애도하기 위함이다.”(陳氏曰 羊裘 用黑羊皮爲之 玄黑色 朱子曰 喪主素 吉主玄 弔必變服 所以哀死). 진씨(陳氏)는 『소학증주(小學增註)』를 저술한 진선(陳選)으로 보인다. 진호(陳澔)의 저술에서는 이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믜:염소의. 염[羔]+의(관형격 조사). 주석의 ‘양(羊)’도 ‘염소’를 가리킨다.
주002)
갓옷:가죽옷. 갖[皮]+옷[衣]. ‘갖’이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갓’으로 적힌 것이다.
주003)
ᄡᅥ:‘’는 [用]을 뜻하는 ‘ᄡᅳ-’의 활용형인 ‘ᄡᅥ’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수단]이나 [도구]를 뜻하는 부사격 조사 ‘로’ 뒤에 쓰여서 복합 조사처럼 쓰이기도 하지만, 연결 어미 뒤에 쓰이기도 하고 부사 뒤에 쓰이기도 하므로 중세 국어에서는 완전한 조사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①이 眞實ㅅ 信 내요미니  法相 업슨 젼라〈금강경삼가해 4:39ㄴ〉 ②우리도 받  敎化 여루리라〈월인석보 25:3ㄱ〉 ③마 體 업수 알면 엇뎨  매 너기료〈능엄경언해 2:84ㄱ〉. ‘ᄡᅥ’는 다음과 같이 동사적 성격과 명사적 성격을 다 지닌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시혹 일후믈 金剛般若波羅蜜經이라 며 시혹 일후믈 摩訶般若波羅蜜經이라 논 그 디 이 시니라〈금강경삼가해〉. 부사격 조사 ‘로’와 ‘ᄡᅥ’가 바로 결합한 ‘로 ᄡᅥ’ 중에는 복합조사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것들이 많다. 그러나 여기의 ‘로 ᄡᅥ’는 그럴 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원문의 ‘不以’ 때문이다. ‘ᄡᅥ’는 ‘以’를 번역한 것인데, 구결 달린 원문의 ‘(羔裘玄冠)으로’와 ‘以(ᄡᅥ)’ 사이에 ‘不’이 개입하고 있어서 조사 ‘으로써’로 번역하기보다는 ‘부사격 조사+부사’ 구조의 ‘으로 써’로 번역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주004)
됴사ᇰ:조상(弔喪). 조문(弔問).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