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禮례記긔예 曰왈 君군子之지容은 舒셔遲디니 見견所소尊존者쟈고 齊遫속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禮례記긔예 로 주001)
ᄀᆞ로ᄃᆡ:
말하되. 가로대. ᄀᆞᆮ-[曰]+오ᄃᆡ(연결 어미).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어딘 주002)
어딘:
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善,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어딘 사ᄅᆞ믜’가 『소학언해』(3:11ㄴ)에서는 원문 그대로 ‘君子의’로 바뀌었다.
사믜 주003)
사ᄅᆞ믜:
사람의. 사ᄅᆞᆷ+의(관형격 조사). 이 책에는 ‘사ᄅᆞᄆᆡ’도 쓰였다(3:45ㄴ). ‘사ᄅᆞᆷ’은 ‘살다’에서 파생된 명사로서, ‘살다’의 명사형 ‘사롬’과 구별된다. 서술어가 명사형이거나 관형사형이면 주격 조사 위치에 관형격 조사가 쓰인다.
거 주004)
거도ᇰ:
거동(擧動). 원문은 ‘容’이다. 『소학언해』(3:11ㄴ)에서는 ‘모야ᇰ’으로 바뀌었다.
니 주005)
ᄌᆞᄂᆞᆨᄌᆞᄂᆞᆨᄒᆞ니:
조용조용하니.
고마온 주006)
고마온:
존귀한. 고맙-[尊貴](형용사 어간)+ᄋᆞᆫ(관형사형 어미). 고마ᄫᆞᆫ〉고마온. ‘고마ᄒᆞ다’는 동사로서 ‘공경하다’를 뜻한다. 형용사 어간 ‘고맙-’은 동사 어간 ‘고마ᄒᆞ-’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ㅂ-’이 결합한 ‘고마ᄒᆞᆸ-’이 축약된 것으로 보인다.
사 주007)
사ᄅᆞᄆᆞᆯ:
사람을. 『소학언해』(3:11ㄴ)에서는 ‘바ᄅᆞᆯ’로 바뀌었는데, 원문의 ‘所’의 대표훈(代表訓)에 이끌린 번역으로 보인다.
보고  주008)
고ᇰ겨ᇰ:
공경(恭敬). 원문의 ‘齊’를 번역한 것이다. ‘齊’는 ‘공경함, 삼감’을 뜻할 때에는 이 책과 같이 ‘ᄌᆡ’로 읽히거나 ‘재’로 읽힌다. ¶齊 ᄀᆞᄌᆞᆨ 졔〈유합 하 59ㄴ〉 재계할 재〈신자전 4:54ㄴ〉.
야 조심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예기』에서 이르되, 어진 사람의 거동은 조용조용하니, 존귀한 사람을 보고는 공경하여 조심하느니라.
〈해설〉 출전 : 예기 옥조(玉藻). 주석(소학집해)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서지(舒遲)는 여유가 있는 모양이다. 재(齊)는 기기재율(夔夔齊慄: 삼가고 공경하며 두려워함)의 ‘재(齊)’와 같고, 칙(遫)은 삼가 함부로 행하지 않음을 말한 것이니, 존귀한 사람을 보면 더욱 삼간다.”(陳氏曰 舒遲閑雅之貌 齊如夔夔齊慄之齊 遫者謹而不放之謂 見所尊者則加敬). ‘齊’는 ‘공경함’을 뜻할 때에는 ‘재’로 읽힌다. 진씨(陳氏)는 『예기집설(禮記集說)』을 저술한 진호(陳澔)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ᄀᆞ로ᄃᆡ:말하되. 가로대. ᄀᆞᆮ-[曰]+오ᄃᆡ(연결 어미).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주002)
어딘: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善,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어딘 사ᄅᆞ믜’가 『소학언해』(3:11ㄴ)에서는 원문 그대로 ‘君子의’로 바뀌었다.
주003)
사ᄅᆞ믜:사람의. 사ᄅᆞᆷ+의(관형격 조사). 이 책에는 ‘사ᄅᆞᄆᆡ’도 쓰였다(3:45ㄴ). ‘사ᄅᆞᆷ’은 ‘살다’에서 파생된 명사로서, ‘살다’의 명사형 ‘사롬’과 구별된다. 서술어가 명사형이거나 관형사형이면 주격 조사 위치에 관형격 조사가 쓰인다.
주004)
거도ᇰ:거동(擧動). 원문은 ‘容’이다. 『소학언해』(3:11ㄴ)에서는 ‘모야ᇰ’으로 바뀌었다.
주005)
ᄌᆞᄂᆞᆨᄌᆞᄂᆞᆨᄒᆞ니:조용조용하니.
주006)
고마온:존귀한. 고맙-[尊貴](형용사 어간)+ᄋᆞᆫ(관형사형 어미). 고마ᄫᆞᆫ〉고마온. ‘고마ᄒᆞ다’는 동사로서 ‘공경하다’를 뜻한다. 형용사 어간 ‘고맙-’은 동사 어간 ‘고마ᄒᆞ-’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ㅂ-’이 결합한 ‘고마ᄒᆞᆸ-’이 축약된 것으로 보인다.
주007)
사ᄅᆞᄆᆞᆯ:사람을. 『소학언해』(3:11ㄴ)에서는 ‘바ᄅᆞᆯ’로 바뀌었는데, 원문의 ‘所’의 대표훈(代表訓)에 이끌린 번역으로 보인다.
주008)
고ᇰ겨ᇰ:공경(恭敬). 원문의 ‘齊’를 번역한 것이다. ‘齊’는 ‘공경함, 삼감’을 뜻할 때에는 이 책과 같이 ‘ᄌᆡ’로 읽히거나 ‘재’로 읽힌다. ¶齊 ᄀᆞᄌᆞᆨ 졔〈유합 하 59ㄴ〉 재계할 재〈신자전 4:54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