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禮례記긔예 曰왈 古고之지君군子 必필佩패玉옥더니 右우徵티角각며 左좌宮羽우

번역소학 권4:20ㄱ

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禮례記긔예 로 주001)
녯:
옛. 녜[昔]+ㅅ(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 ‘ㅅ’은 무정 명사 또는 높임의 대상인 유정 명사 뒤에 쓰였다. 『소학언해』(3:17ㄴ)에서는 ‘녜’로 바뀌었다.
군 주002)
군ᄌᆞ:
군자(君子). 『국어(國語)』 「노어(魯語) 상편(上篇)」에는 “군자는 다스리기에 힘쓰고 소인은 노동에 힘쓴다.(君子務治 小人務力)”라는 조귀(曹劌)의 말이 기록되어 있다. ‘군자’는 당시의 통치 계급을 가리키고 ‘소인’은 육체 노동에 종사하던 사람들을 가리킨다. 춘추 말년 이후 군자는 점차 도덕 수양을 갖춘 사람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예기』(곡례편)에는 “많은 지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겸손하고, 선한 행동에 힘쓰면서 방자하지 않은 사람을 군자라고 한다.(博聞强識而讓 敦善行而不怠 謂之君子)”라고 적혀 있다(다음백과).
모로매 주003)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7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옥을 더니 주004)
ᄎᆞ더니:
찼는데. 『소학언해』(3:17ㄴ)에서는 ‘ᄎᆞ니’로 바뀌었다.
올녀긘 주005)
올ᄒᆞᆫ녀긘:
오른쪽에는. 올ᄒᆞᆫ[右]+녁[方]+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소학언해』(3:17ㄴ)에서는 ‘올ᄒᆞᆫ녁킈ᄂᆞᆫ’으로 바뀌었다. ‘녁’은 ‘녁ㅎ, 녁ㅋ’으로 바뀌었는데, 『번역소학』에도 ‘녁ㅎ’의 예가 보인다. ¶范益謙 안잣 올 녁희 계 그를 서 닐어슈〈번역소학 8:21ㄱ〉.
徵티ㅅ 주006)
티ㅅ:
치(徵)의. ‘ㅅ’은 관형격 조사이다. 모음으로 끝난 ‘티(徵), 우(羽)’에만 ‘ㅅ’이 붙은 것을 볼 수 있다.
소리와 角각 소리예 주007)
소리예:
소리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맛게 주008)
맛게:
맞게. 맞-[合]+게(연결 어미). ‘맞-’이 ‘맛-’으로 적힌 것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중세 국어에서 ‘-게’와 ‘-긔’는 구별되지 않고 쓰인 듯하다. ¶①一切 外道 얽요 버서나게 호리니〈석보상절 9:8ㄱ〉 ②내 福德威神力으로 一切 受苦 다 버서나긔 호리라〈석보상절 9:9ㄱ〉. 『월인석보』에서도 『석보상절』과 같이 이 둘이 혼용되고 있으나, 『월인석보』를 편찬할 때에 새로 집필한 「월인석보 서」에서는 ‘-게’만이 나타난다. ¶菩薩이 큰 慈悲로  너비 救샤 다 버서나게 실〈월인석보 8:16ㄴ〉.
고 왼녀긘 宮 소리와 羽우ㅅ 소리예 맛게 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예기』에서 이르되, 옛 군자(君子)는 모름지기 옥(玉)을 찼으니, 오른쪽에서는 치(徵) 소리와 각(角) 소리에 맞게 하고, 왼쪽에서는 궁(宮) 소리와 우(羽) 소리에 맞게 하여,
〈해설〉 출전 : 예기 옥조(玉藻). 주석(소학집해)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치각궁우(徵角宮羽)는 옥 소리로써 말에다 맞춘 것이다. 치(徵)는 일(事)이고 각(角)은 백성이다. 그러므로 오른쪽에 있으니, 오른쪽은 움직이는 곳이다. 궁(宮)은 임금이고 우(羽)는 물건이니, 임금의 도(道)는 고요하여야 하고 물(物)의 도(道)는 쌓여야 한다. 그러므로 왼쪽에 있으니, 왼쪽은 일이 없는 곳이다. 상(商)을 말하지 않은 것은 (상이) 서방(西方)의 숙살(肅殺: 날씨가 추워져 초목을 죽게 함)하는 소리이니, 그 때문에 뺀 듯하다.”(陳氏曰 徵角宮羽 以玉聲所中言也 徵爲事 角爲民 故在右 右爲動作之方也 宮爲君 羽爲物 君道宜靜 物道宜積 故在左 左乃無事之方也 不言商者 或以西方肅殺之音 故遺之歟). 진씨(陳氏)는 『예기집설(禮記集說)』을 저술한 진호(陳澔)이다. 숙살(肅殺)은 날씨가 추워져 초목을 죽이는 것을 말한다. 궁(宮)은 토(土)로서 중앙에 해당하고, 상(商)은 금(金)으로서 서방(西方)에 해당하고, 각(角)은 목(木)으로서 동방(東方)에 해당하고, 치(徵)는 화(火)로서 남방(南方)에 해당하고, 우(羽)는 수(水)로 북방(北方)에 해당한다.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 중 ‘상(商)’만이 빠진 것은 ‘상’이 오행(五行)에서는 안 좋은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하고 추측한 것이다. 성백효(1993:193)와 이충구 외(1993a:230) 참조. 한편 이충구 외(2019a:234)에 『소학집성(小學集成)』 「권수(卷首)」 ‘소학서도목(小學書圖目)’ 5ㄱ에 실린 ‘삼가관도(三加冠圖)’가 수록되어 있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녯:옛. 녜[昔]+ㅅ(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 ‘ㅅ’은 무정 명사 또는 높임의 대상인 유정 명사 뒤에 쓰였다. 『소학언해』(3:17ㄴ)에서는 ‘녜’로 바뀌었다.
주002)
군ᄌᆞ:군자(君子). 『국어(國語)』 「노어(魯語) 상편(上篇)」에는 “군자는 다스리기에 힘쓰고 소인은 노동에 힘쓴다.(君子務治 小人務力)”라는 조귀(曹劌)의 말이 기록되어 있다. ‘군자’는 당시의 통치 계급을 가리키고 ‘소인’은 육체 노동에 종사하던 사람들을 가리킨다. 춘추 말년 이후 군자는 점차 도덕 수양을 갖춘 사람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예기』(곡례편)에는 “많은 지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겸손하고, 선한 행동에 힘쓰면서 방자하지 않은 사람을 군자라고 한다.(博聞强識而讓 敦善行而不怠 謂之君子)”라고 적혀 있다(다음백과).
주003)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7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4)
ᄎᆞ더니:찼는데. 『소학언해』(3:17ㄴ)에서는 ‘ᄎᆞ니’로 바뀌었다.
주005)
올ᄒᆞᆫ녀긘:오른쪽에는. 올ᄒᆞᆫ[右]+녁[方]+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ㄴ(보조사). 『소학언해』(3:17ㄴ)에서는 ‘올ᄒᆞᆫ녁킈ᄂᆞᆫ’으로 바뀌었다. ‘녁’은 ‘녁ㅎ, 녁ㅋ’으로 바뀌었는데, 『번역소학』에도 ‘녁ㅎ’의 예가 보인다. ¶范益謙 안잣 올 녁희 계 그를 서 닐어슈〈번역소학 8:21ㄱ〉.
주006)
티ㅅ:치(徵)의. ‘ㅅ’은 관형격 조사이다. 모음으로 끝난 ‘티(徵), 우(羽)’에만 ‘ㅅ’이 붙은 것을 볼 수 있다.
주007)
소리예:소리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주008)
맛게:맞게. 맞-[合]+게(연결 어미). ‘맞-’이 ‘맛-’으로 적힌 것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중세 국어에서 ‘-게’와 ‘-긔’는 구별되지 않고 쓰인 듯하다. ¶①一切 外道 얽요 버서나게 호리니〈석보상절 9:8ㄱ〉 ②내 福德威神力으로 一切 受苦 다 버서나긔 호리라〈석보상절 9:9ㄱ〉. 『월인석보』에서도 『석보상절』과 같이 이 둘이 혼용되고 있으나, 『월인석보』를 편찬할 때에 새로 집필한 「월인석보 서」에서는 ‘-게’만이 나타난다. ¶菩薩이 큰 慈悲로  너비 救샤 다 버서나게 실〈월인석보 8:16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