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 명의복지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의복지제 001


紅紫로 不블以이爲위褻셜服복이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분 주001)
분호ᇰ:
분홍(粉紅). 하얀빛을 띤 엷은 붉은색이다. 『소학집설』에서 이를 간색(間色)이라 하였다.
디 주002)
ᄌᆞ디:
자주(紫朱). 한자어 ‘紫的’에서 온 차용어(借用語)이다. ¶金紫 디 긴  印이라〈삼강행실도 런던 충 13〉. 후대에 구개음화하여 ‘ᄌᆞ지’로 변하게 된다.
녯 주003)
샹녯:
평상(平常)의. 샤ᇰ녜(常例)+ㅅ(관형격 조사). ‘샤ᇰ녜’는 한자어이지만 언제나 한글로 적혔다. 16세기에 ‘샹해’가 나타난다. ¶네 반시 이 보리심을 해 브즈러니 렴야 가져셔〈장수경언해 22ㄱ〉. 이 책(4:5ㄱ)에도 ‘샤ᇰ해’가 나온다. ‘샤ᇰ해’는 ‘샹ᄒᆡ’로 발달하게 된다. ¶ 셩고 로브터 봉휘의  만히 득지티 못니 샹 앙앙히 나라흘 원망야〈쳔의쇼감언ᄒᆡ 1:18ㄴ〉. ‘해’가 ‘ᄒᆡ’로 바뀐 것은 ‘ㆍ’의 소멸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오 디 주004)
ᄆᆡᇰᄀᆞ디:
만들지. ᄆᆡᇰᄀᆞᆯ-[造]+디(보조적 연결 어미). 『소학언해』(3:21ㄴ)에서도 ‘ᄆᆡᇰᄀᆞ디’로 나타난다.
아니더시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분홍색과 자주색으로 평상복을 만들지 아니하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분홍색과 자주색은 중간색으로서 바르지 않고, 또 부인과 여자의 옷에 가깝다. 설복(褻服)은 사사로이 거(居)할 때에 입는 옷이다.” 이렇게 말씀하셨으므로, (분홍색과 자주색으로) 조복(朝服)과 제복(祭服)도 만들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朱子曰 紅紫間色 不正 且近於婦人女子之服也 褻服私居服也 言此則不以爲朝祭之服 可知).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분호ᇰ:분홍(粉紅). 하얀빛을 띤 엷은 붉은색이다. 『소학집설』에서 이를 간색(間色)이라 하였다.
주002)
ᄌᆞ디:자주(紫朱). 한자어 ‘紫的’에서 온 차용어(借用語)이다. ¶金紫 디 긴  印이라〈삼강행실도 런던 충 13〉. 후대에 구개음화하여 ‘ᄌᆞ지’로 변하게 된다.
주003)
샹녯:평상(平常)의. 샤ᇰ녜(常例)+ㅅ(관형격 조사). ‘샤ᇰ녜’는 한자어이지만 언제나 한글로 적혔다. 16세기에 ‘샹해’가 나타난다. ¶네 반시 이 보리심을 해 브즈러니 렴야 가져셔〈장수경언해 22ㄱ〉. 이 책(4:5ㄱ)에도 ‘샤ᇰ해’가 나온다. ‘샤ᇰ해’는 ‘샹ᄒᆡ’로 발달하게 된다. ¶ 셩고 로브터 봉휘의  만히 득지티 못니 샹 앙앙히 나라흘 원망야〈쳔의쇼감언ᄒᆡ 1:18ㄴ〉. ‘해’가 ‘ᄒᆡ’로 바뀐 것은 ‘ㆍ’의 소멸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주004)
ᄆᆡᇰᄀᆞ디:만들지. ᄆᆡᇰᄀᆞᆯ-[造]+디(보조적 연결 어미). 『소학언해』(3:21ㄴ)에서도 ‘ᄆᆡᇰᄀᆞ디’로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