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번역소학 권4:13ㄴ

曲곡禮례예 曰왈 坐좌如여尸시며 立립如여齊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曲곡禮례예 로 안조 주001)
안조ᄆᆞᆯ:
앉는 것을. 앉-[坐]+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尸시童 주002)
시도ᇰ:
시동(尸童). 제사 때 신위 대신으로 앉혀 놓던 어린아이. ‘시(尸)’라고도 하고 ‘시동씨(尸童氏)’라고도 하였다. ‘사정을 모르고 자리만 지키고 있는 사람’을 비유하기도 하였다. ‘尸童’이 『소학언해』(3:12ㄱ)에서는 원문과 같은 ‘尸’로 바뀌었다.
티 주003)
ᄀᆞ티:
같이.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가 보조사화한 것이다.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며 셔믈 주004)
셔믈:
섬을. 서 있음을. 셔-[立]+옴(명사형 어미)+을(목적격 조사). ‘셔-’는 본래 평성인데, ‘-옴’의 ‘오’와 결합하면서 상성으로 바뀌고 ‘오’는 외현되지 않았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데,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에서도 이 규칙이 적용된다. 이 책(4:10ㄴ)에서는 ‘셔ᄆᆞᆯ’이 쓰였다.
계 주005)
ᄌᆡ계:
재계(齋戒). 신이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며 행동을 삼감. ‘재(齋)’는 ‘마음을 깨끗이 함’을 뜻하고 ‘계(戒)’는 ‘우환을 경계함’을 뜻한다. 원문의 ‘齊’는 ‘공경함’을 뜻할 때에는 여기서와 같이 ‘ᄌᆡ’로 읽힌다. 이 경우의 오늘날의 독음은 ‘재’이다. 그리고 ‘옷 아래 꿰맨 자락’을 뜻할 때에는 ‘자’로 읽힌다(이 책 3:4ㄴ, 27ㄴ, 4:17ㄴ 참조.).
주006)
제:
때에. 제[時](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부사격 조사 ‘애, 에, 예,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이 ‘제’는 한자어(際)일 가능성이 있다. ‘과거, 현재, 미래’를 불교에서는 ‘삼제(三際)’라 한다. 국어사전에서는 ‘적에’가 줄어서 ‘제’가 되었다고 설명하였으나, 국어사에서 그러한 변화는 찾을 수 없다.
티 홀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곡례(曲禮)」에서 이르되, 앉는 것은 시동(尸童)같이 하며, 서 있는 것은 재계(齋戒)하는 것과 같이 할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공씨(孔氏)가 말하였다. “시동(尸童)은 신위(神位)에 있을 때에 앉기를 반드시 엄숙하게 해야 하니, 앉는 법은 반드시 시동이 앉는 것처럼 해야 한다. 사람이 기대어 서면 대개 거만하여 공손하지 못해 보이니, 비록 재계(齋戒)가 아니더라도 또한 마땅히 제사(祭祀)를 지내기 전에 재계하는 것과 같이 해야 한다.”(孔氏曰 尸居神位 坐必矜莊 坐法必當如尸之坐 人之倚立 多慢不恭 雖不齊 亦當如祭前之齊). 공씨(孔氏)는 당(唐)나라 태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공영달(孔穎達: 574~648)이다. 천문과 수학에 능통하였으며 『수서(隋書)』와 『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안조ᄆᆞᆯ:앉는 것을. 앉-[坐]+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02)
시도ᇰ:시동(尸童). 제사 때 신위 대신으로 앉혀 놓던 어린아이. ‘시(尸)’라고도 하고 ‘시동씨(尸童氏)’라고도 하였다. ‘사정을 모르고 자리만 지키고 있는 사람’을 비유하기도 하였다. ‘尸童’이 『소학언해』(3:12ㄱ)에서는 원문과 같은 ‘尸’로 바뀌었다.
주003)
ᄀᆞ티:같이.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가 보조사화한 것이다.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주004)
셔믈:섬을. 서 있음을. 셔-[立]+옴(명사형 어미)+을(목적격 조사). ‘셔-’는 본래 평성인데, ‘-옴’의 ‘오’와 결합하면서 상성으로 바뀌고 ‘오’는 외현되지 않았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데,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에서도 이 규칙이 적용된다. 이 책(4:10ㄴ)에서는 ‘셔ᄆᆞᆯ’이 쓰였다.
주005)
ᄌᆡ계:재계(齋戒). 신이나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며 행동을 삼감. ‘재(齋)’는 ‘마음을 깨끗이 함’을 뜻하고 ‘계(戒)’는 ‘우환을 경계함’을 뜻한다. 원문의 ‘齊’는 ‘공경함’을 뜻할 때에는 여기서와 같이 ‘ᄌᆡ’로 읽힌다. 이 경우의 오늘날의 독음은 ‘재’이다. 그리고 ‘옷 아래 꿰맨 자락’을 뜻할 때에는 ‘자’로 읽힌다(이 책 3:4ㄴ, 27ㄴ, 4:17ㄴ 참조.).
주006)
제:때에. 제[時](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부사격 조사 ‘애, 에, 예,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이 ‘제’는 한자어(際)일 가능성이 있다. ‘과거, 현재, 미래’를 불교에서는 ‘삼제(三際)’라 한다. 국어사전에서는 ‘적에’가 줄어서 ‘제’가 되었다고 설명하였으나, 국어사에서 그러한 변화는 찾을 수 없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