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凶服복者쟈 式식之지시며 式식負부版판者쟈ㅣ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4:18ㄱ

거
주001)
거사ᇰ:
거상(居喪). 원문의 ‘흉복(凶服)’은 ‘상복(喪服)’이다.
니븐 사 맛나셔 주002)
맛나셔ᄂᆞᆫ:
만나셔서는. 맛나-[逢]-아셔(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맛나-’는 ‘맞-[逢]+나-[出]’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나-’는 [出]을 뜻하는 ‘나-’로 보이는데, 본래의 의미를 크게 잃은 것으로 보인다. ‘따로’를 뜻하는 부사 ‘닫’과 ‘나-’가 결합한 합성어 ‘닫나다(=남과 어울리지 않고 따로 지내다)’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의 ‘나다’는 ‘지내다’란 뜻에 가까운데, ‘나다’ 단독으로는 ‘지내다’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없다. ¶과 닫나 즐겨〈석보상절 9:34ㄴ〉. ‘맞-’이 ‘맛-’으로 표기된 것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연결 어미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맛나셔ᄂᆞᆫ’은 원문에 없는 말을 보충한 것이다. 이 대목에는 원문에 없는 말을 보충한 것이 많은 편인데, 『소학언해』(3:16ㄱ)에서는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하였다. 『소학언해』(3:16ㄱ)의 번역을 전재(全載)하면 다음과 같다. ‘상복니를 式【술위 앏  남글 고마온 일 잇거든 굽어 딥픔이라】 시며 호젹 진 이를 式더시다’. 여기의 협주 내용은 『소학집설』의 주석과 부합한다.
술윗 주003)
술윗:
수레의. 술위[車]+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알 주004)
알ᄑᆡ:
앞에. 앒[前]+ᄋᆡ. ‘ᄋᆡ’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디 주005)
ᄀᆞᄅᆞ디ᄅᆞᆫ:
가로지른. ‘ᄀᆞᄅᆞ디ᄅᆞ-’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 두 가지 추론이 가능한데, 어느 것이 옳은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橫]’에서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디ᄅᆞ-[刺]’가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디ᄅᆞ-’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디ᄅᆞ-’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이 ‘ᄀᆞᄅᆞ디ᄅᆞᆫ’이 『소학언해』(3:16ㄱ)의 협주에서는 ‘ᄀᆞᄅᆞᆫ’으로 나타나는데, ‘ᄀᆞᄅᆞᆫ’은 동사 ‘ᄀᆞᄅᆞ다’의 관형사형이다.
남 주006)
남ᄀᆞᆯ:
나무를. 나ᇚ[木]+ᄋᆞᆯ(목적격 조사). ‘나모’와 ‘나ᇚ’ 두 이형태는 ‘나목’에서 분화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 추론에 따르면 ‘나목’에서 ‘ㄱ’이 탈락하면 ‘나모’가 되고 ‘ㅗ’가 탈락하면 ‘나ᇚ’이 된다. ‘구멍’의 전라도 방언형 ‘구먹’이 이 추론의 유력한 근거가 될 수 있다. ‘구먹’은 ‘구묵’의 존재 가능성을 암시하는데, ‘구묵’에서 ‘구무’와 ‘구ᇚ’의 두 이형태가 분화되는 것은 ‘나목’에서 ‘나모’와 ‘나ᇚ’이 분화되는 것과 정확하게 비례한다.
비겨 주007)
비겨:
기대어. 비기-[憑]+어(연결 어미). 현대 국어 ‘기대다’는 부사격 조사 ‘에’ 뒤에 쓰이는데, 여기의 ‘비기-’는 목적격 조사 뒤에 나타난다. 그러나 다음 두 예문을 보면, 두 조사의 선택이 수의적임을 알 수 있다. ¶①軒檻 비겨셔 므를 흘리노라〈두시언해 초간본 14:14ㄱ〉 ②軒檻애 비겨 거로니 忽然히 그리미 아닌 도다〈두시언해 초간본 16:32ㄴ〉.
구브시며 주008)
구브시며:
구부리시며. ‘굽다’가 타동사로 쓰인 예가 드물게 보인다. ¶闍耶ㅣ 毗闍耶 엇게예 올아 부텨 받대 부톄 구브샤 바리로 바다시〈석보상절 24:8ㄱ〉.
호젹 주009)
호젹:
호적(戶籍).
주010)
진:
짊어진. 지-[負]+ㄴ(관형사형 어미).
사 맛나셔도 주011)
맛나셔도:
만나셔서도. 맛나-[逢]-아셔(연결 어미)+도(보조사). ‘맛나-’는 ‘맞-[逢]+나-[出]’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시-’는 ‘이시-’의 이형태이다.
그리 주012)
그리:
그렇게.
구브시더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거상(居喪) 입은 사람을 만나셔서는 수레 앞에 가로지른 나무에 기대고 몸을 구부려서 예를 표하시고, 호적판(戶籍版)을 짊어진 사람을 만나셔서도 그처럼 몸을 굽히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식(式)은 수레 앞에 가로로 댄 나무이니, 공경할 일이 있으면 몸을 숙여 여기에 기댄다. 부판(負版)은 나라의 지도와 호적을 지고 가는 자이다. 이 두 사람에게 예의(禮儀)를 표하는 것은 상(喪)을 입은 것을 슬퍼하고 백성의 수(數)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다. 사람은 오직 만물 중 신령스러운 존재이며, 임금 된 자가 하늘처럼 떠받드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주례(周禮)』에서 백성의 수를 (기록한 것을) 왕에게 바치면 왕이 절을 하고 그것을 받는다 하였으니, 하물며 그 아랫사람이야 감히 공경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朱子曰 式車前橫木 有所敬則俯而憑之 負版持邦國圖籍者 式此二者哀有喪 重民數也 人惟萬物之靈而王者之所天也 故周禮 獻民數於王 王拜受之 況其下者敢不敬乎).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거사ᇰ:거상(居喪). 원문의 ‘흉복(凶服)’은 ‘상복(喪服)’이다.
주002)
맛나셔ᄂᆞᆫ:만나셔서는. 맛나-[逢]-아셔(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맛나-’는 ‘맞-[逢]+나-[出]’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나-’는 [出]을 뜻하는 ‘나-’로 보이는데, 본래의 의미를 크게 잃은 것으로 보인다. ‘따로’를 뜻하는 부사 ‘닫’과 ‘나-’가 결합한 합성어 ‘닫나다(=남과 어울리지 않고 따로 지내다)’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의 ‘나다’는 ‘지내다’란 뜻에 가까운데, ‘나다’ 단독으로는 ‘지내다’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없다. ¶과 닫나 즐겨〈석보상절 9:34ㄴ〉. ‘맞-’이 ‘맛-’으로 표기된 것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연결 어미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맛나셔ᄂᆞᆫ’은 원문에 없는 말을 보충한 것이다. 이 대목에는 원문에 없는 말을 보충한 것이 많은 편인데, 『소학언해』(3:16ㄱ)에서는 원문에 충실하게 번역하였다. 『소학언해』(3:16ㄱ)의 번역을 전재(全載)하면 다음과 같다. ‘상복니를 式【술위 앏  남글 고마온 일 잇거든 굽어 딥픔이라】 시며 호젹 진 이를 式더시다’. 여기의 협주 내용은 『소학집설』의 주석과 부합한다.
주003)
술윗:수레의. 술위[車]+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4)
알ᄑᆡ:앞에. 앒[前]+ᄋᆡ. ‘ᄋᆡ’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5)
ᄀᆞᄅᆞ디ᄅᆞᆫ:가로지른. ‘ᄀᆞᄅᆞ디ᄅᆞ-’의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 두 가지 추론이 가능한데, 어느 것이 옳은지는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橫]’에서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디ᄅᆞ-[刺]’가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디ᄅᆞ-’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디ᄅᆞ-’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이 ‘ᄀᆞᄅᆞ디ᄅᆞᆫ’이 『소학언해』(3:16ㄱ)의 협주에서는 ‘ᄀᆞᄅᆞᆫ’으로 나타나는데, ‘ᄀᆞᄅᆞᆫ’은 동사 ‘ᄀᆞᄅᆞ다’의 관형사형이다.
주006)
남ᄀᆞᆯ:나무를. 나ᇚ[木]+ᄋᆞᆯ(목적격 조사). ‘나모’와 ‘나ᇚ’ 두 이형태는 ‘나목’에서 분화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 추론에 따르면 ‘나목’에서 ‘ㄱ’이 탈락하면 ‘나모’가 되고 ‘ㅗ’가 탈락하면 ‘나ᇚ’이 된다. ‘구멍’의 전라도 방언형 ‘구먹’이 이 추론의 유력한 근거가 될 수 있다. ‘구먹’은 ‘구묵’의 존재 가능성을 암시하는데, ‘구묵’에서 ‘구무’와 ‘구ᇚ’의 두 이형태가 분화되는 것은 ‘나목’에서 ‘나모’와 ‘나ᇚ’이 분화되는 것과 정확하게 비례한다.
주007)
비겨:기대어. 비기-[憑]+어(연결 어미). 현대 국어 ‘기대다’는 부사격 조사 ‘에’ 뒤에 쓰이는데, 여기의 ‘비기-’는 목적격 조사 뒤에 나타난다. 그러나 다음 두 예문을 보면, 두 조사의 선택이 수의적임을 알 수 있다. ¶①軒檻 비겨셔 므를 흘리노라〈두시언해 초간본 14:14ㄱ〉 ②軒檻애 비겨 거로니 忽然히 그리미 아닌 도다〈두시언해 초간본 16:32ㄴ〉.
주008)
구브시며:구부리시며. ‘굽다’가 타동사로 쓰인 예가 드물게 보인다. ¶闍耶ㅣ 毗闍耶 엇게예 올아 부텨 받대 부톄 구브샤 바리로 바다시〈석보상절 24:8ㄱ〉.
주009)
호젹:호적(戶籍).
주010)
진:짊어진. 지-[負]+ㄴ(관형사형 어미).
주011)
맛나셔도:만나셔서도. 맛나-[逢]-아셔(연결 어미)+도(보조사). ‘맛나-’는 ‘맞-[逢]+나-[出]’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시-’는 ‘이시-’의 이형태이다.
주012)
그리:그렇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