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禮례記긔예 曰왈 若有유疾질風迅신雷뢰甚심雨우ㅣ어든 則즉必필變변야 雖슈夜야ㅣ나 必필興야 衣의服복冠관而坐좌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禮례記긔예 주001)
례긔예:
『예기』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다음의 ‘곡례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곡례예 : 곡례(曲禮)에.
로 주002)
로:
말하되. ‘ᄀᆞᆮ-[曰]+오ᄃᆡ’이다.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만이레 주003)
만이레:
만일. 만약. 만일(萬一)+에(부사격 조사). ¶①만일 劉顥ㅣ 이 햇 님자히 외디 아니야시면〈두시언해 초간본 15:45ㄱ〉 ②萬一 죽디 아니 거시면〈두시언해 초간본 6:28ㄴ〉. 현대 국어에서 ‘만일’과 의미가 같은 ‘만약(萬若)’은 19세기 말에 나타나는 듯하다. ¶름이 世上에 나와서 萬若 善良 으로 되얏스면〈신정심상소학 2:9ㄱ〉(1896년). 『한국고전번역원』(인터넷)에 입력된 고문헌 자료를 검색해 보아도 ‘萬若’의 예가 없는 것으로 보아, 우리 전통 한자어는 아닌 듯하다. ‘若’을 뜻하는 고유어로는 ‘다가’가 있었다. ¶다가 다 부텨를 맛나면〈석보상절 13:62ㄱ〉. ‘만일에’가 『소학언해』(3:16ㄱ)에서는 ‘만일’로 바뀌었다.
 주004)
:
빠른. -[疾]+ㄴ(관형사형 어미)
과 시급 주005)
시급:
급한. 시급(時急)+-+ㄴ.
울에와 주006)
울에와:
우레와. ‘울-[鳴]’에 명사 파생 접미사 ‘-에’가 결합한 것이다. ‘울에’는 『소학언해』(3:16ㄱ)에서도 ‘울에’로 나타나는데, 후대에 ‘우레’로 변하게 된다. ¶챵 울기 우레 니 이 닐온 으로 알 증이니〈마경초집언해 상 116ㄴ〉. 이 낱말은 한자 ‘雷’에 견인되어 ‘우뢰’로 잘못 쓰이기도 하였다. ¶우뢰 뢰 雷 우뢰 갓튼 소 雄如雷聲〈국한회어 225〉. ‘우박(雨雹)’을 ‘우뢰’로 적은 예도 보인다. ¶우뢰 박 雹〈유합 칠장사본 3ㄱ〉.
심히 주007)
심히:
심(甚)히. 매우.
오 비 잇거든 모로매 주008)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6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 주009)
:
양자(樣姿). ‘야ᇰᄌᆞ 고텨’가 『소학언해』(3:16ㄱ)에서는 원문에 더 가까운 ‘변야’로 바뀌었다. ‘변’은 『소학집설』의 ‘變其容色’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고텨 주010)
고텨:
바꾸어. 고티-[變]+어(연결 어미).
비록 바미라두 주011)
바미라두:
밤이라도. 밤[夜]+이라두(보조사). ‘이라두’는 ‘이라도’의 이형태이다. ‘이라도’의 기원적 구조는 ‘이-(서술격 조사 어간)+라(연결 어미)+도(보조사)’이다. ‘-라’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 쓰이는 ‘-아, -어’의 이형태이다. 현대 국어에서 명사 뒤의 ‘이어서’가 ‘이라서’로 바뀔 수 있는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바미라두’에서 보조사 ‘도’ 대신 ‘두’가 쓰인 것이 특이하다. 현대 경기도 방언의 특징이 이 시기 문헌에서 보이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①雖婢妾이라두 衣服飮食을 必後長者ㅣ니라〈번역소학 3:17ㄴ〉 ②雖蠻貊之邦이라두 行矣의어니와〈번역소학 4:5ㄱ〉 ③雖之夷狄이라두〈번역소학 4:5ㄱ〉. ‘비록 바미라두’가 『소학언해』(3:16ㄱ)에는 ‘비록 밤이나’로 나타난다.
모로매 주012)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소학언해』(3:16ㄱ)에서는 ‘반시’로 바뀌었다.
니러 주013)
니러:
일어나. 닐-[起]+어(연결 어미).
옷 닙고 곳갈 주014)
곳갈:
관(冠).

번역소학 권4:18ㄴ

주015)
서:
쓰고. 스-[冠]+어(연결 어미). 중세 국어에서는 ‘ᄡᅳ다’는 [用] 또는 [苦]를 뜻하고, ‘쓰다’는 [書] 또는 [冠]을 뜻하였다. [冠]을 뜻하는 동사는 ‘쓰다’로도 나타나고 ‘스다’로도 나타난다. ¶①머리 우희 大摩尼天冠 쓰고 야 몸 가지니〈월인석보 10:95ㄴ〉 ②어딘 宰相의 머리 우흰 進賢冠을 셋고 勇猛 將軍의 허릿 옌 大羽箭이로다〈두시언해 초간본 16:26ㄱ〉.
안졸 디니라 주016)
안졸 디니라:
앉을지니라. 앉-[坐]+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선어말 어미)+라(평서문 종결 어미)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예기』에서 이르되, 만일 빠른 바람과 급한 우레와 심하게 오는 비가 있으면, 모름지기 표정을 바꾸어 비록 밤이라도 모름지기 일어나서 옷을 입고 관(冠)을 쓰고 앉아 있을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옥조(玉藻).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신(迅)은 빠름이다. 변(變)은 그 몸가짐을 바꾸는 것이고 흥(興)은 일어남이니, 반드시 얼굴빛을 바꾸고 일어나는 것은 다 하늘의 노여움을 보고 삼가는 것이다.”(陳氏曰 迅疾也 變謂變其容色 興起也 必變興 皆所以敬天之怒). 진씨(陳氏)는 『소학증주(小學增註)』를 저술한 진선(陳選)으로 보인다. 『예기』 「옥조(玉藻)」의 편명(篇名)은 첫머리가 ‘천자옥조(天子玉藻)’로 시작함에 따른 것이다. 「옥조(玉藻)」의 주요 내용은 천자(天子)·제후(諸侯)·대부(大夫)·사(士) 등이 면복(冕服)이나 홀(笏)을 착용하는 제도 및 예를 행할 때의 몸가짐과 절도 등이다. 그러므로 이 대목의 내용은 천자(天子)·제후(諸侯)·대부(大夫)·사(士) 등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례긔예:『예기』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다음의 ‘곡례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곡례예 : 곡례(曲禮)에.
주002)
로:말하되. ‘ᄀᆞᆮ-[曰]+오ᄃᆡ’이다.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주003)
만이레:만일. 만약. 만일(萬一)+에(부사격 조사). ¶①만일 劉顥ㅣ 이 햇 님자히 외디 아니야시면〈두시언해 초간본 15:45ㄱ〉 ②萬一 죽디 아니 거시면〈두시언해 초간본 6:28ㄴ〉. 현대 국어에서 ‘만일’과 의미가 같은 ‘만약(萬若)’은 19세기 말에 나타나는 듯하다. ¶름이 世上에 나와서 萬若 善良 으로 되얏스면〈신정심상소학 2:9ㄱ〉(1896년). 『한국고전번역원』(인터넷)에 입력된 고문헌 자료를 검색해 보아도 ‘萬若’의 예가 없는 것으로 보아, 우리 전통 한자어는 아닌 듯하다. ‘若’을 뜻하는 고유어로는 ‘다가’가 있었다. ¶다가 다 부텨를 맛나면〈석보상절 13:62ㄱ〉. ‘만일에’가 『소학언해』(3:16ㄱ)에서는 ‘만일’로 바뀌었다.
주004)
:빠른. -[疾]+ㄴ(관형사형 어미)
주005)
시급:급한. 시급(時急)+-+ㄴ.
주006)
울에와:우레와. ‘울-[鳴]’에 명사 파생 접미사 ‘-에’가 결합한 것이다. ‘울에’는 『소학언해』(3:16ㄱ)에서도 ‘울에’로 나타나는데, 후대에 ‘우레’로 변하게 된다. ¶챵 울기 우레 니 이 닐온 으로 알 증이니〈마경초집언해 상 116ㄴ〉. 이 낱말은 한자 ‘雷’에 견인되어 ‘우뢰’로 잘못 쓰이기도 하였다. ¶우뢰 뢰 雷 우뢰 갓튼 소 雄如雷聲〈국한회어 225〉. ‘우박(雨雹)’을 ‘우뢰’로 적은 예도 보인다. ¶우뢰 박 雹〈유합 칠장사본 3ㄱ〉.
주007)
심히:심(甚)히. 매우.
주008)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6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9)
:양자(樣姿). ‘야ᇰᄌᆞ 고텨’가 『소학언해』(3:16ㄱ)에서는 원문에 더 가까운 ‘변야’로 바뀌었다. ‘변’은 『소학집설』의 ‘變其容色’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주010)
고텨:바꾸어. 고티-[變]+어(연결 어미).
주011)
바미라두:밤이라도. 밤[夜]+이라두(보조사). ‘이라두’는 ‘이라도’의 이형태이다. ‘이라도’의 기원적 구조는 ‘이-(서술격 조사 어간)+라(연결 어미)+도(보조사)’이다. ‘-라’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 쓰이는 ‘-아, -어’의 이형태이다. 현대 국어에서 명사 뒤의 ‘이어서’가 ‘이라서’로 바뀔 수 있는 것도 같은 이유 때문이다. ‘바미라두’에서 보조사 ‘도’ 대신 ‘두’가 쓰인 것이 특이하다. 현대 경기도 방언의 특징이 이 시기 문헌에서 보이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①雖婢妾이라두 衣服飮食을 必後長者ㅣ니라〈번역소학 3:17ㄴ〉 ②雖蠻貊之邦이라두 行矣의어니와〈번역소학 4:5ㄱ〉 ③雖之夷狄이라두〈번역소학 4:5ㄱ〉. ‘비록 바미라두’가 『소학언해』(3:16ㄱ)에는 ‘비록 밤이나’로 나타난다.
주012)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소학언해』(3:16ㄱ)에서는 ‘반시’로 바뀌었다.
주013)
니러:일어나. 닐-[起]+어(연결 어미).
주014)
곳갈:관(冠).
주015)
서:쓰고. 스-[冠]+어(연결 어미). 중세 국어에서는 ‘ᄡᅳ다’는 [用] 또는 [苦]를 뜻하고, ‘쓰다’는 [書] 또는 [冠]을 뜻하였다. [冠]을 뜻하는 동사는 ‘쓰다’로도 나타나고 ‘스다’로도 나타난다. ¶①머리 우희 大摩尼天冠 쓰고 야 몸 가지니〈월인석보 10:95ㄴ〉 ②어딘 宰相의 머리 우흰 進賢冠을 셋고 勇猛 將軍의 허릿 옌 大羽箭이로다〈두시언해 초간본 16:26ㄱ〉.
주016)
안졸 디니라:앉을지니라. 앉-[坐]+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선어말 어미)+라(평서문 종결 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