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번역소학 권4:11ㄴ

將上堂 聲必필揚이니 戶호外외예 有유二이屨구ㅣ어든 言언聞문則즉入입고 言언不블聞문則즉不블入입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 주001)
쟝ᄌᆞᆺ:
장차. 앞으로. ‘쟈ᇰᄎᆞᆺ’의 오각이다. 『소학언해』(3:10ㄴ)에 ‘쟈ᇰᄎᆞᆺ’으로 나타난다. 15세기 문헌에서는 주로 ‘쟈ᇰᄎᆞ’가 쓰이고, 16세기 이후에 ‘쟈ᇰᄎᆞᆺ, 쟝ᄎᆞᆺ, 쟝ᄎᆞ’가 쓰였다.
 주002)
ᄂᆞᄆᆡ:
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堂의 주003)
다ᇰ의:
당(堂)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오 저긔 주004)
저긔:
적에. 때에. 적[時]+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오ᄅᆞᆯ 저긔’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오ᄅᆞᆯᄉᆡ’로 바뀌었다.
모로매 주005)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2:42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소리 주006)
소리:
소리[聲].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소ᄅᆡ’로 바뀌었다. 15세기 문헌에서는 ‘소리’와 ‘소ᄅᆡ’가 다 쓰였는데, ‘소리’의 예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 책에서는 ‘소ᄅᆡ’도 쓰였다(4:13ㄱ). ¶①訓은 칠 씨오 民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훈민정음언해 1ㄱ〉 ②녯 귀로 소 드러 實相 得면〈월인석보 15:5ㄱ〉.
내여 주007)
내여:
내어. 나-[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알에 주008)
알에:
알게. 알-[知]+게(연결 어미). ‘-게’의 ‘ㄱ’이 ‘ㄹ’ 뒤에서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음운론적으로 자음에 속하기 때문에 연철되지 않는다.
홀 디니 주009)
홀 디니:
할지니. ᄒᆞ-+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연결 어미). ‘소리ᄅᆞᆯ 내여 알에 홀 디니’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소리ᄅᆞᆯ 반ᄃᆞ시 들며’로 바뀌었다. 의역에서 직역으로 바뀐 것이다. 한편 선행절과 후행절이 대등하게 연결되는 위치이므로 ‘-며’를 쓴 『소학언해』의 번역이 더 적절해 보인다.
바ᇰ문 주010)
바ᇰ문:
방문(房門). ‘바ᇰ문’이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지게’로 바뀌었다.
밧긔 주011)
밧긔:
밖에. 바ᇧ[外]+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둘희 주012)
둘희:
둘의. 둘ㅎ[二](ㅎ말음체언)+의(관형격 조사).
시니 주013)
시니:
신이. 신[屨]+이(주격 조사).
바삿거든 주014)
바삿거든:
벗겨져 있으면. 밧-[脫]+앗(과거시제 선어말 어미)+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앗-’은 ‘-아 잇-’의 축약형이다. ‘밧-’과 ‘벗-’이 다 쓰였는데, 분포가 달랐다.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였다. ¶①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②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여기의 ‘밧-’은 자동사로 보이는데, 이런 예를 더 확인하기 어렵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바삿거든’이 ‘잇거든’으로 바뀌었다. ‘-거든’은 ‘-거든, -면, -으니, -으므로, -은데, -건만, -어도’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말 주015)
말ᄉᆞᆷ:
말. 『소학언해』(3:10ㄴ)에서도 ‘말ᄉᆞᆷ’으로 나타난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말, 말ᄊᆞᆷ(말ᄉᆞᆷ)’은 모두 [+높임]과 [-높임] 및 [+겸양]과 [-겸양]의 상황에 두루 쓰였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①語는 말미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이 말 眞實야 決定히 虛티 아니니라〈월인석보 10:122ㄴ〉 ③다시 말 펴 다시 觀體 標호〈선종영가집언해 하 31ㄱ〉 ④阿難이 비록  이 말 듣와〈능엄경언해 1:102ㄴ〉 ⑤桃源ㅅ 나그내 더브러 말 傳라〈두시언해 초간본 8:61ㄱ〉.
소리 주016)
소리:
소리가. 소리[聲]+Ø(주격 조사). ‘말ᄉᆞᆷ 소리’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말ᄉᆞᆷ이’로 바뀌었다. 이 대목 중 바로 앞의 ‘소리’는 『소학언해』(3:10ㄴ)에서 ‘소ᄅᆡ’로 바뀌었고, 이 책 다른 곳(4:7ㄴ)의 ‘소리’도 『소학언해』(3:7ㄱ)에서 ‘소ᄅᆡ’로 바뀌었다.
들이거든 주017)
들이거든:
들리면. 듣/들-[聞]+이(피동 접미사)+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이 낱말의 피동형이 ‘드디-’로 실현되지 않고 ‘들이-’로 실현되는 것은 ‘들이-’가 ‘듣-’의 이형태 ‘들-’에 ‘-이-’가 결합한 것임을 시사한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들리거든’으로 바뀌었다.
드러가고 주018)
들어가고:
들어가고.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들고’로 바뀌었다. ‘들고’는 15세기라면 ‘ㄹ’ 뒤의 ‘ㄱ’이 약화된 ‘들오’로 변하게 된다. ¶旃檀香 모매 면 브레 들오도 브리 몯 며〈월인석보 1:26ㄴ〉.
말미 들이디 아니커든 드디 주019)
드디:
들어가지. 들-[入]+디(보조적 연결 어미).
말며 주020)
말며:
말며. 말-[勿]+며.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원문은 ‘不’이다. 그리고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여기서도 한 대목이 종결 형식으로 끝나지 않고 연결 형식으로 끝나고 있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장차 남의 집 당(堂)에 오를 때에 모름지기 소리를 내어 알게 할지니, 방문 밖에 두 사람의 신이 벗겨져 있을 경우에는, 말소리가 들리면 들어가고, 말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들어가지 말며,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 1(소학집해)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그 소리를 크게 하는 것은 방안에 있는 사람이 알게 함이다.”(陳氏曰 揚其聲者 使內人知之也). 주석 2(소학집성) : 요씨(饒氏)가 말하였다. “두 켤레의 신이 문 밖에 놓여 있으면 손님이 있음을 알지니, 말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사사로운 논의가 있을지도 모르니, 모름지기 피하고 들어가지 말아야 한다.”(饒氏曰 二屨在戶外 知有客 言不聞 恐有私議 須迴避不入). 진씨(陳氏)는 송말 원초(宋末 元初)의 학자인 진호(陳澔: 1260~1341)이다. 송(宋)나라가 망한 뒤 은거하여 고향에서 유생들을 가르쳤으며 『예기집설』을 저술하였다. 요씨(饒氏)는 남송(南宋) 때의 학자 요로(饒魯)이다. 자(字)는 백여(伯輿), 호(號)는 쌍봉(雙峰)이며, 생몰 연대는 미상이다. 황간(黃幹)의 문인으로 주자의 학문을 계승하였으며 『오경강의(五經講義)』, 『근사록주(近思錄注)』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쟝ᄌᆞᆺ:장차. 앞으로. ‘쟈ᇰᄎᆞᆺ’의 오각이다. 『소학언해』(3:10ㄴ)에 ‘쟈ᇰᄎᆞᆺ’으로 나타난다. 15세기 문헌에서는 주로 ‘쟈ᇰᄎᆞ’가 쓰이고, 16세기 이후에 ‘쟈ᇰᄎᆞᆺ, 쟝ᄎᆞᆺ, 쟝ᄎᆞ’가 쓰였다.
주002)
ᄂᆞᄆᆡ: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주003)
다ᇰ의:당(堂)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주004)
저긔:적에. 때에. 적[時]+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오ᄅᆞᆯ 저긔’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오ᄅᆞᆯᄉᆡ’로 바뀌었다.
주005)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2:42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6)
소리:소리[聲].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소ᄅᆡ’로 바뀌었다. 15세기 문헌에서는 ‘소리’와 ‘소ᄅᆡ’가 다 쓰였는데, ‘소리’의 예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 책에서는 ‘소ᄅᆡ’도 쓰였다(4:13ㄱ). ¶①訓은 칠 씨오 民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훈민정음언해 1ㄱ〉 ②녯 귀로 소 드러 實相 得면〈월인석보 15:5ㄱ〉.
주007)
내여:내어. 나-[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주008)
알에:알게. 알-[知]+게(연결 어미). ‘-게’의 ‘ㄱ’이 ‘ㄹ’ 뒤에서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음운론적으로 자음에 속하기 때문에 연철되지 않는다.
주009)
홀 디니:할지니. ᄒᆞ-+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연결 어미). ‘소리ᄅᆞᆯ 내여 알에 홀 디니’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소리ᄅᆞᆯ 반ᄃᆞ시 들며’로 바뀌었다. 의역에서 직역으로 바뀐 것이다. 한편 선행절과 후행절이 대등하게 연결되는 위치이므로 ‘-며’를 쓴 『소학언해』의 번역이 더 적절해 보인다.
주010)
바ᇰ문:방문(房門). ‘바ᇰ문’이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지게’로 바뀌었다.
주011)
밧긔:밖에. 바ᇧ[外]+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12)
둘희:둘의. 둘ㅎ[二](ㅎ말음체언)+의(관형격 조사).
주013)
시니:신이. 신[屨]+이(주격 조사).
주014)
바삿거든:벗겨져 있으면. 밧-[脫]+앗(과거시제 선어말 어미)+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앗-’은 ‘-아 잇-’의 축약형이다. ‘밧-’과 ‘벗-’이 다 쓰였는데, 분포가 달랐다.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였다. ¶①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②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여기의 ‘밧-’은 자동사로 보이는데, 이런 예를 더 확인하기 어렵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바삿거든’이 ‘잇거든’으로 바뀌었다. ‘-거든’은 ‘-거든, -면, -으니, -으므로, -은데, -건만, -어도’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주015)
말ᄉᆞᆷ:말. 『소학언해』(3:10ㄴ)에서도 ‘말ᄉᆞᆷ’으로 나타난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말, 말ᄊᆞᆷ(말ᄉᆞᆷ)’은 모두 [+높임]과 [-높임] 및 [+겸양]과 [-겸양]의 상황에 두루 쓰였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①語는 말미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이 말 眞實야 決定히 虛티 아니니라〈월인석보 10:122ㄴ〉 ③다시 말 펴 다시 觀體 標호〈선종영가집언해 하 31ㄱ〉 ④阿難이 비록  이 말 듣와〈능엄경언해 1:102ㄴ〉 ⑤桃源ㅅ 나그내 더브러 말 傳라〈두시언해 초간본 8:61ㄱ〉.
주016)
소리:소리가. 소리[聲]+Ø(주격 조사). ‘말ᄉᆞᆷ 소리’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말ᄉᆞᆷ이’로 바뀌었다. 이 대목 중 바로 앞의 ‘소리’는 『소학언해』(3:10ㄴ)에서 ‘소ᄅᆡ’로 바뀌었고, 이 책 다른 곳(4:7ㄴ)의 ‘소리’도 『소학언해』(3:7ㄱ)에서 ‘소ᄅᆡ’로 바뀌었다.
주017)
들이거든:들리면. 듣/들-[聞]+이(피동 접미사)+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이 낱말의 피동형이 ‘드디-’로 실현되지 않고 ‘들이-’로 실현되는 것은 ‘들이-’가 ‘듣-’의 이형태 ‘들-’에 ‘-이-’가 결합한 것임을 시사한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들리거든’으로 바뀌었다.
주018)
들어가고:들어가고.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들고’로 바뀌었다. ‘들고’는 15세기라면 ‘ㄹ’ 뒤의 ‘ㄱ’이 약화된 ‘들오’로 변하게 된다. ¶旃檀香 모매 면 브레 들오도 브리 몯 며〈월인석보 1:26ㄴ〉.
주019)
드디:들어가지. 들-[入]+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20)
말며:말며. 말-[勿]+며.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원문은 ‘不’이다. 그리고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여기서도 한 대목이 종결 형식으로 끝나지 않고 연결 형식으로 끝나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