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賢현者쟈 狎압而敬之지고 畏외而愛之지며 愛而知디其기惡악고 憎而知디其기善션며 積젹而能散산며 安안安안而能능遷쳔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딘 주001)
어딘:
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이 책(3:36ㄱ)에서는 ‘어딘’이 ‘세력(힘)이 있는’을 뜻한다. 다음 예문에서는 ‘어딘’이 ‘존귀한’과 ‘유능한’을 뜻한다. ¶①尊者 尊시니라 혼 마리니 어딘 사 고마야 尊者ㅣ라 니라〈석보상절 3:7ㄴ〉 ②良醫 어딘 醫員이라〈월인석보 17:15ㄴ〉.
사 조라이 주002)
조라이:
친근하게. 조랍-[親]+이(부사형 연결 어미). ᄌᆞ올압다〉조랍다. ¶①親 올아 씨오 近은 갓가 씨라〈석보상절 13:15ㄴ〉 ②늘거 가매 올아이 아논 사  보미 드므도다〈두시언해 초간본10:46ㄴ〉. ‘ᄌᆞ올압-’의 ‘ㄹ’이 연철되지 않은 것은 ‘-압-’의 소급형이 ‘-갑-’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책에 ‘조라이’(4:7ㄱ)와 ‘졸아와도(=친근하여도)’(4:17ㄴ)가 있다.
주003)
홀:
할.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
듸도 주004)
듸도:
곳(바, 상대)에 대해서도. 여기의 ‘듸’는 의존 명사 ‘ᄃᆡ’의 이형태로 보인다. 듸(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도(보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뒤에서 부사격 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押而敬之’는 ‘친근하게 대하면서도(지내면서도) 공경한다’로도 번역할 수 있을 듯하지만, 『소학집해』의 주석 “於其所狎 能敬之(그 친한 상대에 대해서도 능히 공경하고)”에서는 다르게 보았다. 이 책의 번역은 『소학집해』의 주석과 부합한다. ‘조라이 홀 듸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조라온 ᄃᆡ’로 바뀌었는데, 이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조라온 ᄃᆡ’는 ‘관형어+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의 구조이다.
며 저픈 주005)
저픈:
두려운. 젛-[畏, 懼](동사 어간)+브(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번역소학 권4:3ㄴ

주006)
ᄃᆡ도:
곳(바, 상대)에 대해서도. ‘ᄃᆡ’는 바로 앞에 쓰인 의존 명사 ‘듸’의 이형태이다. ᄃᆡ(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도(보조사). ‘저픈 ᄃᆡ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저픈 ᄃᆡ’로 바뀌었다.
며 오니도 주007)
ᄉᆞ라ᇰᄒᆞ오니도:
사랑스러운 사람이라 하더라도. ᄉᆞ라ᇰ[愛]+ᄒᆞ-+오(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도(보조사). ‘ᄉᆞ라ᇰᄒᆞ온’은 ‘ᄉᆞ라ᇰᄒᆞᄫᆞᆫ’의 발달형인데, ‘ᄉᆞ라ᇰᄒᆞᄫᆞᆫ’은 ‘ᄉᆞ라ᇰ+ᄒᆞ-+ㅂ(형용사 파생 접미사)+ᄋᆞᆫ(관형사형 어미)’의 구조이다. ‘ᄉᆞ라ᇰᄒᆞ오니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ᄉᆞ라ᇰ호온 ᄃᆡ’로 바뀌었다.
주008)
왼:
그른. 외-[非, 惡]+ㄴ(관형사형 어미). ‘왼 이를’이 『소학언해』(3:3ㄱ)에서는 ‘그 사오나옴을’로 바뀌었다.
이를 주009)
이를:
일을. 것을. 면(面)을. 일+을.
알며 믜우니도 주010)
믜우니도:
미운 사람이라 하더라도. 믭-[憎](형용사 어간)+은(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도(보조사). ‘믜운’은 ‘믜ᄫᅳᆫ’의 발달형인데, ‘믜ᄫᅳᆫ’은 ‘믜-[憎](동사 어간)+ㅂ(형용사 파생 접미사)+은(관형사형 어미)’의 구조이다. ‘믜우니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믜여ᄒᆞᄂᆞᆫ ᄃᆡ’로 바뀌었다.
어딘 주011)
어딘:
어진. 선한.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善,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이를 알며 자븐거슬 주012)
자븐거슬:
재물을. 재산을. 자ᄇᆞᆫ것〉자븐것. ‘자ᄇᆞᆫ것(자븐 것)’은 대개는 ‘연장, 쟁기, 그릇’ 등을 뜻한다. ¶①匠人 자것  사미라〈석보상절 11:10ㄴ〉 ②너희 둘히 리 니러 자븐것 설어저 짐시리 라〈번역노걸대 상 58ㄴ-59ㄱ〉. 한편 ‘자ᄇᆞᆫ일’은 ‘세상사(世上事)’를 뜻한다. ¶그 저긔 仙人山 中에 獼猴王이 이쇼 聰明고 자일 만히 아더니 제 겨지비 죽거늘 다 암 어른대〈월인석보 7:16ㄴ〉. 원문 ‘積而能散’에서는 목적어가 드러나지 않았는데 언해문에서는 목적어를 사용하였다. ‘자븐거슬 사하 두ᄃᆡ’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목적어가 생략된 ‘싸하 두ᄃᆡ’로 바뀌었다. 이 책의 다른 곳에 있는 ‘자븐 것’(4:11ㄱ)도 『소학언해』(3:10ㄱ)에서는 생략되었다.
사하 두 히 주013)
느ᇰ히:
능히. 『소학언해』(3:3ㄱ)에서는 ‘能히’로 바뀌었다.
흐터 주014)
흐터:
흩어.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주며). 흩-[散]+어(연결 어미).
주며 편안 이 주015)
이ᄅᆞᆯ:
일을. ‘편안ᄒᆞᆫ 이ᄅᆞᆯ’이 『소학언해』(3:3ㄱ)에서는 ‘편안ᄒᆞᆫ ᄃᆡᄅᆞᆯ’로 바뀌었다.
편안히 너교 주016)
너교ᄃᆡ:
여기되. 너기-[做]+오ᄃᆡ(연결 어미).
외어든 주017)
외어든:
그르면. 외-[違]+어든(연결 어미). ‘-어든’은 ‘-거든’의 ‘ㄱ’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원문에 없는 말을 보탠 것이다. 『소학언해』(3:3ㄱ)에는 이 낱말이 없다.
히 옯니라 주018)
옯ᄂᆞ니라:
(의로운 방향으로) 옮아가느니라. ‘옯’은 ‘옮’의 오각이다. 공교롭게도 『소학언해』(3:3ㄱ)에도 ‘옯’으로 적혀 있다. 옮-[遷]+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진 사람은 친근하게 대하는 상대에 대해서도 공경하며, 두려운 상대에 대해서도 사랑하며, 사랑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그른 일을 알아차리며, 미워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선한 일을 알아차리며, 재물을 쌓아 두었으면서도 능히 흩어 주며, 편안한 일을 편안히 여기면서도 그릇됨을 알면 능히 (선한 방향으로) 옮기느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해)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이는 현자(賢者)는 그 친한 상대도 능히 공경하고, 그 두려워하는 상대도 능히 사랑하며, 그 사랑하는 상대에 대해서도 능히 그 악함을 알고, 그 미워하는 상대에 대해서도 능히 그 선함을 알며, 비록 재물을 쌓아 두더라도 능히 흩어서 베풀고, 비록 편안함을 편안히 누리더라도 능히 의(義)에 옮아가서, (이 도리를) 가히 본보기로 삼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니, 위와 아래 글의 금지하고 경계한 말과는 같지 않다.” 응씨(應氏)가 말하였다. “안안(安安)은 편안한 바에 따라 편안히 누림이니, 편안히 누림은 인(仁)을 따르는 것이고, 옮기는 것은 의(義)를 결단하는 것이다.”(朱子曰 此言賢者 於其所狎 能敬之 於其所畏 能愛之 於其所愛 能知其惡 於其所憎 能知其善 雖積財而能散施 雖安安而能徙義 可以爲法 與上下文禁戒之辭不同 應氏曰 安安者 隨所安而安也 安者仁之順 遷者義之決). 응씨(應氏)는 응용(應鏞)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딘: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이 책(3:36ㄱ)에서는 ‘어딘’이 ‘세력(힘)이 있는’을 뜻한다. 다음 예문에서는 ‘어딘’이 ‘존귀한’과 ‘유능한’을 뜻한다. ¶①尊者 尊시니라 혼 마리니 어딘 사 고마야 尊者ㅣ라 니라〈석보상절 3:7ㄴ〉 ②良醫 어딘 醫員이라〈월인석보 17:15ㄴ〉.
주002)
조라이:친근하게. 조랍-[親]+이(부사형 연결 어미). ᄌᆞ올압다〉조랍다. ¶①親 올아 씨오 近은 갓가 씨라〈석보상절 13:15ㄴ〉 ②늘거 가매 올아이 아논 사  보미 드므도다〈두시언해 초간본10:46ㄴ〉. ‘ᄌᆞ올압-’의 ‘ㄹ’이 연철되지 않은 것은 ‘-압-’의 소급형이 ‘-갑-’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책에 ‘조라이’(4:7ㄱ)와 ‘졸아와도(=친근하여도)’(4:17ㄴ)가 있다.
주003)
홀:할.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
주004)
듸도:곳(바, 상대)에 대해서도. 여기의 ‘듸’는 의존 명사 ‘ᄃᆡ’의 이형태로 보인다. 듸(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도(보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뒤에서 부사격 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押而敬之’는 ‘친근하게 대하면서도(지내면서도) 공경한다’로도 번역할 수 있을 듯하지만, 『소학집해』의 주석 “於其所狎 能敬之(그 친한 상대에 대해서도 능히 공경하고)”에서는 다르게 보았다. 이 책의 번역은 『소학집해』의 주석과 부합한다. ‘조라이 홀 듸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조라온 ᄃᆡ’로 바뀌었는데, 이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조라온 ᄃᆡ’는 ‘관형어+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의 구조이다.
주005)
저픈:두려운. 젛-[畏, 懼](동사 어간)+브(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주006)
ᄃᆡ도:곳(바, 상대)에 대해서도. ‘ᄃᆡ’는 바로 앞에 쓰인 의존 명사 ‘듸’의 이형태이다. ᄃᆡ(의존 명사)+Ø(부사격 조사)+도(보조사). ‘저픈 ᄃᆡ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저픈 ᄃᆡ’로 바뀌었다.
주007)
ᄉᆞ라ᇰᄒᆞ오니도:사랑스러운 사람이라 하더라도. ᄉᆞ라ᇰ[愛]+ᄒᆞ-+오(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도(보조사). ‘ᄉᆞ라ᇰᄒᆞ온’은 ‘ᄉᆞ라ᇰᄒᆞᄫᆞᆫ’의 발달형인데, ‘ᄉᆞ라ᇰᄒᆞᄫᆞᆫ’은 ‘ᄉᆞ라ᇰ+ᄒᆞ-+ㅂ(형용사 파생 접미사)+ᄋᆞᆫ(관형사형 어미)’의 구조이다. ‘ᄉᆞ라ᇰᄒᆞ오니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ᄉᆞ라ᇰ호온 ᄃᆡ’로 바뀌었다.
주008)
왼:그른. 외-[非, 惡]+ㄴ(관형사형 어미). ‘왼 이를’이 『소학언해』(3:3ㄱ)에서는 ‘그 사오나옴을’로 바뀌었다.
주009)
이를:일을. 것을. 면(面)을. 일+을.
주010)
믜우니도:미운 사람이라 하더라도. 믭-[憎](형용사 어간)+은(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도(보조사). ‘믜운’은 ‘믜ᄫᅳᆫ’의 발달형인데, ‘믜ᄫᅳᆫ’은 ‘믜-[憎](동사 어간)+ㅂ(형용사 파생 접미사)+은(관형사형 어미)’의 구조이다. ‘믜우니도’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믜여ᄒᆞᄂᆞᆫ ᄃᆡ’로 바뀌었다.
주011)
어딘:어진. 선한.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善,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주012)
자븐거슬:재물을. 재산을. 자ᄇᆞᆫ것〉자븐것. ‘자ᄇᆞᆫ것(자븐 것)’은 대개는 ‘연장, 쟁기, 그릇’ 등을 뜻한다. ¶①匠人 자것  사미라〈석보상절 11:10ㄴ〉 ②너희 둘히 리 니러 자븐것 설어저 짐시리 라〈번역노걸대 상 58ㄴ-59ㄱ〉. 한편 ‘자ᄇᆞᆫ일’은 ‘세상사(世上事)’를 뜻한다. ¶그 저긔 仙人山 中에 獼猴王이 이쇼 聰明고 자일 만히 아더니 제 겨지비 죽거늘 다 암 어른대〈월인석보 7:16ㄴ〉. 원문 ‘積而能散’에서는 목적어가 드러나지 않았는데 언해문에서는 목적어를 사용하였다. ‘자븐거슬 사하 두ᄃᆡ’가 『소학언해』(3:3ㄱ)에서는 목적어가 생략된 ‘싸하 두ᄃᆡ’로 바뀌었다. 이 책의 다른 곳에 있는 ‘자븐 것’(4:11ㄱ)도 『소학언해』(3:10ㄱ)에서는 생략되었다.
주013)
느ᇰ히:능히. 『소학언해』(3:3ㄱ)에서는 ‘能히’로 바뀌었다.
주014)
흐터:흩어. (다른 사람에게) 나누어 (주며). 흩-[散]+어(연결 어미).
주015)
이ᄅᆞᆯ:일을. ‘편안ᄒᆞᆫ 이ᄅᆞᆯ’이 『소학언해』(3:3ㄱ)에서는 ‘편안ᄒᆞᆫ ᄃᆡᄅᆞᆯ’로 바뀌었다.
주016)
너교ᄃᆡ:여기되. 너기-[做]+오ᄃᆡ(연결 어미).
주017)
외어든:그르면. 외-[違]+어든(연결 어미). ‘-어든’은 ‘-거든’의 ‘ㄱ’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원문에 없는 말을 보탠 것이다. 『소학언해』(3:3ㄱ)에는 이 낱말이 없다.
주018)
옯ᄂᆞ니라:(의로운 방향으로) 옮아가느니라. ‘옯’은 ‘옮’의 오각이다. 공교롭게도 『소학언해』(3:3ㄱ)에도 ‘옯’으로 적혀 있다. 옮-[遷]+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