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 명음식지절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음식지절 001


論론語어에 曰왈 食不블厭염精시며 膾회不블厭염細셰시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論론語어에 로 바블 주001)
바블:
밥을. ‘바블 히 슬흔 거 ~’은 이중 목적어 구문이다. 『소학언해』(3:24ㄴ)에서는 ‘밥을 精홈을 ~’로 바뀌었으나, 여전히 이중 목적어 구문이다. 아래의 ‘회ᄅᆞᆯ ᄀᆞᄂᆞ로ᄆᆞᆯ ~’도 이중 목적어 구문인데, 이 부분도 『소학언해』(3:24ㄴ)에서 ‘膾ᄅᆞᆯ ᄀᆞᄂᆞᆯ옴ᄋᆞᆯ ~’로 나타난다.
히 주002)
져ᇰ히:
정(精)하게. 정미(精微)하게. ‘져ᇰ히 슬흔 거ᄉᆞᆯ’이 『소학언해』(3:24ㄴ)에서는 ‘精홈을’로 바뀌었다. ‘精’는 ‘정미(精微)함’을 뜻하기도 하고 ‘찧다(쓿다)’를 뜻하기도 한다.
슬흔 주003)
슬흔:
쓿은. 슳-[搗精]+은(관형사형 어미). 슳다〉쓿다.
거 아쳗티 주004)
아쳗디:
싫어하지. 아쳗-[厭](동사 어간)+디. 형용사는 ‘아쳗브다’이다. ‘아쳘다, 아쳐ᄒᆞ다’도 쓰였다. ¶①이제 本覺ㅅ 不思議 熏力을 因야 아쳘며 求욜  니르와며〈원각경언해 하 1-2:16ㄴ〉 ②사ᄅᆞ미 리 벌에 조홈 더러옴 디 아니호 아쳐거〈초발심자경문 32ㄱ〉 ③피 흘러도 敢히 아쳐야 원탄티 아니고 敬을 닐으와며 孝를 닐으와들 디니라〈소학언해 2:2ㄱ〉. ‘아쳘-’은 ‘아쳗-+어’의 불규칙활용형인 ‘아쳐러’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로 형성된 어간으로 보인다. ‘아쳐다’는 ‘아쳐러ᄒᆞ다’에서 ‘ㄹ’이 탈락한 결과로 보인다.
아니시며 회 로 주005)
ᄀᆞᄂᆞ로ᄆᆞᆯ:
가늚을. ᄀᆞᄂᆞᆯ-[細]+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아쳗티 아니시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논어』에서 이르되, (공자께서는) 밥은 잘게 쓿은 것을 싫어하지 않으셨으며, 회(膾)는 얇은 것을 싫어하지 않으셨으며,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사(食)는 밥이고, 정(精)은 쓿는(도정하는) 것이다. 소와 양과 어물(魚物)의 날것을 얇게 떠서 썬 것을 회(膾)라 한다. 밥이 정(精)하면 능히 사람을 기르고, 회가 거칠면 사람을 해친다. 싫어하시지 않았다는 것은 이것을 좋아하셨다는 말이지, 꼭 그와 같기를 바라셨다는 것은 아니다.”(朱子曰 食飯也 精鑿也 牛羊與魚之腥 聶而切之爲膾 食精則能養人 膾麤則能害人 不厭 言以是爲善 非謂必欲如是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바블:밥을. ‘바블 히 슬흔 거 ~’은 이중 목적어 구문이다. 『소학언해』(3:24ㄴ)에서는 ‘밥을 精홈을 ~’로 바뀌었으나, 여전히 이중 목적어 구문이다. 아래의 ‘회ᄅᆞᆯ ᄀᆞᄂᆞ로ᄆᆞᆯ ~’도 이중 목적어 구문인데, 이 부분도 『소학언해』(3:24ㄴ)에서 ‘膾ᄅᆞᆯ ᄀᆞᄂᆞᆯ옴ᄋᆞᆯ ~’로 나타난다.
주002)
져ᇰ히:정(精)하게. 정미(精微)하게. ‘져ᇰ히 슬흔 거ᄉᆞᆯ’이 『소학언해』(3:24ㄴ)에서는 ‘精홈을’로 바뀌었다. ‘精’는 ‘정미(精微)함’을 뜻하기도 하고 ‘찧다(쓿다)’를 뜻하기도 한다.
주003)
슬흔:쓿은. 슳-[搗精]+은(관형사형 어미). 슳다〉쓿다.
주004)
아쳗디:싫어하지. 아쳗-[厭](동사 어간)+디. 형용사는 ‘아쳗브다’이다. ‘아쳘다, 아쳐ᄒᆞ다’도 쓰였다. ¶①이제 本覺ㅅ 不思議 熏力을 因야 아쳘며 求욜  니르와며〈원각경언해 하 1-2:16ㄴ〉 ②사ᄅᆞ미 리 벌에 조홈 더러옴 디 아니호 아쳐거〈초발심자경문 32ㄱ〉 ③피 흘러도 敢히 아쳐야 원탄티 아니고 敬을 닐으와며 孝를 닐으와들 디니라〈소학언해 2:2ㄱ〉. ‘아쳘-’은 ‘아쳗-+어’의 불규칙활용형인 ‘아쳐러’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로 형성된 어간으로 보인다. ‘아쳐다’는 ‘아쳐러ᄒᆞ다’에서 ‘ㄹ’이 탈락한 결과로 보인다.
주005)
ᄀᆞᄂᆞ로ᄆᆞᆯ:가늚을. ᄀᆞᄂᆞᆯ-[細]+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