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曾子ㅣ 曰왈 君군子ㅣ 所소貴귀乎호道도者쟈ㅣ 三삼이니 動容貌모애 斯遠원暴포慢만矣의며 正顔안色애 斯近근信신矣의며 出츌辭氣긔예 斯遠원鄙비倍패矣의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曾子ㅣ샤 君군子ㅣ 道도理리예 귀히 너기논 주001)
너기논:
여기는. 너기-[做]+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오(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너기다〉녀기다〉여기다.
거시 세히니 주002)
세히니:
셋이니. 세ㅎ[三](ㅎ말음체언)+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연결 어미).
얼굴 주003)
얼굴:
몸. 중세 국어에서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ᄂᆞᆾ’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얼골〉얼굴.
가죠매 주004)
가죠매:
가짐에. (몸짓을) 취함에. 가지-[取]+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원문의 ‘動容貌’는 ‘몸가짐’을 뜻한다. ‘가죠매’는 『소학언해』(3:6ㄱ)에 ‘가죰애’로 나타난다.
아니

번역소학 권4:7ㄱ

완며
주005)
아니완ᄎᆞᆯᄒᆞ며:
난폭하며. ‘暴’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6ㄱ)에서도 같이 나타난다. 다음 예문에서는 ‘아니완ᄒᆞ다’가 쓰였다. ¶아니완 사미 낫니라(出生歹人來)〈번역노걸대 상 27ㄱ〉. 이 예문 원문 중의 ‘대(歹)’는 ‘惡’을 뜻한다. ‘아니완ᄒᆞ-’가 쓰였으므로 ‘ᄎᆞᆯ’이 분석될 수 있을 듯한데, ‘ᄎᆞᆯ’의 의미나 형태적 성격은 확인되지 않는다.
헤펄러호 주006)
헤펄러호ᄆᆞᆯ:
거만(오만)함을. 헤펄러ᄒᆞ-[倨慢]+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어간 ‘헤퍼르-’는 확인되지 않는다. ‘-어 ᄒᆞ-’는 주로 형용사를 동사화하는 장치로 쓰이는데, ‘헤펄러ᄒᆞ-’는 동사가 아니고 형용사이다. 그 점에서 여기의 ‘-어 ᄒᆞ-’는 색채어 ‘퍼러ᄒᆞ다, 누러ᄒᆞ다’의 ‘-어 ᄒᆞ-’와 같은 부류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유사한 낱말로 ‘헤퍼디다’가 보인다. ¶蕩ᄋᆞᆫ 헤퍼딜 씨라〈능엄경언해 1:62ㄴ〉.
머리며 주007)
머리ᄒᆞ며:
멀리하며. 멀-[遠]+이(부사형 어미)+ᄒᆞ-+며. ‘머리ᄒᆞ-’는 합성어이다.
비 주008)
ᄂᆞᆺ비ᄎᆞᆯ:
낯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단히 주009)
단져ᇰ히:
단정(端正)히. ‘正’을 번역한 것이다.
호매 믿부메 주010)
믿부메:
미더움에. 믿-[信]+브(형용사 파생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갓가이며 주011)
갓가이ᄒᆞ며:
가까이. 갓갑-[近]+이(부사형 어미). 갓가ᄫᅵ〉갓가이. ‘갓가이ᄒᆞ다’는 합성어이다.
말 주012)
말ᄉᆞᆷ:
말. ‘말ᄉᆞᆷ과 긔운’은 ‘辭氣’를 번역한 것이다. 『소학언해』(3:6ㄱ)에도 같이 나타난다. 그러나 ‘辭氣’는 ‘말씨’ 정도의 의미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과 긔운 내요매 주013)
내요매:
냄에. 나-[出]+이(사동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야쇽 주014)
야쇽:
야속(野俗). 야비(野鄙). 비천(鄙賤). 현대 국어 ‘야속(野俗)하다’는 본래의 의미에서 아주 멀어져서 ‘무정하다’ 또는 ‘어떤 사람의 행위가 무정하여 섭섭하게 여겨지다’를 뜻한다.
며 거슯주 주015)
거슯주ᄆᆞᆯ:
(도리에) 어긋남을. 거슯즈-[倍, 背, 逆]+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소학언해』(3:6ㄱ)에는 ‘거슯즘을’로 나타난다. 원문의 ‘倍’를 번역한 것인데, 『소학집설』의 주석에서는 ‘倍與背同’이라 하였다. ‘倍’가 여기서는 ‘어기다, 배반하다’를 뜻한다는 것이다. 한편 원문에서 ‘倍’의 독음이 ‘패’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6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倍’는 ‘어기다, 배반하다, 야비하다’를 뜻할 때에는 ‘패’로 읽힌다. ¶어길 패〈신자전 1:7ㄴ〉. ‘거슯즈-’는 ‘거슬다, 거즈다, 거슰즈다’ 등으로도 표기되었으며, ‘거슯지다’도 나타난다. ‘--’의 의미가 분명치 않으나 접사로 보인다. ‘견조다, 다, 너기다, 자히다(=재다)’ 등에 그 예가 보인다.
업게 주016)
업게:
없게. ‘遠’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6ㄱ)에서는 ‘멀이’로 바뀌었다.
홀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증자(曾子)께서 말씀하시되, 군자가 도리에서 귀하게 여기는 것이 세 가지이니, 몸짓을 취함에 난폭하며 거만함을 멀리하며, 얼굴빛을 단정히 취함에 미더움에 가까이하며, 말과 기운(말의 기운)을 냄에 야비함과 도리에 어긋남을 없게 할지니라.
〈해설〉 출전 : 논어 태백편(泰伯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귀(貴)는 중(重: 소중함)과 같다. 용모(容貌)는 온몸을 말한다. 포(暴)는 거칢이고 만(慢)은 방자함이다. 신(信)은 진실함이니, 얼굴빛을 바르게 가져 미덥게 되면 얼굴빛만 엄숙한 것이 아니다. 사(辭)는 말이고 기(氣)는 목소리의 기운이다. 비(鄙)는 평범하고 비루함이고, 배(倍)는 배(背)와 같으니 도리에 어긋남을 말한다. 도(道)는 비록 있지 아니한 곳이 없지만 군자가 귀중히 여기는 것은 이 세 가지뿐임을 말한 것이다. 이는 모두 수신(修身)의 요체요 정치의 근본이니, 배우는 자는 마땅히 붙들어 지키고 성찰하여 조차전패(造次顚沛)의 때에라도 어김이 있어서는 안 된다.”(朱子曰 貴猶重也 容貌擧一身而言 暴粗厲也 慢放肆也 信實也 正顔色而近信 則非色莊也 辭言語 氣聲氣也 鄙凡陋也 倍與背同 謂背理也 言道雖無所不在 然君子所重者 在此三事而已 是皆修身之要 爲政之本 學者所當操存省察 而不可有造次顚沛之違者也). ‘조차전패(造次顚沛)’는 ‘엎어지고 구르는 급한 순간’ 즉 ‘위급하거나 정신을 차리기 어려운 상황’을 뜻한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너기논:여기는. 너기-[做]+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오(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너기다〉녀기다〉여기다.
주002)
세히니:셋이니. 세ㅎ[三](ㅎ말음체언)+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연결 어미).
주003)
얼굴:몸. 중세 국어에서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ᄂᆞᆾ’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얼골〉얼굴.
주004)
가죠매:가짐에. (몸짓을) 취함에. 가지-[取]+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원문의 ‘動容貌’는 ‘몸가짐’을 뜻한다. ‘가죠매’는 『소학언해』(3:6ㄱ)에 ‘가죰애’로 나타난다.
주005)
아니완ᄎᆞᆯᄒᆞ며:난폭하며. ‘暴’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6ㄱ)에서도 같이 나타난다. 다음 예문에서는 ‘아니완ᄒᆞ다’가 쓰였다. ¶아니완 사미 낫니라(出生歹人來)〈번역노걸대 상 27ㄱ〉. 이 예문 원문 중의 ‘대(歹)’는 ‘惡’을 뜻한다. ‘아니완ᄒᆞ-’가 쓰였으므로 ‘ᄎᆞᆯ’이 분석될 수 있을 듯한데, ‘ᄎᆞᆯ’의 의미나 형태적 성격은 확인되지 않는다.
주006)
헤펄러호ᄆᆞᆯ:거만(오만)함을. 헤펄러ᄒᆞ-[倨慢]+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어간 ‘헤퍼르-’는 확인되지 않는다. ‘-어 ᄒᆞ-’는 주로 형용사를 동사화하는 장치로 쓰이는데, ‘헤펄러ᄒᆞ-’는 동사가 아니고 형용사이다. 그 점에서 여기의 ‘-어 ᄒᆞ-’는 색채어 ‘퍼러ᄒᆞ다, 누러ᄒᆞ다’의 ‘-어 ᄒᆞ-’와 같은 부류로 볼 수 있을 듯하다. 유사한 낱말로 ‘헤퍼디다’가 보인다. ¶蕩ᄋᆞᆫ 헤퍼딜 씨라〈능엄경언해 1:62ㄴ〉.
주007)
머리ᄒᆞ며:멀리하며. 멀-[遠]+이(부사형 어미)+ᄒᆞ-+며. ‘머리ᄒᆞ-’는 합성어이다.
주008)
ᄂᆞᆺ비ᄎᆞᆯ:낯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주009)
단져ᇰ히:단정(端正)히. ‘正’을 번역한 것이다.
주010)
믿부메:미더움에. 믿-[信]+브(형용사 파생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에(부사격 조사).
주011)
갓가이ᄒᆞ며:가까이. 갓갑-[近]+이(부사형 어미). 갓가ᄫᅵ〉갓가이. ‘갓가이ᄒᆞ다’는 합성어이다.
주012)
말ᄉᆞᆷ:말. ‘말ᄉᆞᆷ과 긔운’은 ‘辭氣’를 번역한 것이다. 『소학언해』(3:6ㄱ)에도 같이 나타난다. 그러나 ‘辭氣’는 ‘말씨’ 정도의 의미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주013)
내요매:냄에. 나-[出]+이(사동 접미사)+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주014)
야쇽:야속(野俗). 야비(野鄙). 비천(鄙賤). 현대 국어 ‘야속(野俗)하다’는 본래의 의미에서 아주 멀어져서 ‘무정하다’ 또는 ‘어떤 사람의 행위가 무정하여 섭섭하게 여겨지다’를 뜻한다.
주015)
거슯주ᄆᆞᆯ:(도리에) 어긋남을. 거슯즈-[倍, 背, 逆]+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소학언해』(3:6ㄱ)에는 ‘거슯즘을’로 나타난다. 원문의 ‘倍’를 번역한 것인데, 『소학집설』의 주석에서는 ‘倍與背同’이라 하였다. ‘倍’가 여기서는 ‘어기다, 배반하다’를 뜻한다는 것이다. 한편 원문에서 ‘倍’의 독음이 ‘패’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6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倍’는 ‘어기다, 배반하다, 야비하다’를 뜻할 때에는 ‘패’로 읽힌다. ¶어길 패〈신자전 1:7ㄴ〉. ‘거슯즈-’는 ‘거슬다, 거즈다, 거슰즈다’ 등으로도 표기되었으며, ‘거슯지다’도 나타난다. ‘--’의 의미가 분명치 않으나 접사로 보인다. ‘견조다, 다, 너기다, 자히다(=재다)’ 등에 그 예가 보인다.
주016)
업게:없게. ‘遠’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6ㄱ)에서는 ‘멀이’로 바뀌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