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登城不블指지며 城上不블呼호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의 주001)
셔ᇰ의:
성(城)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올아셔 주002)
올아셔:
올라서. 올라가서. 오-[昇]+아(연결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어미). ‘-아셔’가 중세 국어 시기에 연결 어미로 굳어졌다. ‘오-’는 이른바 ‘ㄹㅇ’형 ‘르/’ 불규칙동사로서, ‘오+아’는 ‘올라’가 아니라 ‘올아’로 표기된다. ‘라-+아 → 라’(ㄹㄹ형)와 대조적이다. 『소학언해』(3:10ㄱ)에서는 표기법이 달라져 ‘을라’로 바뀌었다. ‘을’은 ‘올’의 오각이다.
소노로 주003)
소노로:
손으로. 손+오로(부사격 조사). ‘오로’는 ‘ᄋᆞ로’가 변한 것이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도 ‘ᄋᆞ로’가 ‘오로’로 변한 예가 많이 보이는데, ‘ㆍ’의 음가가 안정적이지 못하였기 때문인 듯하다. ¶延守ㅣ 왼소노로 아 발 잡고 올소노로 나 휫두루며〈속삼강행실도 효자:9ㄱ〉.
두루 주004)
두루:
두루. 이리저리. 두르-[周]+우(부사 파생 접미사).
치디 주005)
ᄀᆞᄅᆞ치디:
가리키지. ᄀᆞᄅᆞ치-[指]+디. 중세 국어의 ‘치다’에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가 다 있었다. ¶①訓民正音은 百姓 치시논 正 소리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右手左手로 天地 치샤 오 내 尊호라〈월인천강지곡 20〉. 현대 국어에서는 표준어 규정과는 무관하게 실제로는 ‘가르키다(가리키다)’가 두 가지 의미를 다 나타내는 말로 쓰이고 있는데, 이 현상의 근본적 원인은 두 가지 의미가 서로 무관하지 않다는 데 있을 것이다.
말며  우희셔 주006)
우희셔:
위에서. 우ㅎ[上](ㅎ말음체언)+의셔(부사격 조사). ‘의셔’는 ‘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브르지지디 주007)
브르지지디:
부르짖지. 브르-[呼]+지지-[喊]+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 ‘짖다’는 오분석에 따른 변화로 보인다. 즉 ‘지지-’에 ‘-어’가 붙은 활용형 ‘지져’가 ‘지저’로 발음된 것을 언중들이 어간 ‘짖-’과 어미 ‘-어’의 결합으로 오인하여 새로운 어간 ‘짖-’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가지다’에서 ‘갖다’가 파생되는 현상과 비례한다.
말며 주008)
말며:
말며. 여기서는 한 대목을 종결 형식으로 끝맺지 않고 연결 형식으로 끝맺었다. 12ㄱ에 가서야 문장 종결 형식이 나온다. 『소학언해』(3:10ㄱ-11ㄱ)도 마찬가지이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성(城)에 올라서 손으로 두루 가리키지 말며, 성 위에서 부르짖지 말며,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손가락으로 가리키면 보는 사람을 의혹하게 하고, 소리를 지르면 듣는 사람을 놀라게 한다.”(陳氏曰 有所指 則惑見者 有所呼 則駭聞者). 진씨(陳氏)는 진호(陳澔)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셔ᇰ의:성(城)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2)
올아셔:올라서. 올라가서. 오-[昇]+아(연결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어미). ‘-아셔’가 중세 국어 시기에 연결 어미로 굳어졌다. ‘오-’는 이른바 ‘ㄹㅇ’형 ‘르/’ 불규칙동사로서, ‘오+아’는 ‘올라’가 아니라 ‘올아’로 표기된다. ‘라-+아 → 라’(ㄹㄹ형)와 대조적이다. 『소학언해』(3:10ㄱ)에서는 표기법이 달라져 ‘을라’로 바뀌었다. ‘을’은 ‘올’의 오각이다.
주003)
소노로:손으로. 손+오로(부사격 조사). ‘오로’는 ‘ᄋᆞ로’가 변한 것이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도 ‘ᄋᆞ로’가 ‘오로’로 변한 예가 많이 보이는데, ‘ㆍ’의 음가가 안정적이지 못하였기 때문인 듯하다. ¶延守ㅣ 왼소노로 아 발 잡고 올소노로 나 휫두루며〈속삼강행실도 효자:9ㄱ〉.
주004)
두루:두루. 이리저리. 두르-[周]+우(부사 파생 접미사).
주005)
ᄀᆞᄅᆞ치디:가리키지. ᄀᆞᄅᆞ치-[指]+디. 중세 국어의 ‘치다’에는 [指]와 [敎] 두 가지 의미가 다 있었다. ¶①訓民正音은 百姓 치시논 正 소리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右手左手로 天地 치샤 오 내 尊호라〈월인천강지곡 20〉. 현대 국어에서는 표준어 규정과는 무관하게 실제로는 ‘가르키다(가리키다)’가 두 가지 의미를 다 나타내는 말로 쓰이고 있는데, 이 현상의 근본적 원인은 두 가지 의미가 서로 무관하지 않다는 데 있을 것이다.
주006)
우희셔:위에서. 우ㅎ[上](ㅎ말음체언)+의셔(부사격 조사). ‘의셔’는 ‘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007)
브르지지디:부르짖지. 브르-[呼]+지지-[喊]+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 ‘짖다’는 오분석에 따른 변화로 보인다. 즉 ‘지지-’에 ‘-어’가 붙은 활용형 ‘지져’가 ‘지저’로 발음된 것을 언중들이 어간 ‘짖-’과 어미 ‘-어’의 결합으로 오인하여 새로운 어간 ‘짖-’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가지다’에서 ‘갖다’가 파생되는 현상과 비례한다.
주008)
말며:말며. 여기서는 한 대목을 종결 형식으로 끝맺지 않고 연결 형식으로 끝맺었다. 12ㄱ에 가서야 문장 종결 형식이 나온다. 『소학언해』(3:10ㄱ-11ㄱ)도 마찬가지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