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 명음식지절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음식지절 001


번역소학 권4:26ㄱ

毋모咤타食식며 毋모齧혈骨골며 毋모反반魚어肉며 毋모投투與여狗구骨골며 毋모固고獲획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소리 주001)
소리:
소리[聲]. 원문 ‘毋咤食’을 이 책에서는 ‘소리 내 시버 먹디 말며’로 번역하였고, 『소학언해』(3:23ㄱ)에서는 ‘음식에 혀 ᄎᆞ디 말며’로 번역하였다. 『소학언해』의 번역이 위 주석의 내용과 부합한다. ‘咤’는 ‘꾸짖다’를 뜻하기도 하고 ‘입맛을 다시다’를 뜻하기도 한다.
주002)
내:
내어. 나-[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어간 말 모음 ‘ㅐ’ 뒤에서 ‘-어’가 외현되지 않은 모습이다. 이런 예는 아주 드물다. 다른 문헌에서는 ‘-어’의 이형태 ‘-야’가 나타난다. ¶① 소리 내야 〈석보상절 9:39ㄴ〉 ② 소리 내야 오샤〈법화경언해 6:125ㄴ〉.
시버 주003)
시버:
씹어. 십-[嚼]+어. 15세기 문헌에서 ‘십다’와 ‘씹다’가 공존하였다. ¶①哺 시버 머길 씨라〈월인석보 23:92ㄱ〉 ②呵  먹고 도로 내야 씨블 씨라〈능엄경언해 5:46ㄱ〉.
먹디 말며 주004)
말며:
말며. 원문의 ‘毋’ 자의 독음이 ‘모’로 되어 있다. 『소학언해』(3:28ㄱ)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 너흐디 주005)
너흐디:
물어뜯지. 너흘-[咬]+디.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믈-’과 ‘너흘-’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 ‘므너흘-’도 있었다. ¶가을 므너흘고 가을 우희며  업시 해 누으며〈마경초집언해 하 88ㄴ〉.
말며 먹던 고기 도로 주006)
도로:
도로. 돌-[廻]+오(부사 파생 접미사).
노티 말며 가히 주007)
가히ᄅᆞᆯ:
개에게. 가히[犬]+ᄅᆞᆯ. 여기의 목적격 조사 ‘ᄅᆞᆯ’은 기능 면에서는 부사격(여격) 조사와 같다. 현대 국어에서도 ‘이것을 누구를 줄까?’와 같은 문장이 성립한다. 『소학언해』(3:23ㄱ)에서는 ‘개ᄅᆞᆯ’로 나타난다.
 더뎌 주008)
더뎌:
던져. 더디-[投]+어(연결 어미).
주디 말며 구틔여 주009)
구틔여:
굳이. 구태여. 억지로. 강제로. 구틔-[敢]+어. 동사의 활용형 ‘구틔여’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구틔여’는 사전에서 ‘구태여. 억지로’라고 풀이하고 있는데, ‘굳이’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고, ‘감(敢)히’로 옮기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다. 동사 ‘구틔다’는 ‘굳히다’를 뜻한다.
어더머고려 주010)
어더머고려:
얻으먹으려. ‘머고려’의 구조는 ‘먹-[食]+오려(연결 어미)’이다. ‘-오려’의 기원적 구조는 ‘오(화자 초점 표지)+리(선어말 어미)+어(연결 어미)’이다. ‘어더머고려’가 『소학언해』(3:23ㄱ)에서는 ‘어두려’로 나타난다. ‘어두려’의 ‘-우-’는 ‘-오-’의 이형태이다. 여기의 ‘-오/우-’는 화자가 주어이거나 서술어일 때에 쓰이는 화자 초점 표지 ‘-오/우-’의 분포가 확대된 것이다.
말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소리 내어 씹어 먹지 말며, 뼈를 물어뜯지 말며, 먹던 고기를 (그릇에) 도로 놓지 말며, 개한테 뼈를 던져 주지 말며, 굳이 얻어먹으려 하지 말며,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타식(咤食)은 음식을 받아들고서 혀를 차는 것이다.” 공씨(孔氏)는 ‘혀로써 입 속에서 소리를 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혀를 차지 말라는 것은 기(氣)가 노여워함과 같음을 두려워한 것이고, 뼈를 물어뜯지 말라는 것은 그 소리가 들리지 않을까 의심스러워서이다. 어육(魚肉)을 도로 놓지 말라는 것은 남은 음식을 그릇에 도로 놓지 않는 법이기 때문이니, 정씨(鄭氏)는 “이미 입을 거친 것이어서 사람들이 더럽게 여기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개한테 뼈를 던지지 말라는 것은 주인의 물건을 감히 천하게 여길 수 없기 때문이다. 고획(固獲)은 (음식을) 반드시 취하고자 함을 이른 것이다.(陳氏曰 咤食謂食而叱咤 孔氏 謂以舌口中作聲 毋咤恐似於氣之怒也 毋齧嫌其聲之聞也 毋反魚肉 不以所餘反於器 鄭云 謂己歷口 人所穢也 毋投與狗骨 不敢賤主人之物也 固獲謂必欲取之也). 진씨(陳氏)는 진호(陳澔)이다. 공씨(孔氏)는 당(唐)나라 태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공영달(孔穎達: 574~648)이다. 천문과 수학에 능통하였으며 『수서(隋書)』와 『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하였다. 정씨(鄭氏)는 정현(鄭玄: 127~200)이다. 자(字)는 강성(康成)이며, 마융(馬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소리:소리[聲]. 원문 ‘毋咤食’을 이 책에서는 ‘소리 내 시버 먹디 말며’로 번역하였고, 『소학언해』(3:23ㄱ)에서는 ‘음식에 혀 ᄎᆞ디 말며’로 번역하였다. 『소학언해』의 번역이 위 주석의 내용과 부합한다. ‘咤’는 ‘꾸짖다’를 뜻하기도 하고 ‘입맛을 다시다’를 뜻하기도 한다.
주002)
내:내어. 나-[出]+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 어간 말 모음 ‘ㅐ’ 뒤에서 ‘-어’가 외현되지 않은 모습이다. 이런 예는 아주 드물다. 다른 문헌에서는 ‘-어’의 이형태 ‘-야’가 나타난다. ¶① 소리 내야 〈석보상절 9:39ㄴ〉 ② 소리 내야 오샤〈법화경언해 6:125ㄴ〉.
주003)
시버:씹어. 십-[嚼]+어. 15세기 문헌에서 ‘십다’와 ‘씹다’가 공존하였다. ¶①哺 시버 머길 씨라〈월인석보 23:92ㄱ〉 ②呵  먹고 도로 내야 씨블 씨라〈능엄경언해 5:46ㄱ〉.
주004)
말며:말며. 원문의 ‘毋’ 자의 독음이 ‘모’로 되어 있다. 『소학언해』(3:28ㄱ)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05)
너흐디:물어뜯지. 너흘-[咬]+디.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믈-’과 ‘너흘-’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 ‘므너흘-’도 있었다. ¶가을 므너흘고 가을 우희며  업시 해 누으며〈마경초집언해 하 88ㄴ〉.
주006)
도로:도로. 돌-[廻]+오(부사 파생 접미사).
주007)
가히ᄅᆞᆯ:개에게. 가히[犬]+ᄅᆞᆯ. 여기의 목적격 조사 ‘ᄅᆞᆯ’은 기능 면에서는 부사격(여격) 조사와 같다. 현대 국어에서도 ‘이것을 누구를 줄까?’와 같은 문장이 성립한다. 『소학언해』(3:23ㄱ)에서는 ‘개ᄅᆞᆯ’로 나타난다.
주008)
더뎌:던져. 더디-[投]+어(연결 어미).
주009)
구틔여:굳이. 구태여. 억지로. 강제로. 구틔-[敢]+어. 동사의 활용형 ‘구틔여’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구틔여’는 사전에서 ‘구태여. 억지로’라고 풀이하고 있는데, ‘굳이’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고, ‘감(敢)히’로 옮기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다. 동사 ‘구틔다’는 ‘굳히다’를 뜻한다.
주010)
어더머고려:얻으먹으려. ‘머고려’의 구조는 ‘먹-[食]+오려(연결 어미)’이다. ‘-오려’의 기원적 구조는 ‘오(화자 초점 표지)+리(선어말 어미)+어(연결 어미)’이다. ‘어더머고려’가 『소학언해』(3:23ㄱ)에서는 ‘어두려’로 나타난다. ‘어두려’의 ‘-우-’는 ‘-오-’의 이형태이다. 여기의 ‘-오/우-’는 화자가 주어이거나 서술어일 때에 쓰이는 화자 초점 표지 ‘-오/우-’의 분포가 확대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