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번역소학 권4:1ㄱ

飜번譯역小쇼學ᄒᆞᆨ 卷권之지四ᄉᆞ 內ᄂᆡ篇편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敬겨ᇰ身신第뎨三삼 주001)
겨ᇰ신 뎨삼:
경신(敬身) 제 3. 이 대목은 편명(篇名)에 해당하므로 언해문은 없지만, 편명의 의미가 협주의 형식으로 풀이되어 있다. 책에는 협주의 어미(魚尾)가 없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협주 부분을 【 】 (어미)로 묶었다. 『소학언해』(3:1ㄱ)에서는 다른 방식을 취하였다. 편명(篇名) ‘敬身 第三’은 ‘敬身 第三이라’로, 협주 ‘몸 홀 일 니 셋잿 편이라’는 언해문의 형식으로 바뀌어, 『소학언해』에서는 ‘몸 고ᇰ겨ᇰ홈이니 ᄎᆞ례예 셋재라’로 나타난다.
주002)
몸:
몸. 여기서는 ‘자기 자신의 몸’을 말한다. 즉 ‘경신(敬身)’은 자기 몸에 대한 공경이다. 자기 몸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므로 그 몸을 소중히 보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홀 주003)
고ᇰ경홀:
공경(恭敬)할. 삼갈. 고ᇰ겨ᇰ(恭敬)+ᄒᆞ-+오/우(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
니 주004)
니:
이른. 말한. 니ᄅᆞ-[謂]+ㄴ(관형사형 어미).
셋잿 주005)
셋잿:
셋째의. 셋[三]+재(서수사 파생 접미사)+ㅅ(관형격 조사). 서수사를 형성하는 중세 국어 접미사에는 ‘-자히(-재, -자), -짜히, -차히(-채, -차)’가 있었다. ‘셋자히’는 15세기 문헌에서 보이지 않고 ‘세차히’가 보인다. ¶세차힌 山行 거나 노 거나 婬亂 맛들어나 수으를 즐기거나〈석보상절 9:37ㄱ〉 ②세차힌 迦葉波佛이시고 네차힌 釋迦牟尼佛이시니〈월인석보 1:51ㄱ〉.
편이라 주006)
편이라:
편(篇)이다. 편(篇)+이-(서술격 조사 어간)+라. 이 ‘-라’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다. ‘-라’에는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인 ‘-라’도 있고, 연결 어미 ‘-어/아’의 이형태인 ‘-라’도 있다. 전자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나 ‘-오-,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 어미 뒤에서 쓰이고, 후자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쓰인다. 서술격 조사 어간 뒤의 ‘-라’가 종결 어미인지 연결 어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은 없다. 여기서 ‘편이니라’가 아닌 ‘편이라’가 쓰인 것은 ‘-니-’의 문법적 기능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있다. ‘-니-’는 명제 내용에 대한 청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즉 약한 설득의 의도를 나타낸다. 그런데 여기의 ‘~편이라’는 편명(篇名)에 해당하여, 그러한 의도가 드러날 상황이 아니다. 그러므로 ‘편이니라’가 아닌 ‘편이라’가 쓰인 것이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제4권
내편
제3편 경신(敬身)【몸 공경하는 일을 이른 셋째 편이다.】
〈해설〉 제목에 해당한다.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경신(敬身)은 몸가짐을 공경으로써 하는 것이다. 모두 46장(章)이다.”(陳氏曰 敬身者 敬以持身也 凡四十六章). 진씨(陳氏)는 진선(陳選: 1429~1486)으로 보인다. 『소학언해』는 제 3권이 이 내용으로 시작된다. 『소학』은 인용문의 출처에 따라 장(章)이 바뀌는데, 새로운 장이 시작될 때의 표시 방법 면에서 이 책은 『소학집설(小學集說)』과 같다. 즉 새로운 장(章)이 시작될 때 『소학집성(小學集成)』에서는 ‘一, 二, 三 …’과 같은 일련번호를 붙였고, 『소학집설』에서는 ○으로 표시하였는데, 이 책에서는 『소학집설』과 같이 ○으로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단, 새로운 편(篇)이 시작되는 위치에서는 ○ 표시가 없다. 굳이 표시하지 않아도 첫 장(章)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소학언해』도 이 책과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겨ᇰ신 뎨삼:경신(敬身) 제 3. 이 대목은 편명(篇名)에 해당하므로 언해문은 없지만, 편명의 의미가 협주의 형식으로 풀이되어 있다. 책에는 협주의 어미(魚尾)가 없지만, 여기서는 편의상 협주 부분을 【 】 (어미)로 묶었다. 『소학언해』(3:1ㄱ)에서는 다른 방식을 취하였다. 편명(篇名) ‘敬身 第三’은 ‘敬身 第三이라’로, 협주 ‘몸 홀 일 니 셋잿 편이라’는 언해문의 형식으로 바뀌어, 『소학언해』에서는 ‘몸 고ᇰ겨ᇰ홈이니 ᄎᆞ례예 셋재라’로 나타난다.
주002)
몸:몸. 여기서는 ‘자기 자신의 몸’을 말한다. 즉 ‘경신(敬身)’은 자기 몸에 대한 공경이다. 자기 몸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므로 그 몸을 소중히 보전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003)
고ᇰ경홀:공경(恭敬)할. 삼갈. 고ᇰ겨ᇰ(恭敬)+ᄒᆞ-+오/우(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
주004)
니:이른. 말한. 니ᄅᆞ-[謂]+ㄴ(관형사형 어미).
주005)
셋잿:셋째의. 셋[三]+재(서수사 파생 접미사)+ㅅ(관형격 조사). 서수사를 형성하는 중세 국어 접미사에는 ‘-자히(-재, -자), -짜히, -차히(-채, -차)’가 있었다. ‘셋자히’는 15세기 문헌에서 보이지 않고 ‘세차히’가 보인다. ¶세차힌 山行 거나 노 거나 婬亂 맛들어나 수으를 즐기거나〈석보상절 9:37ㄱ〉 ②세차힌 迦葉波佛이시고 네차힌 釋迦牟尼佛이시니〈월인석보 1:51ㄱ〉.
주006)
편이라:편(篇)이다. 편(篇)+이-(서술격 조사 어간)+라. 이 ‘-라’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다. ‘-라’에는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인 ‘-라’도 있고, 연결 어미 ‘-어/아’의 이형태인 ‘-라’도 있다. 전자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나 ‘-오-,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 어미 뒤에서 쓰이고, 후자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쓰인다. 서술격 조사 어간 뒤의 ‘-라’가 종결 어미인지 연결 어미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은 없다. 여기서 ‘편이니라’가 아닌 ‘편이라’가 쓰인 것은 ‘-니-’의 문법적 기능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있다. ‘-니-’는 명제 내용에 대한 청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즉 약한 설득의 의도를 나타낸다. 그런데 여기의 ‘~편이라’는 편명(篇名)에 해당하여, 그러한 의도가 드러날 상황이 아니다. 그러므로 ‘편이니라’가 아닌 ‘편이라’가 쓰인 것이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