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足죡容重며 手슈容恭며 目목容端

번역소학 권4:13ㄱ

단며 口구容止지며 聲容靜며 頭두容直딕며 氣긔容肅슉며 立립容德덕며 色容莊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바 주001)
바ᄅᆡ:
발의. 발[足]+ᄋᆡ(관형격 조사). 15세기 국어에서 ‘ᄇᆞᆯ(평성)’은 ㅎ말음체언(ㅎ종성체언)이었는데 현대 국어의 ‘팔[臂, 腕]’에 해당하고, ‘발(거성)’은 현대 국어의 ‘발[足]’에 해당하며, ‘ᄑᆞᆯ(거성)’은 오늘날의 ‘파리(蠅)’를 뜻한다. 그런데 16세기 초 문헌에서 [臂, 腕]을 뜻하는 ‘ᄇᆞᆯ’이 ‘ᄑᆞᆯ’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肱 ᄑᆞᆯ 굉 臂  비〈훈몽자회 比叡 상 13ㄴ〉. ‘바ᄅᆡ’가 『소학언해』(3:11ㄴ)에서는 ‘발의’로 바뀌었다.
으란 주002)
야ᇰ으란:
모양은. 야ᇰ(樣)+으란(대조와 차이의 보조사). ‘으란’은 현대 국어의 보조사 ‘일랑은’으로 발달하였다. 『소학언해』(3:11ㄴ)에서는 ‘야ᇰ은’으로 바뀌었다.
므겁게 주003)
므겁게:
무겁게. 므겁다〉무겁다.
며 소 으란 히 며 누 으란 단히 며 이븨 란 마니 주004)
ᄀᆞ마니:
가만히. ᄀᆞ만(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몰래’를 뜻하기도 한다. ¶竊은 마니 도 씨라〈월인석보 23:31ㄱ〉.
잇게 주005)
잇게:
있게. 잇-[有, 在]+게(연결 어미). ‘-게’와 ‘-긔’는 수의적으로 교체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잇긔’의 예는 아주 드물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문헌을 통털어도 다음 예 외에는 찾기 어렵다. ¶다 菩提 道中에 便安히 잇긔 며〈석보상절 9:5ㄴ〉. ‘ᄀᆞ마니 잇게 ᄒᆞ며’가 『소학언해』(3:11ㄴ)에서는 ‘ᄀᆞ마니 이시며’로 바뀌었다. ‘ᄀᆞ마니 이시-’는 ‘ᄀᆞ마니 시-’로 나타나기도 한다. ¶①生理예 다시 흐르며 마니 시며 뮈여 올모미 업스니라〈능엄경언해 10:14ㄴ〉 ②녜예 빗나며 이제 솟나며 니며 마니 시며 안며 누으며 말며 며 …〈금강경삼가해 1:3ㄱ〉.
며 소 주006)
소ᄅᆡ:
소리. 『소학언해』(3:10ㄴ)에서도 ‘소ᄅᆡ’가 쓰였다. 이 책에서는 ‘소리’도 보인다(4:7ㄴ). 15세기 문헌에서는 ‘소리’와 ‘소ᄅᆡ’가 다 쓰였는데, ‘소리’의 예가 압도적으로 많다. ¶①訓은 칠 씨오 民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훈민정음언해 1ㄱ〉 ②녯 귀로 소 드러 實相 得면〈월인석보 15:5ㄱ〉.
 으란 안케 주007)
안져ᇰ케:
안정(安靜)하게. ‘安定’이 아니고 ‘安靜’이다.
며 머리의 으란 곧게 며 긔우늬 주008)
긔우늬:
기운(氣運)의.
으란 嚴엄肅슉히 며 셧 주009)
셧ᄂᆞᆫ:
서 있는. 셔-[立]+어(연결 어미)+잇-[在]+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완료 지속상을 나타내는 ‘-어 잇-’이 ‘-엇-’으로 축약된 것이다. 이것이 발달한 현대 국어의 완료 지속상 표지 ‘-었-’ 뒤에 동사 표지인 ‘-느-’가 올 수 있는 것은 기원적 구조 면에서 ‘-었-’의 마지막 요소인 ‘잇-’이 동사 어간이기 때문이다.
으란 유덕히 주010)
유덕히:
유덕(有德)하게. 덕이 있게.
며 비 주011)
ᄂᆞᆺ비ᄎᆡ:
낯빛의. ᄂᆞᆾ[顔]+빛[色]+ᄋᆡ(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ᄋᆡ, 의’가 있었는데, ‘ㅅ’은 무정 명사나 존대의 대상인 유정 명사 뒤에 쓰이고, ‘ᄋᆡ, 의’는 존대의 대상이 아닌 유정 명사 뒤에 쓰였다. ‘’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하며 ‘얼골, 얼굴’은 [體, 形]을 뜻한다.
으란 싁싀기 주012)
싁싀기:
엄숙하게. 싁싁[莊](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싁싁ᄒᆞ다’에는 ‘웅장하다, 위엄이 있다, 엄격하다, 엄정하다, 매우 강하다’ 등의 의미가 있다. ¶①須達이 보니 여슷 하래 宮殿이 싁싁더라〈석보상절 6:35ㄴ〉 ②즐거쎠 즐거쎠 如來 겨실 쩌긔 우리 논 이 禁止야 法이 싁싁 우리히 甚히 어려 다소니 이제 涅槃시니 싁싁 法이 마 업스리로다〈석보상절 23:41ㄴ-42ㄱ〉 ③朔風이 싁싁야 서리와 눈괘 하해 고〈금강경삼가해 4:18ㄱ〉. ‘싁싁ᄒᆞ다’가 ①에서는 웅장함을 뜻하고, ②에서는 ‘엄격함’을 뜻하며, ③에서는 ‘매우 강함’을 뜻한다.
홀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발의 모양은 무겁게 하며, 손의 모양은 공손하게 하며, 눈의 모양은 단정하게 하며, 입의 모양은 가만히 있게 하며, 소리의 모양은 안정(安靜)하게 하며, 머리(고개)의 모양은 곧게 하며, 숨쉬는 모양은 엄숙하게 하며, 서 있는 모양은 유덕(有德)하게 하며, 얼굴빛의 모양은 엄숙하게 할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옥조(玉藻). 주석(소학집해)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중(重)은 가볍게 들어 옮기지 않는 것이고, 공(恭)은 함부로 행하지 않는 것이고, 단(端)은 곁눈질하지 않는 것이고, 지(止)는 경망스럽게 움직이지 않는 것이고, 정(靜)은 구역질하거나 기침하지 않는 것이고, 직(直)은 (고개를) 기울여서 돌아보지 않음이고, 숙(肅)은 숨을 쉬지 않는 듯이 하는 것이고, 덕(德)은 바르게 서서 몸을 기울이지 아니하여 의젓하고 덕이 있는 기상을 말하고, 장(莊)은 엄숙함을 지키는 모양이다.”(陳氏曰 重不輕擧移也 恭毋慢弛也 端毋邪視也 止不妄動也 靜不噦咳也 直不傾顧也 肅似不息也 德謂中立不倚 儼然有德之氣象也 莊矜持之貌也). 진씨(陳氏)는 진호(陳澔)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바ᄅᆡ:발의. 발[足]+ᄋᆡ(관형격 조사). 15세기 국어에서 ‘ᄇᆞᆯ(평성)’은 ㅎ말음체언(ㅎ종성체언)이었는데 현대 국어의 ‘팔[臂, 腕]’에 해당하고, ‘발(거성)’은 현대 국어의 ‘발[足]’에 해당하며, ‘ᄑᆞᆯ(거성)’은 오늘날의 ‘파리(蠅)’를 뜻한다. 그런데 16세기 초 문헌에서 [臂, 腕]을 뜻하는 ‘ᄇᆞᆯ’이 ‘ᄑᆞᆯ’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肱 ᄑᆞᆯ 굉 臂  비〈훈몽자회 比叡 상 13ㄴ〉. ‘바ᄅᆡ’가 『소학언해』(3:11ㄴ)에서는 ‘발의’로 바뀌었다.
주002)
야ᇰ으란:모양은. 야ᇰ(樣)+으란(대조와 차이의 보조사). ‘으란’은 현대 국어의 보조사 ‘일랑은’으로 발달하였다. 『소학언해』(3:11ㄴ)에서는 ‘야ᇰ은’으로 바뀌었다.
주003)
므겁게:무겁게. 므겁다〉무겁다.
주004)
ᄀᆞ마니:가만히. ᄀᆞ만(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몰래’를 뜻하기도 한다. ¶竊은 마니 도 씨라〈월인석보 23:31ㄱ〉.
주005)
잇게:있게. 잇-[有, 在]+게(연결 어미). ‘-게’와 ‘-긔’는 수의적으로 교체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잇긔’의 예는 아주 드물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문헌을 통털어도 다음 예 외에는 찾기 어렵다. ¶다 菩提 道中에 便安히 잇긔 며〈석보상절 9:5ㄴ〉. ‘ᄀᆞ마니 잇게 ᄒᆞ며’가 『소학언해』(3:11ㄴ)에서는 ‘ᄀᆞ마니 이시며’로 바뀌었다. ‘ᄀᆞ마니 이시-’는 ‘ᄀᆞ마니 시-’로 나타나기도 한다. ¶①生理예 다시 흐르며 마니 시며 뮈여 올모미 업스니라〈능엄경언해 10:14ㄴ〉 ②녜예 빗나며 이제 솟나며 니며 마니 시며 안며 누으며 말며 며 …〈금강경삼가해 1:3ㄱ〉.
주006)
소ᄅᆡ:소리. 『소학언해』(3:10ㄴ)에서도 ‘소ᄅᆡ’가 쓰였다. 이 책에서는 ‘소리’도 보인다(4:7ㄴ). 15세기 문헌에서는 ‘소리’와 ‘소ᄅᆡ’가 다 쓰였는데, ‘소리’의 예가 압도적으로 많다. ¶①訓은 칠 씨오 民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훈민정음언해 1ㄱ〉 ②녯 귀로 소 드러 實相 得면〈월인석보 15:5ㄱ〉.
주007)
안져ᇰ케:안정(安靜)하게. ‘安定’이 아니고 ‘安靜’이다.
주008)
긔우늬:기운(氣運)의.
주009)
셧ᄂᆞᆫ:서 있는. 셔-[立]+어(연결 어미)+잇-[在]+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완료 지속상을 나타내는 ‘-어 잇-’이 ‘-엇-’으로 축약된 것이다. 이것이 발달한 현대 국어의 완료 지속상 표지 ‘-었-’ 뒤에 동사 표지인 ‘-느-’가 올 수 있는 것은 기원적 구조 면에서 ‘-었-’의 마지막 요소인 ‘잇-’이 동사 어간이기 때문이다.
주010)
유덕히:유덕(有德)하게. 덕이 있게.
주011)
ᄂᆞᆺ비ᄎᆡ:낯빛의. ᄂᆞᆾ[顔]+빛[色]+ᄋᆡ(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ᄋᆡ, 의’가 있었는데, ‘ㅅ’은 무정 명사나 존대의 대상인 유정 명사 뒤에 쓰이고, ‘ᄋᆡ, 의’는 존대의 대상이 아닌 유정 명사 뒤에 쓰였다. ‘’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하며 ‘얼골, 얼굴’은 [體, 形]을 뜻한다.
주012)
싁싀기:엄숙하게. 싁싁[莊](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싁싁ᄒᆞ다’에는 ‘웅장하다, 위엄이 있다, 엄격하다, 엄정하다, 매우 강하다’ 등의 의미가 있다. ¶①須達이 보니 여슷 하래 宮殿이 싁싁더라〈석보상절 6:35ㄴ〉 ②즐거쎠 즐거쎠 如來 겨실 쩌긔 우리 논 이 禁止야 法이 싁싁 우리히 甚히 어려 다소니 이제 涅槃시니 싁싁 法이 마 업스리로다〈석보상절 23:41ㄴ-42ㄱ〉 ③朔風이 싁싁야 서리와 눈괘 하해 고〈금강경삼가해 4:18ㄱ〉. ‘싁싁ᄒᆞ다’가 ①에서는 웅장함을 뜻하고, ②에서는 ‘엄격함’을 뜻하며, ③에서는 ‘매우 강함’을 뜻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