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번역소학 권4:15ㄱ

○曲곡禮례예 曰왈 凡범視시를 上於어面면則즉敖오고 下하於어帶則즉憂우ㅣ오 傾則즉姦간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曲곡禮례예 주001)
곡례예:
곡례(曲禮)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로 믈읫 주002)
믈읫:
무릇[凡]. 믈읫〉무릇. ‘믈읫’은 본래 ‘믈[衆]+읫(관형격 조사)’의 구조로 이루어진 낱말이다. ‘믈읫’은 대개 ‘凡’ 또는 ‘諸’의 번역으로 쓰였다. ‘諸’의 번역인 경우에는 ‘여러’(관형사)를 뜻한다. ‘凡’의 번역으로 쓰인 경우에는 두 가지로 나뉜다. 문장 전체를 꾸미는 경우도 있고 명사(명사구)를 꾸미는 경우도 있다. ‘읫’의 ‘ㅅ’은 관형격 조사인데, ‘의’는 관형격 조사인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인지 분명치 않다. ‘앳/엣’의 존재를 고려하면, ‘읫’의 ‘의’도 부사격 조사일 가능성이 있다.
보 주003)
보ᄆᆞᆯ:
봄을. 보는 것을. 보-[見]+옴/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보-’는 원래 거성(1점)이지만, 여기의 ‘봄’은 상성(2점)이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 주004)
ᄂᆞᄆᆡ:
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주005)
ᄂᆞᆺ:
낯(顔).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골,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우희 주006)
우희:
위에. 우ㅎ+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오면 주007)
오ᄅᆞ면:
오르면. 오ᄅᆞ-[昇]+면(연결 어미). 여기서 자동사를 쓴 것이 문제가 된다. 원문이 ‘凡視를 上於面則敖고’이고 언해문에서도 ‘믈읫 보ᄆᆞᆯ’이라 하였으므로, 타동사 ‘올이-’를 쓰는 것이 옳았을 것이다. ‘믈읫 보ᄆᆞᆯ ᄂᆞᄆᆡ ᄂᆞᆺ 우희 오ᄅᆞ면’이 『소학언해』(3:13ㄴ)에서는 ‘믈읫 봄이 ᄂᆞᆺᄎᆡ 올이면’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주어 ‘봄이’와 서술어 타동사 ‘올이면’의 불일치가 흥미롭다. 두 책 모두 실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조너고 주008)
조너ᄅᆞ고:
오만(傲慢)하고. 방자(放恣)하고. ‘敖’의 번역이다. 조너ᄅᆞ-[敖]+고. ‘조너ᄅᆞ다’는 이 책에서만 보인다. 종래의 사전들은 이 책이 발견되기 이전에 간행되었기 때문에 이 낱말을 수록하지 못하였다. 부사형 ‘조널이’는 『내훈』에서 보인다. ¶기춤며 하외욤며 기지게 며 녁 발이 쳐 드듸며 지여며 빗기 보 말며 조널이 춤 바며 고 프디 말며〈내훈 1:45ㄱ〉. 이 책의 ‘조너ᄅᆞ-’는 ‘조널이’가 ‘조너ᄅᆞ-(형용사 어간)+이(부사형 어미)’로 구성된 것임을 알게 해 준다. 이 책의 ‘조너ᄅᆞ고’가 『소학언해』(3:13ㄴ)에서는 ‘오만이오’로 바뀌었다. ‘오만’은 ‘傲慢’이 아니고 ‘敖慢’일 것이다.
주009)
ᄯᅴ:
허리띠. ᄯᅴ〉띠. 현대 국어 동사 ‘띠다’는 명사 ‘ᄯᅴ’에서 영파생된 동사 ‘ᄯᅴ다’가 발달한 것이다. ¶莽龍衣 袞龍袍애 寶玉帶 샤 이 들 닛디 마쇼셔〈용비어천가 112장〉. 명사에서 동사가 영파생된 경우는 그 예가 적지 않다. ¶ᄀᆞᄆᆞᆯ[旱]→ᄀᆞᄆᆞᆯ다, 신[履]→신다, 품[懷]→품다, 너출[蔓]→너출다.
아래 주010)
아래:
아래[下]에. 이전에. 아래+Ø(부사격조사).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에/예//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리오면 주011)
ᄂᆞ리오면:
내리면. ᄂᆞ리-[降]+오(사동 접미사)+면(연결 어미). 앞의 ‘오ᄅᆞ면’은 자동사인데 여기의 ‘ᄂᆞ리오-’는 타동사여서, 둘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소학언해』(3:13ㄴ)에서는 ‘믈읫 봄이 ᄂᆞᆺᄎᆡ 올이면 오만이오 ᄯᅴ예 ᄂᆞ리오면 근심홈이오’로 되어 있다. 타동사를 쓴 것이 일관성은 있지만,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주어 ‘봄이’와 호응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다른 문헌에 나타난 ‘ᄂᆞ리오-’의 예를 제시한다. ¶天爲建國샤 天命을 리오시니 亭上牌額 세 사 마치시니〈용비어천가 32장〉.
시르믈 주012)
시르믈:
시름을. 중세 국어 문헌에서 대개는 ‘시름’이 쓰였지만, ‘시ᄅᆞᆷ’도 보인다. ¶①須達이 지븨 도라와  무든 옷 닙고 시름야 잇더니 이틋나래 舍利弗이 보고 무른대〈석보상절 6:27ㄱ〉 ②네 몰라 受苦이 시야 사로 求니 甚히 어리도다〈원각경언해 서 77ㄱ〉. 이것은 중세 국어 시기에 이미 ‘ㆍ’의 음소적 위상이 흔들리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뒷 주013)
뒷ᄂᆞᆫ:
둔. 두-[置]+어(연결 어미)+잇-[在]+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연결 어미 ‘-어’와 동사 어간 ‘잇-’이 결합한 ‘-어 잇-’은 완료 지속상을 나타낸다. ‘-어 잇-’은 ‘-엣-’과 ‘-엇-’을 거쳐 ‘-었-’으로 발달하였다. 그런데 동사 ‘두-[置]’ 뒤에서는 ‘-어 잇-’이 ‘--’ 또는 ‘-ㅅ-’으로 교체되기도 한다. ¶①몸 안해 뒷니〈능엄경언해 1:46ㄴ〉 ②先生의 둣논 道理 羲皇ㅅ 우희 나고 先生의 둣논 조 屈原 宋玉게 넘도다〈두시언해 초간본 15:37ㄱ〉.
거시오 주014)
거시오:
것이고. 것(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고(연결 어미).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에 해당한다.
기우리면 주015)
기우리면:
기울이면. 기울-[傾]+이(사동 접미사)+면.
간샤 주016)
간샤ᄒᆞᆫ:
간사(姦邪)한.
 뒷 거시라 주017)
거시라:
것이다. 것(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라(평서문 종결 어미). ‘간샤ᄒᆞᆫ 거시라’가 『소학언해』(3:13ㄴ)에서는 ‘간샤ᄒᆞ니라’로 바뀌었다. ‘-니-’는 명제 내용에 대한 청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용적 의미는 언표내적 효력이 크지 않아서 ‘-니-’의 의미가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한편 평서문 종결 어미 ‘-라’는 ‘-다’의 이형태이다. 평서문 종결 어미 ‘-다’와 ‘-라’의 분포는 상보적이다.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 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라’는 ‘-오-,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 어미와 서술격 조사 뒤에 쓰였다. 그러나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인 ‘-라’ 외에 연결 어미 ‘-어/아’의 이형태인 ‘-라’도 있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곡례(曲禮)」에서 이르되, 무릇 시선을 남의 얼굴 위로 향하여 올라가면 오만하고, 띠 아래로 내리면 근심스러운 마음을 둔 것이 되고, 기울이면 간사한 마음을 둔 것이 된다.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여씨(呂氏)가 말하였다. “시선이 상대방의 얼굴 위로 올라가는 사람은 그 기운이 교만하니, 남에게 자기를 낮추지 못함을 알 수 있고, 띠 아래로 내려가는 사람은 그 정신이 빼앗겨서 그런 것이니, 마음에 근심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시선이 옆으로 흔들리면 몸이 기울어지게 되니, 반드시 바르지 못한 마음이 가슴속에 있는 것이니, 이는 군자가 삼가는 바이다.”(呂氏曰 上於面者 其氣驕 知其不能以下人矣 下於帶者 其神奪 知其憂在乎心矣 視流則容側 必有不正之心 存乎胸中矣 此君子之所以愼也). 여씨(呂氏)는 송(宋)나라 때 여대림(呂大臨: 1040~1092)이다. 자(字)는 여숙(與叔), 호(號)는 남전(藍田)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곡례예:곡례(曲禮)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주002)
믈읫:무릇[凡]. 믈읫〉무릇. ‘믈읫’은 본래 ‘믈[衆]+읫(관형격 조사)’의 구조로 이루어진 낱말이다. ‘믈읫’은 대개 ‘凡’ 또는 ‘諸’의 번역으로 쓰였다. ‘諸’의 번역인 경우에는 ‘여러’(관형사)를 뜻한다. ‘凡’의 번역으로 쓰인 경우에는 두 가지로 나뉜다. 문장 전체를 꾸미는 경우도 있고 명사(명사구)를 꾸미는 경우도 있다. ‘읫’의 ‘ㅅ’은 관형격 조사인데, ‘의’는 관형격 조사인지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인지 분명치 않다. ‘앳/엣’의 존재를 고려하면, ‘읫’의 ‘의’도 부사격 조사일 가능성이 있다.
주003)
보ᄆᆞᆯ:봄을. 보는 것을. 보-[見]+옴/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보-’는 원래 거성(1점)이지만, 여기의 ‘봄’은 상성(2점)이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주004)
ᄂᆞᄆᆡ: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주005)
ᄂᆞᆺ:낯(顔).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골,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주006)
우희:위에. 우ㅎ+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의’는 부사격 조사이다.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7)
오ᄅᆞ면:오르면. 오ᄅᆞ-[昇]+면(연결 어미). 여기서 자동사를 쓴 것이 문제가 된다. 원문이 ‘凡視를 上於面則敖고’이고 언해문에서도 ‘믈읫 보ᄆᆞᆯ’이라 하였으므로, 타동사 ‘올이-’를 쓰는 것이 옳았을 것이다. ‘믈읫 보ᄆᆞᆯ ᄂᆞᄆᆡ ᄂᆞᆺ 우희 오ᄅᆞ면’이 『소학언해』(3:13ㄴ)에서는 ‘믈읫 봄이 ᄂᆞᆺᄎᆡ 올이면’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주어 ‘봄이’와 서술어 타동사 ‘올이면’의 불일치가 흥미롭다. 두 책 모두 실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주008)
조너ᄅᆞ고:오만(傲慢)하고. 방자(放恣)하고. ‘敖’의 번역이다. 조너ᄅᆞ-[敖]+고. ‘조너ᄅᆞ다’는 이 책에서만 보인다. 종래의 사전들은 이 책이 발견되기 이전에 간행되었기 때문에 이 낱말을 수록하지 못하였다. 부사형 ‘조널이’는 『내훈』에서 보인다. ¶기춤며 하외욤며 기지게 며 녁 발이 쳐 드듸며 지여며 빗기 보 말며 조널이 춤 바며 고 프디 말며〈내훈 1:45ㄱ〉. 이 책의 ‘조너ᄅᆞ-’는 ‘조널이’가 ‘조너ᄅᆞ-(형용사 어간)+이(부사형 어미)’로 구성된 것임을 알게 해 준다. 이 책의 ‘조너ᄅᆞ고’가 『소학언해』(3:13ㄴ)에서는 ‘오만이오’로 바뀌었다. ‘오만’은 ‘傲慢’이 아니고 ‘敖慢’일 것이다.
주009)
ᄯᅴ:허리띠. ᄯᅴ〉띠. 현대 국어 동사 ‘띠다’는 명사 ‘ᄯᅴ’에서 영파생된 동사 ‘ᄯᅴ다’가 발달한 것이다. ¶莽龍衣 袞龍袍애 寶玉帶 샤 이 들 닛디 마쇼셔〈용비어천가 112장〉. 명사에서 동사가 영파생된 경우는 그 예가 적지 않다. ¶ᄀᆞᄆᆞᆯ[旱]→ᄀᆞᄆᆞᆯ다, 신[履]→신다, 품[懷]→품다, 너출[蔓]→너출다.
주010)
아래:아래[下]에. 이전에. 아래+Ø(부사격조사).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조사 ‘에/예//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11)
ᄂᆞ리오면:내리면. ᄂᆞ리-[降]+오(사동 접미사)+면(연결 어미). 앞의 ‘오ᄅᆞ면’은 자동사인데 여기의 ‘ᄂᆞ리오-’는 타동사여서, 둘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소학언해』(3:13ㄴ)에서는 ‘믈읫 봄이 ᄂᆞᆺᄎᆡ 올이면 오만이오 ᄯᅴ예 ᄂᆞ리오면 근심홈이오’로 되어 있다. 타동사를 쓴 것이 일관성은 있지만,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주어 ‘봄이’와 호응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다른 문헌에 나타난 ‘ᄂᆞ리오-’의 예를 제시한다. ¶天爲建國샤 天命을 리오시니 亭上牌額 세 사 마치시니〈용비어천가 32장〉.
주012)
시르믈:시름을. 중세 국어 문헌에서 대개는 ‘시름’이 쓰였지만, ‘시ᄅᆞᆷ’도 보인다. ¶①須達이 지븨 도라와  무든 옷 닙고 시름야 잇더니 이틋나래 舍利弗이 보고 무른대〈석보상절 6:27ㄱ〉 ②네 몰라 受苦이 시야 사로 求니 甚히 어리도다〈원각경언해 서 77ㄱ〉. 이것은 중세 국어 시기에 이미 ‘ㆍ’의 음소적 위상이 흔들리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주013)
뒷ᄂᆞᆫ:둔. 두-[置]+어(연결 어미)+잇-[在]+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연결 어미 ‘-어’와 동사 어간 ‘잇-’이 결합한 ‘-어 잇-’은 완료 지속상을 나타낸다. ‘-어 잇-’은 ‘-엣-’과 ‘-엇-’을 거쳐 ‘-었-’으로 발달하였다. 그런데 동사 ‘두-[置]’ 뒤에서는 ‘-어 잇-’이 ‘--’ 또는 ‘-ㅅ-’으로 교체되기도 한다. ¶①몸 안해 뒷니〈능엄경언해 1:46ㄴ〉 ②先生의 둣논 道理 羲皇ㅅ 우희 나고 先生의 둣논 조 屈原 宋玉게 넘도다〈두시언해 초간본 15:37ㄱ〉.
주014)
거시오:것이고. 것(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고(연결 어미).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에 해당한다.
주015)
기우리면:기울이면. 기울-[傾]+이(사동 접미사)+면.
주016)
간샤ᄒᆞᆫ:간사(姦邪)한.
주017)
거시라:것이다. 것(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라(평서문 종결 어미). ‘간샤ᄒᆞᆫ 거시라’가 『소학언해』(3:13ㄴ)에서는 ‘간샤ᄒᆞ니라’로 바뀌었다. ‘-니-’는 명제 내용에 대한 청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용적 의미는 언표내적 효력이 크지 않아서 ‘-니-’의 의미가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한편 평서문 종결 어미 ‘-라’는 ‘-다’의 이형태이다. 평서문 종결 어미 ‘-다’와 ‘-라’의 분포는 상보적이다.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 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 ‘-라’는 ‘-오-,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 어미와 서술격 조사 뒤에 쓰였다. 그러나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인 ‘-라’ 외에 연결 어미 ‘-어/아’의 이형태인 ‘-라’도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