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出츌門문야 如여見견大대賓빈며 使民민호 如여承大대祭졔며 己긔所소不블欲욕을 勿믈施시於어人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무늬 주001)
무늬:
문밖에. 문(門)+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2)
날:
나갈. 나-[出]+ㄹ(관형사형 어미). ‘나-’가 지닌 [生]과 [出]의 의미는 별개의 것은 아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후자에서 전자의 의미가 분화되어 나왔을 것이다.
저긔 주003)
저긔:
적에. 때에. 적[時]+의.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날 저긔’가 『소학언해』(3:4ㄱ)에서는 ‘날 제’로 바뀌었다. ‘제’ 뒤에는 부사격 조사가 생략되어 있다. 이 책의 ‘-ㄹ 저긔’는 『소학언해』에서 대개 ‘-ㄹᄉᆡ’로 바뀌었는데, 여기서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소 주004)
소ᄂᆞᆯ:
손[客]+ᄋᆞᆯ(목적격 조사).
시 주005)
ᄃᆞ시:
듯이. 관형사형 뒤에 쓰였으므로 부사성 의존 명사이다. 어간 바로 뒤에 나타날 때에는 어미로 처리한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과 ‘(-)ᄃᆞ시’가 다 나타나는데,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였는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그리고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 (-)ᄃᆞ시’는 많이 보이지만 ‘(-)듯, (-)드시’의 예는 아주 드물다. ¶①金剛杵ㅅ 머리마다 브리 술위 두르듯 야〈월인석보 7:35ㄴ〉 ②새집과 살기 門이 별 흗드시 사니(草閣柴扉星散居)〈두시언해 초간본 25:23ㄱ〉.
며  주006)
ᄇᆡᆨ셔ᇰ:
백성(百姓). ‘民’을 번역한 것이다. 『소학언해』(3:4ㄱ)에도 ‘ᄇᆡᆨ셔ᇰ’으로 나타난다. ‘백성(百姓)’은 국민 일반이 아니라, 촌장(村長)·촌정(村正) 등을 가리킨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그 의미는 고려 전기와 후기, 그리고 특히 말기에 크게 달라졌을 가능성이 많다고 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브료 주007)
브료ᄃᆡ:
부리되. 브리-[使]+오ᄃᆡ(연결 어미). 『소학언해』(3:4ㄱ-ㄴ)에는 ‘블요ᄃᆡ’로 적혀 있다.
주008)
졔:
제사(祭事). 『소학언해』(3:4ㄴ)에는 한자 ‘祭’로 표기되어 있다.
욤 주009)
ᄒᆞ욤:
함. ᄒᆞ-[爲]+옴(명사형 어미). 모음 충돌을 피하기 위해 반자음 [j]를 삽입한 것이다. ‘ㆍ’가 탈락한 ‘홈’과 구별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티 주010)
ᄀᆞ티:
같이.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며 주011)
내:
나의. 내가. 나[我]+ㅣ(관형격 조사).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그런데 여기의 ‘내’는 관형격 조사를 취하였지만 주어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서술어가 명사형이나 관형사형을 취할 때에 그 주어에 관형격 조사가 쓰이는데, 여기의 ‘나’의 서술어구가 ‘ᄒᆞ고져 아니ᄒᆞᄂᆞᆫ’이기 때문에 관형격 조사가 쓰인 것이다. 『소학언해』(2:46ㄱ)에서도 ‘내’가 ‘내’로 나타난다.
고져 아니 주012)
아니ᄒᆞᄂᆞᆫ:
아니하는. ‘ᄒᆞ디’의 개입이 없이 ‘ᄒᆞ고져’에 바로 결합한 것은 현대 국어 보조용언 ‘아니하-’와 다른 모습이다. ‘내 고져 아니’은 『소학언해』(3:4ㄴ)에서도 바뀌지 않았다.

번역소학 권4:5ㄱ

주013)
이ᄅᆞᆯ:
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게 주014)
ᄂᆞᄆᆡ게:
남에게. ᄂᆞᆷ+의게(부사격 조사). ‘의게’의 기원적 구조는 ‘의(관형격 조사)+그ᇰ(처소 지시 의존명사)+에(부사격 조사)’이다. ‘ᄂᆞᄆᆡ게’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사ᄅᆞᆷᄋᆡ게’로 바뀌었다. ‘人’을 ‘사ᄅᆞᆷ’으로 번역한 것은 ‘人’의 대표훈에 이끌린 번역이다. ‘게’의 횡선(橫線)이 지워져서 보이지 않는 ‘ᄀퟄ’로 나타나 있다.
벱디 주015)
벱디:
베풀지. 벺-[施]+디(보조적 연결 어미). 『소학언해』(3:4ㄴ)에서는 ‘베프디’로 바뀌었다. 일반적으로는 ‘베프다’가 근대 국어 시기에 ‘베플다’로 발달하였다. 어간 ‘벺-’의 예는 아주 드물다. ¶烏鳥含情을 벱고야 말녓노라〈노계선생문집: 사제곡〉. ‘벱’의 우하(右下) 위치에 권점(圈點)이 보이는데, 소장자가 그려 넣은 듯하다.
마롤 디니라 주016)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문밖에 나가면 큰 손님을 뵙듯이 하고, 백성을 부리되 큰 제사를 지내는 것같이 하며, 자기 자신이 하고자 하지 않는 일을 남에게 베풀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논어 안연편(顏淵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경(敬)으로써 자기 몸을 지키고, 서(恕)로써 남에게 미치면, 사사로운 뜻이 용납될 곳이 없어 마음의 덕이 온전해질 것이다.”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문밖을 나가서는 큰 손님을 뵙듯이 하고 백성을 부림에 큰 제사를 받들듯이 한다는 것은 공경으로써 자기 자신을 지키는 것이고, 자기가 하고자 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베풀지 말라는 것은 서(恕)로써 남에게 미치는 것이다.”(朱子曰 敬以持己 恕以及物 則私意無所容 而心德全矣 陳氏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敬以持己也 己所不欲 勿施於人 恕以及物也). 진씨(陳氏)는 『소학증주(小學增註)』를 저술한 진선(陳選)으로 보인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늬:문밖에. 문(門)+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2)
날:나갈. 나-[出]+ㄹ(관형사형 어미). ‘나-’가 지닌 [生]과 [出]의 의미는 별개의 것은 아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후자에서 전자의 의미가 분화되어 나왔을 것이다.
주003)
저긔:적에. 때에. 적[時]+의.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날 저긔’가 『소학언해』(3:4ㄱ)에서는 ‘날 제’로 바뀌었다. ‘제’ 뒤에는 부사격 조사가 생략되어 있다. 이 책의 ‘-ㄹ 저긔’는 『소학언해』에서 대개 ‘-ㄹᄉᆡ’로 바뀌었는데, 여기서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주004)
소ᄂᆞᆯ:손[客]+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05)
ᄃᆞ시:듯이. 관형사형 뒤에 쓰였으므로 부사성 의존 명사이다. 어간 바로 뒤에 나타날 때에는 어미로 처리한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과 ‘(-)ᄃᆞ시’가 다 나타나는데,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였는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그리고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 (-)ᄃᆞ시’는 많이 보이지만 ‘(-)듯, (-)드시’의 예는 아주 드물다. ¶①金剛杵ㅅ 머리마다 브리 술위 두르듯 야〈월인석보 7:35ㄴ〉 ②새집과 살기 門이 별 흗드시 사니(草閣柴扉星散居)〈두시언해 초간본 25:23ㄱ〉.
주006)
ᄇᆡᆨ셔ᇰ:백성(百姓). ‘民’을 번역한 것이다. 『소학언해』(3:4ㄱ)에도 ‘ᄇᆡᆨ셔ᇰ’으로 나타난다. ‘백성(百姓)’은 국민 일반이 아니라, 촌장(村長)·촌정(村正) 등을 가리킨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그 의미는 고려 전기와 후기, 그리고 특히 말기에 크게 달라졌을 가능성이 많다고 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고.
주007)
브료ᄃᆡ:부리되. 브리-[使]+오ᄃᆡ(연결 어미). 『소학언해』(3:4ㄱ-ㄴ)에는 ‘블요ᄃᆡ’로 적혀 있다.
주008)
졔:제사(祭事). 『소학언해』(3:4ㄴ)에는 한자 ‘祭’로 표기되어 있다.
주009)
ᄒᆞ욤:함. ᄒᆞ-[爲]+옴(명사형 어미). 모음 충돌을 피하기 위해 반자음 [j]를 삽입한 것이다. ‘ㆍ’가 탈락한 ‘홈’과 구별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주010)
ᄀᆞ티:같이.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주011)
내:나의. 내가. 나[我]+ㅣ(관형격 조사).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그런데 여기의 ‘내’는 관형격 조사를 취하였지만 주어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서술어가 명사형이나 관형사형을 취할 때에 그 주어에 관형격 조사가 쓰이는데, 여기의 ‘나’의 서술어구가 ‘ᄒᆞ고져 아니ᄒᆞᄂᆞᆫ’이기 때문에 관형격 조사가 쓰인 것이다. 『소학언해』(2:46ㄱ)에서도 ‘내’가 ‘내’로 나타난다.
주012)
아니ᄒᆞᄂᆞᆫ:아니하는. ‘ᄒᆞ디’의 개입이 없이 ‘ᄒᆞ고져’에 바로 결합한 것은 현대 국어 보조용언 ‘아니하-’와 다른 모습이다. ‘내 고져 아니’은 『소학언해』(3:4ㄴ)에서도 바뀌지 않았다.
주013)
이ᄅᆞᆯ: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14)
ᄂᆞᄆᆡ게:남에게. ᄂᆞᆷ+의게(부사격 조사). ‘의게’의 기원적 구조는 ‘의(관형격 조사)+그ᇰ(처소 지시 의존명사)+에(부사격 조사)’이다. ‘ᄂᆞᄆᆡ게’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사ᄅᆞᆷᄋᆡ게’로 바뀌었다. ‘人’을 ‘사ᄅᆞᆷ’으로 번역한 것은 ‘人’의 대표훈에 이끌린 번역이다. ‘게’의 횡선(橫線)이 지워져서 보이지 않는 ‘ᄀퟄ’로 나타나 있다.
주015)
벱디:베풀지. 벺-[施]+디(보조적 연결 어미). 『소학언해』(3:4ㄴ)에서는 ‘베프디’로 바뀌었다. 일반적으로는 ‘베프다’가 근대 국어 시기에 ‘베플다’로 발달하였다. 어간 ‘벺-’의 예는 아주 드물다. ¶烏鳥含情을 벱고야 말녓노라〈노계선생문집: 사제곡〉. ‘벱’의 우하(右下) 위치에 권점(圈點)이 보이는데, 소장자가 그려 넣은 듯하다.
주016)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