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論론語어에 曰왈 寢침不블尸시며 居거不블容이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論론語어에 로 자샤 주001)
자샤ᄃᆡ:
주무시되. 자-[寢]+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오ᄃᆡ(연결 어미).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즈므시다’의 예는 『병자일기』에 많다. ¶형님도 즈므시고 가시다〈병자일기 164〉. ‘즈므시-’의 ‘시’가 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 ‘-시-’일 것으로 짐작되지만, ‘-시-’가 결여된 ‘즈므-’가 확인되지 않는다.
누우믈 주002)
누우믈:
눕기를. 눕-[臥]+움(명사형 어미)+을. 여기서는 ‘눕-’의 이형태 ‘누우-’와 ‘움’의 ‘우’가 겹쳐서 둘 중 하나가 외현되지 않았다. 누ᄫᅮᆷ〉누움.
주검 주003)
주검:
시신(屍身). 죽-[死]+엄(명사 파생 접미사). 명사 파생 접미사 ‘-엄’이 쓰인 예는 흔치 않은데, ‘처ᅀᅥᆷ’의 ‘-엄’에서도 보인다.
티 주004)
ᄀᆞᆮ티:
같이. 이 책에는 ‘ᄀᆞ티’도 보인다(3:12ㄴ, 33ㄱ 등).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아니시며 해 주005)
샤ᇰ해:
평소에. 늘. 항상. 15세기에는 ‘샤ᇰ녜’가 쓰였다. 한자어(常例)이면서도 언제나 한글로 적혔다. 16세기에 ‘샹해’가 나타난다. ¶네 반시 이 보리심을 해 브즈러니 렴야 가져셔〈장수경언해 22ㄱ〉. 이 책(4:5ㄱ)에도 ‘샤ᇰ해’가 나온다. ‘샤ᇰ해’는 ‘샹ᄒᆡ’로 발달하게 된다. ¶ 셩고 로브터 봉휘의  만히 득지티 못니 샹 앙앙히 나라흘 원망야〈쳔의쇼감언ᄒᆡ 1:18ㄴ〉. ‘해’가 ‘ᄒᆡ’로 바뀐 것은 ‘ㆍ’의 소멸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겨실 제 주006)
제ᄂᆞᆫ:
때에는. 제(際)+Ø(부사격 조사)+ᄂᆞᆫ(보조사). ‘제’는 한자어이지만, 국어화의 정도가 커서 중세 국어에서도 대개 훈민정음으로만 표기되었다. 중세 국어에서는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뒤에서 부사격 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모음으로 끝난 명사 뒤에서 ‘ㄴ’과 ‘ᄂᆞᆫ’의 교체는 수의적이다. ¶①나조 도라갈 젠 畵角 소리 놋다〈두시언해 초간본 19:10ㄱ〉 ②녜 내 草堂을 리고 갈 제 蠻夷ㅣ 成都애 얫더니〈두시언해 초간본 6:37ㄴ〉.
 주007)
야ᇰᄌᆞ:
양자(樣姿). 용모. 몸맵시.
 고티디 아니샤 담히 주008)
펴ᇰ담히:
예사스럽게. ‘平淡’인지 ‘平澹’인지 알기 어렵다.
시더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논어』에서 이르되, (공자께서는) 주무실 때에 눕기를 죽은 사람처럼 하지 않으셨으며, 평소에 (집에) 계실 때에는 용모를 고치지 않으시고 예사롭게 하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시(尸)는 죽은 사람처럼 엎드려 있는 것을 말한다. 거(居)는 집 안에 거처하는 것이고, 용(容)은 몸맵시이다.” 범씨(范氏)가 말하였다. “주무실 때에 시체와 같은 모양을 하지 않으신 것은 죽은 것과 같은 자세를 싫어하신 것이 아니고 방만한 기운을 몸에 두지 않고자 하신 것이다. 비록 사체(四體)를 펼치더라도 또한 함부로 하신 적이 없었다. (집에) 거처하실 때에 몸맵시를 꾸미지 않으셨다는 것은 함부로 하셨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제사를 받들거나 빈객을 맞이할 때와 같지 않으셨다는 말일 뿐이다. 신신(申申)과 요요(夭夭)라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朱子曰 尸謂偃臥似死人也 居居家 容容儀 范氏曰 寢不尸非惡其類於死也 惰慢之氣 不設於身體 雖舒布其四體 而亦未嘗肆耳 居不容非惰也 但不若奉祭祀見賓客而已 申申夭夭是也). 이 주석 속의 ‘신신(申申)’과 ‘요요(夭夭)’는 바로 다음 대목에 나온다. 이충구 외(2019a:197)에서는 범씨(范氏)를 북송 때 학자 범조우(范祖禹, 1041~1098)라 하였다. 범조우는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하고, 당(唐)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하였다. 그의 아들인 범충(范沖, 1067~1142)은 자(字)가 익겸(益謙)이며, 사관(史官)으로서 『자치통감(資治通鑑)』, 『신종실록(神宗實錄)』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자샤ᄃᆡ:주무시되. 자-[寢]+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오ᄃᆡ(연결 어미).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즈므시다’의 예는 『병자일기』에 많다. ¶형님도 즈므시고 가시다〈병자일기 164〉. ‘즈므시-’의 ‘시’가 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 ‘-시-’일 것으로 짐작되지만, ‘-시-’가 결여된 ‘즈므-’가 확인되지 않는다.
주002)
누우믈:눕기를. 눕-[臥]+움(명사형 어미)+을. 여기서는 ‘눕-’의 이형태 ‘누우-’와 ‘움’의 ‘우’가 겹쳐서 둘 중 하나가 외현되지 않았다. 누ᄫᅮᆷ〉누움.
주003)
주검:시신(屍身). 죽-[死]+엄(명사 파생 접미사). 명사 파생 접미사 ‘-엄’이 쓰인 예는 흔치 않은데, ‘처ᅀᅥᆷ’의 ‘-엄’에서도 보인다.
주004)
ᄀᆞᆮ티:같이. 이 책에는 ‘ᄀᆞ티’도 보인다(3:12ㄴ, 33ㄱ 등).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주005)
샤ᇰ해:평소에. 늘. 항상. 15세기에는 ‘샤ᇰ녜’가 쓰였다. 한자어(常例)이면서도 언제나 한글로 적혔다. 16세기에 ‘샹해’가 나타난다. ¶네 반시 이 보리심을 해 브즈러니 렴야 가져셔〈장수경언해 22ㄱ〉. 이 책(4:5ㄱ)에도 ‘샤ᇰ해’가 나온다. ‘샤ᇰ해’는 ‘샹ᄒᆡ’로 발달하게 된다. ¶ 셩고 로브터 봉휘의  만히 득지티 못니 샹 앙앙히 나라흘 원망야〈쳔의쇼감언ᄒᆡ 1:18ㄴ〉. ‘해’가 ‘ᄒᆡ’로 바뀐 것은 ‘ㆍ’의 소멸에 따른 과잉교정이다.
주006)
제ᄂᆞᆫ:때에는. 제(際)+Ø(부사격 조사)+ᄂᆞᆫ(보조사). ‘제’는 한자어이지만, 국어화의 정도가 커서 중세 국어에서도 대개 훈민정음으로만 표기되었다. 중세 국어에서는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그 뒤에서 부사격 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모음으로 끝난 명사 뒤에서 ‘ㄴ’과 ‘ᄂᆞᆫ’의 교체는 수의적이다. ¶①나조 도라갈 젠 畵角 소리 놋다〈두시언해 초간본 19:10ㄱ〉 ②녜 내 草堂을 리고 갈 제 蠻夷ㅣ 成都애 얫더니〈두시언해 초간본 6:37ㄴ〉.
주007)
야ᇰᄌᆞ:양자(樣姿). 용모. 몸맵시.
주008)
펴ᇰ담히:예사스럽게. ‘平淡’인지 ‘平澹’인지 알기 어렵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