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其기在宗廟묘朝됴廷샤 便편便편言언샤 唯유謹근爾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宗廟묘 주001)
조ᇰ묘:
종묘(宗廟). 역대의 왕과 왕비 등의 신주(神主)를 모신 곳이다. 중국의 우(虞)나라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ㅣ며 주002)
ㅣ며:
이며. 접속 조사이다. 본래는 서술격 조사의 활용형이었지만, 여기서는 서술 기능을 상실하고 조사로 쓰였다.
朝됴廷 주003)
됴뎌ᇰ:
조정(朝廷). ‘조가(朝家), 조당(朝堂)’이라고도 하였다. 우리나라 옛 문헌에 ‘朝廷’과 ‘朝庭’이 다 쓰였다. 조선왕조실록에도 두 예가 풍부하다.
겨샤 주004)
겨샤ᄂᆞᆫ:
계셔서는. 계실 때에는. 겨시-[在]+아(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말 내 주005)
ᄀᆞᆯᄒᆡ내:
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사리를 밝혀. 용례가 아주 드문 낱말이다. 이 책의 다른 곳에도 나온다. ¶  업슨 말 내 홈과 시급디 아니 일 표 려 다리디 아니홀 디니(無用之辯과 不急之察을 棄而不治니)〈번역소학 3:47ㄴ〉. 『소학언해』(3:14ㄱ)에도 ‘ᄀᆞᆯᄒᆡ내’로 나타난다. 다음 예문에서 ‘ᄀᆞᆯᄒᆡ내’의 의미가 비교적 잘 드러난다. ¶ 너비 화 며 내 닐어 겨 空性을  알며(又博學以貫之ᄒᆞ며 辯說以明之ᄒᆞ야 了空ᄒᆞ며)〈능엄경언해 1:28ㄱ〉. ‘ᄀᆞᆯᄒᆡ내’는 동사 어간 ‘ᄀᆞᆯᄒᆡ나-[辯]’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구조로 보인다. ‘ᄀᆞᆯᄒᆡ나다’는 [分別, 分岐] 등을 뜻하는 동사 어간 ‘ᄀᆞᆯᄒᆡ-’에 [出]을 뜻하는 ‘나-’가 바로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ᄀᆞᆯᄒᆡ나다’는 ‘갈라지다, 분기(分岐)되다’를 뜻하기도 하고, 다음과 같이 ‘조리에 맞게 말을 잘하다’를 뜻하기도 한다. ¶구틔여 이비 ᄀᆞᆯᄒᆡ나며 말ᄉᆞ미 ᄂᆞᆯ카오미 아니오(不必辯口利辭也)〈내훈 1:12ㄴ〉.
샤 주006)
ᄒᆞ샤ᄃᆡ:
하시되. ᄒᆞ-[爲]+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오직 조심야 주007)
조심야:
조심(操心)하여. 훈민정음 창제 초기 한글 문헌에서 한자어 ‘操心’이 훈민정음으로만 표기되었는데, 그것은 국어화의 정도가 컸기 때문이다. 중세 국어에서는 훈민정음 ‘조심’으로 표기되다가 근대 국어 문헌에서 한자 ‘操心’으로 표기되는 예가 나타난다. 먼저 중세 국어의 예를 보자. ¶① 조심 아니샤 브를 긔 야시〈석보상절 11:26ㄱ〉 ②이런 寶珠를 어드란 이런 險 길헤 조심야 딕야 리로소다〈월인석보 22:48ㄴ〉. 다음 예들은 한자로 표기된 근대 국어 시기 자료이다. ¶①기리라 娘子ㅣ아 네 너무 操心다〈오륜전비언해 4:3ㄴ〉 ②이리 닐으지 말라 操心미 됴흐니라〈몽어노걸대 2:20ㄴ〉. ③부 操心여 몸가지기 잘소〈인어대방 5:9ㄴ〉. 한편 근대 국어 말기 문헌에서는 ‘됴심’으로 표기된 예가 보인다. 중세 국어 시기 ‘操’의 독음이 ‘조’였으므로 ‘됴’는 과잉교정이다. ¶모로미 삼가고 됴심여〈태상감응편 4:22ㄴ〉.
더시다 주008)
ᄒᆞ더시다:
하셨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한편 여기의 ‘조심ᄒᆞ야 ᄒᆞ더시다’가 『소학언해』(3:14ㄱ)에서는 ‘삼가ᄒᆞ더시다’로 나타나는데, 이 ‘삼가ᄒᆞ다’가 현대 국어 비표준어 ‘삼가하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문헌에서는 ‘삼가다’와 ‘삼가ᄒᆞ다’가 다 나타난다. ¶①음식을 모로매 삼가고 존졀며〈번역소학 8:16ㄱ〉 ②압흘 딩계고 뒤흘 삼가니 황왕의 뎐측이 기리 드리웟도다〈천의소감언해 진쳔의쇼감전 7ㄱ〉 ③너의 籌畵 參預호 삼가라〈두시언해 초간본 23:30ㄱ〉 ④禮 夫婦 이예 삼가호매 비릇니〈번역소학 3:16ㄴ-17ㄱ〉.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종묘(宗廟)나 조정(朝廷)에 계실 때에는 말씀을 조리에 맞게 하시되, 오직 조심하여 말씀하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변변(便便)은 말을 조리 있게 하는 것이다. 종묘는 예법이 있는 곳이고 조정은 정사가 이루어지는 곳이니, 말이 분명하고 조리가 정연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므로 반드시 자세히 묻고 극진히 말씀하시되, 다만 삼가서 함부로 하시지 않았다.”(朱子曰 便便辯也 宗廟禮法之所在 朝廷政事之所出 言不可以不明辯 故必詳問而極言之 但謹而不放爾). 앞 대목의 〈해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대목은 반드시 앞 대목과 붙여서 읽어야 한다. 두 대목은 ‘향당(鄕黨)’과 ‘종묘(宗廟) 및 조정(朝廷)’에서 보여 주는 공자의 두 가지 상반된 태도를 대비하고 있기 때문에 두 대목을 따로 떼어서 읽으면 각각의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조ᇰ묘:종묘(宗廟). 역대의 왕과 왕비 등의 신주(神主)를 모신 곳이다. 중국의 우(虞)나라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주002)
ㅣ며:이며. 접속 조사이다. 본래는 서술격 조사의 활용형이었지만, 여기서는 서술 기능을 상실하고 조사로 쓰였다.
주003)
됴뎌ᇰ:조정(朝廷). ‘조가(朝家), 조당(朝堂)’이라고도 하였다. 우리나라 옛 문헌에 ‘朝廷’과 ‘朝庭’이 다 쓰였다. 조선왕조실록에도 두 예가 풍부하다.
주004)
겨샤ᄂᆞᆫ:계셔서는. 계실 때에는. 겨시-[在]+아(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주005)
ᄀᆞᆯᄒᆡ내:옳고 그름을 분별하여. 사리를 밝혀. 용례가 아주 드문 낱말이다. 이 책의 다른 곳에도 나온다. ¶  업슨 말 내 홈과 시급디 아니 일 표 려 다리디 아니홀 디니(無用之辯과 不急之察을 棄而不治니)〈번역소학 3:47ㄴ〉. 『소학언해』(3:14ㄱ)에도 ‘ᄀᆞᆯᄒᆡ내’로 나타난다. 다음 예문에서 ‘ᄀᆞᆯᄒᆡ내’의 의미가 비교적 잘 드러난다. ¶ 너비 화 며 내 닐어 겨 空性을  알며(又博學以貫之ᄒᆞ며 辯說以明之ᄒᆞ야 了空ᄒᆞ며)〈능엄경언해 1:28ㄱ〉. ‘ᄀᆞᆯᄒᆡ내’는 동사 어간 ‘ᄀᆞᆯᄒᆡ나-[辯]’에 부사 파생 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으로 구조로 보인다. ‘ᄀᆞᆯᄒᆡ나다’는 [分別, 分岐] 등을 뜻하는 동사 어간 ‘ᄀᆞᆯᄒᆡ-’에 [出]을 뜻하는 ‘나-’가 바로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ᄀᆞᆯᄒᆡ나다’는 ‘갈라지다, 분기(分岐)되다’를 뜻하기도 하고, 다음과 같이 ‘조리에 맞게 말을 잘하다’를 뜻하기도 한다. ¶구틔여 이비 ᄀᆞᆯᄒᆡ나며 말ᄉᆞ미 ᄂᆞᆯ카오미 아니오(不必辯口利辭也)〈내훈 1:12ㄴ〉.
주006)
ᄒᆞ샤ᄃᆡ:하시되. ᄒᆞ-[爲]+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주007)
조심야:조심(操心)하여. 훈민정음 창제 초기 한글 문헌에서 한자어 ‘操心’이 훈민정음으로만 표기되었는데, 그것은 국어화의 정도가 컸기 때문이다. 중세 국어에서는 훈민정음 ‘조심’으로 표기되다가 근대 국어 문헌에서 한자 ‘操心’으로 표기되는 예가 나타난다. 먼저 중세 국어의 예를 보자. ¶① 조심 아니샤 브를 긔 야시〈석보상절 11:26ㄱ〉 ②이런 寶珠를 어드란 이런 險 길헤 조심야 딕야 리로소다〈월인석보 22:48ㄴ〉. 다음 예들은 한자로 표기된 근대 국어 시기 자료이다. ¶①기리라 娘子ㅣ아 네 너무 操心다〈오륜전비언해 4:3ㄴ〉 ②이리 닐으지 말라 操心미 됴흐니라〈몽어노걸대 2:20ㄴ〉. ③부 操心여 몸가지기 잘소〈인어대방 5:9ㄴ〉. 한편 근대 국어 말기 문헌에서는 ‘됴심’으로 표기된 예가 보인다. 중세 국어 시기 ‘操’의 독음이 ‘조’였으므로 ‘됴’는 과잉교정이다. ¶모로미 삼가고 됴심여〈태상감응편 4:22ㄴ〉.
주008)
ᄒᆞ더시다:하셨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한편 여기의 ‘조심ᄒᆞ야 ᄒᆞ더시다’가 『소학언해』(3:14ㄱ)에서는 ‘삼가ᄒᆞ더시다’로 나타나는데, 이 ‘삼가ᄒᆞ다’가 현대 국어 비표준어 ‘삼가하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문헌에서는 ‘삼가다’와 ‘삼가ᄒᆞ다’가 다 나타난다. ¶①음식을 모로매 삼가고 존졀며〈번역소학 8:16ㄱ〉 ②압흘 딩계고 뒤흘 삼가니 황왕의 뎐측이 기리 드리웟도다〈천의소감언해 진쳔의쇼감전 7ㄱ〉 ③너의 籌畵 參預호 삼가라〈두시언해 초간본 23:30ㄱ〉 ④禮 夫婦 이예 삼가호매 비릇니〈번역소학 3:16ㄴ-17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