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 명의복지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의복지제 001


번역소학 권4:24ㄴ

去거喪시고 無무所소不블佩패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거상 주001)
거사ᇰ:
거상(居喪). 상중에 있음.
바시고 주002)
바ᄉᆞ시고:
벗으시고. 밧-[脫]+ᄋᆞ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고. 중세 국어에서는 ‘밧-’과 ‘벗-’이 다 쓰였는데, 분포가 달랐다.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였다. ¶①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②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아니 주003)
아니:
아니. 현대 국어에서는 ‘용언 어간+지 않-’이 일반적인 용법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아니(부사)+용언’이 더 일반적이다.
실 주004)
ᄎᆞ실:
(몸에) 차실. ᄎᆞ-[佩]+시+ㄹ.
업더시다 주005)
업더시다:
없으셨다.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거상(居喪)을 벗으시고는 (패물을) 아니 차시는 것이 없으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특별히 불행한 일이 없다면 옥(玉)을 몸에서 떠나게 하지 않으니, 뿔송곳이나 거친 숫돌과 같은 것들도 다 차고 다닌다.”(朱子曰 君子無故 玉不去身 觿礪之屬 亦皆佩也). 『소학집성(小學集成)』 「권수(卷首)」의 ‘소학서목록(小學書目錄)’ 중 ‘소학서도목(小學書圖目)’ 30ㄱ에 ‘군자패옥지도(君子佩玉之圖)’가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이충구 외(2019a:230)에 수록되어 있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거사ᇰ:거상(居喪). 상중에 있음.
주002)
바ᄉᆞ시고:벗으시고. 밧-[脫]+ᄋᆞ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고. 중세 국어에서는 ‘밧-’과 ‘벗-’이 다 쓰였는데, 분포가 달랐다. 대상이 추상 명사일 때에는 ‘벗-’이 쓰이고, 대상이 구체 명사일 때에는 ‘밧-’이 쓰였다. ¶①病도 덜며 厄도 버스리라〈석보상절 9:34ㄴ〉 ②裸 옷 바 씨오〈월인석보 9:36 상ㄱ〉.
주003)
아니:아니. 현대 국어에서는 ‘용언 어간+지 않-’이 일반적인 용법이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아니(부사)+용언’이 더 일반적이다.
주004)
ᄎᆞ실:(몸에) 차실. ᄎᆞ-[佩]+시+ㄹ.
주005)
업더시다:없으셨다.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