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子之지燕연居거애 申신申신如여也야시며 夭요夭요如여也야ㅣ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孔子ㅣ 아도이 주001)
아ᄅᆞᆷ도이:
사사로이. ‘燕’의 번역이다. ‘아도이’가 『소학언해』(3:16ㄴ)에서는 ‘샤ᇰ해(=평상시에)’로 바뀌었다. 아ᄅᆞᆷ[私](불규칙적 어근)+되(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연결 어미). ‘-되이’가 ‘-도이’로 적힐 수 있는 것은 ‘ㅚ’가 이중 모음이기 때문이다. ‘-되-’는 ‘-ᄃᆞᄫᆡ-’가 발달한 것이다. 중세 국어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 ‘-답-, -롭-, -되-’는 모두 여기서 발달하였다. 한편 ‘아ᄅᆞᆷ’은 [私]를 뜻하는 명사였다. ¶그위 바도 容納 몯거니와 아뎌 車馬 通니라(官不容針 私通車馬) 그윗 門엔 아 容納 몯거니와 鄕黨앤 엇뎨 情이 업스리오【鄕 올히오 黨 서르 사괴 무리라】 (公門不容私 鄕黨豈無情)〈금강경삼가해 4:33ㄴ〉. 이 예문은 서로 이어져 있는 ‘야보송(冶父頌)’과 ‘설의(說誼)’를 다 인용한 것이다. 여기서 ‘아ᄅᆞᆷ’이 명사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이 ‘아ᄅᆞᆷ’과는 별개로 [美]를 뜻하는 불규칙적 어근 ‘아ᄅᆞᆷ’도 있었다. ‘아ᄅᆞᆷ답다’는 [美]를 뜻하고, ‘아ᄅᆞᆷᄃᆞᆸ다, 아ᄅᆞᆷᄃᆞ외다, 아ᄅᆞᆷ도이’는 [私]를 뜻한다.
겨실 저긔 주002)
저긔ᄂᆞᆫ:
적에는. 적[際, 時](의존 명사)+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ᄂᆞᆫ(보조사).
몸가져 주003)
몸가져:
몸을 가져. ‘몸가짐’을 뜻하는 합성어로 보인다.

번역소학 권4:19ㄱ

샤
주004)
겨샤ᄆᆞᆯ:
계심을. 겨시-[在]+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겨시-’의 고형(古形) ‘겨샤-’ 뒤에서 명사형 어미 ‘-옴’의 ‘오’가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안셔히 주005)
안셔히:
안서(安舒)히. 편안하게. ‘히’ 자는 잘 보이지 않는다. 『소학집설』의 ‘申申其容舒也’를 보아, ‘안셔’는 ‘安舒’임을 알 수 있다. ‘몸가져 겨샤ᄆᆞᆯ 안셔히 ᄒᆞ시며’를 『소학언해』(3:16ㄴ)에서는 ‘申申ᄐᆞᆺᄒᆞ시며’로 바꾸어 쓰고, ‘申申’에 대하여 ‘모양이 폄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시며 비 주006)
ᄂᆞᆺ비ᄎᆞᆯ:
낯빛을. 얼굴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굴’은 [身, 體]를 뜻한다. 그리고 ‘낯’은 [箇]를 뜻한다.
유화히 주007)
유화히:
유화(愉和)히. 부드럽게. 『소학집설』의 ‘夭夭其色愉也’로 보아, ‘유화’는 ‘愉和’임을 알 수 있다. ‘ᄂᆞᆺ비ᄎᆞᆯ 유화히 ᄒᆞ더시다’를 『소학언해』(3:16ㄴ)에서는 ‘夭夭ᄐᆞᆺᄒᆞ더시다’로 바꾸어 쓰고, ‘夭夭’에 대하여 ‘ᄂᆞᆺ빗치 화홈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더시다 주008)
더시다:
하셨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이 대목은 청자(독자)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타이르는 내용이 아니고, 공자(孔子)의 몸가짐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니-’가 없는 종결 형식을 쓴 것이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공자(孔子)께서는 사사로이 계실 때에는 몸가짐을 편안하고 느긋하게 하시며 낯빛을 부드럽게 하셨다.
〈해설〉 출전 : 논어 술이편(述而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연거(燕居)는 한가하여 일이 없는 때이다.” 양씨(楊氏)가 말하였다. “신신(申申)은 그 모습이 풀어진 것이고 요요(夭夭)는 그 표정이 편안한 것이다.” 정자(程子)는 말씀하셨다. “요즘 사람들은 한가롭게 거처할 때에 지나치게 방만하지 않으면 꼭 지나치게 엄격하다. 오직 성인이라야 곧 중화(中和)의 기운이 있는 것이다.”(朱子曰 燕居閒暇無事之時 楊氏曰 申申其容舒也 夭夭其色愉也 程子曰 今人 燕居之時 不怠惰放肆 必太嚴厲 唯聖人便自有中和之氣). 양씨(楊氏)는 북송(北宋) 때 학자 양시(楊時: 1053~1135)이다. 자(字)는 중립(中立)이고 호(號)는 귀산(龜山)이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정이(程頤)의 제자이며, 사양좌(謝良佐), 유작(游酢), 여대림(呂大臨)과 함께 ‘정문사선생(程門四先生)’으로 일컬어진다. 정자(程子)는 송(宋)나라 유학자 정호(程顥) 또는 정이(程頤)를 높여 칭하는 말로, 둘을 아울러 이정(二程)이라 일컫기도 한다. 여기에 인용된 것은 정이의 말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ᄅᆞᆷ도이:사사로이. ‘燕’의 번역이다. ‘아도이’가 『소학언해』(3:16ㄴ)에서는 ‘샤ᇰ해(=평상시에)’로 바뀌었다. 아ᄅᆞᆷ[私](불규칙적 어근)+되(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연결 어미). ‘-되이’가 ‘-도이’로 적힐 수 있는 것은 ‘ㅚ’가 이중 모음이기 때문이다. ‘-되-’는 ‘-ᄃᆞᄫᆡ-’가 발달한 것이다. 중세 국어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 ‘-답-, -롭-, -되-’는 모두 여기서 발달하였다. 한편 ‘아ᄅᆞᆷ’은 [私]를 뜻하는 명사였다. ¶그위 바도 容納 몯거니와 아뎌 車馬 通니라(官不容針 私通車馬) 그윗 門엔 아 容納 몯거니와 鄕黨앤 엇뎨 情이 업스리오<원주>【鄕 올히오 黨 서르 사괴 무리라】 (公門不容私 鄕黨豈無情)〈금강경삼가해 4:33ㄴ〉. 이 예문은 서로 이어져 있는 ‘야보송(冶父頌)’과 ‘설의(說誼)’를 다 인용한 것이다. 여기서 ‘아ᄅᆞᆷ’이 명사로 쓰인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이 ‘아ᄅᆞᆷ’과는 별개로 [美]를 뜻하는 불규칙적 어근 ‘아ᄅᆞᆷ’도 있었다. ‘아ᄅᆞᆷ답다’는 [美]를 뜻하고, ‘아ᄅᆞᆷᄃᆞᆸ다, 아ᄅᆞᆷᄃᆞ외다, 아ᄅᆞᆷ도이’는 [私]를 뜻한다.
주002)
저긔ᄂᆞᆫ:적에는. 적[際, 時](의존 명사)+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ᄂᆞᆫ(보조사).
주003)
몸가져:몸을 가져. ‘몸가짐’을 뜻하는 합성어로 보인다.
주004)
겨샤ᄆᆞᆯ:계심을. 겨시-[在]+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겨시-’의 고형(古形) ‘겨샤-’ 뒤에서 명사형 어미 ‘-옴’의 ‘오’가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주005)
안셔히:안서(安舒)히. 편안하게. ‘히’ 자는 잘 보이지 않는다. 『소학집설』의 ‘申申其容舒也’를 보아, ‘안셔’는 ‘安舒’임을 알 수 있다. ‘몸가져 겨샤ᄆᆞᆯ 안셔히 ᄒᆞ시며’를 『소학언해』(3:16ㄴ)에서는 ‘申申ᄐᆞᆺᄒᆞ시며’로 바꾸어 쓰고, ‘申申’에 대하여 ‘모양이 폄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주006)
ᄂᆞᆺ비ᄎᆞᆯ:낯빛을. 얼굴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굴’은 [身, 體]를 뜻한다. 그리고 ‘낯’은 [箇]를 뜻한다.
주007)
유화히:유화(愉和)히. 부드럽게. 『소학집설』의 ‘夭夭其色愉也’로 보아, ‘유화’는 ‘愉和’임을 알 수 있다. ‘ᄂᆞᆺ비ᄎᆞᆯ 유화히 ᄒᆞ더시다’를 『소학언해』(3:16ㄴ)에서는 ‘夭夭ᄐᆞᆺᄒᆞ더시다’로 바꾸어 쓰고, ‘夭夭’에 대하여 ‘ᄂᆞᆺ빗치 화홈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주008)
더시다:하셨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이 대목은 청자(독자)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타이르는 내용이 아니고, 공자(孔子)의 몸가짐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니-’가 없는 종결 형식을 쓴 것이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