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疑의事를 毋모質질야 直딕而勿믈有유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의심왼 주001)
의심ᄃᆞ왼:
의심스러운. 의심(疑心)+ᄃᆞ외(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형용사 파생 접미사 ‘-ᄃᆞ외-’는 ‘-ᄃᆞᄫᆡ/ᄃᆞᆸ-’의 발달형이다.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여기서 발달하였다.
이 주002)
이ᄅᆞᆯ:
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마오디 주003)
마ᄀᆡ오디:
질정(質正)하지. 따져서 바로잡지. 마오-[證, 質]+디(보조적 연결 어미). ‘마ᄀᆡ오다’는 ‘증명하다, 질문하다’를 뜻하기도 한다.
마라 주004)
마라:
말지니. 말-[勿]+아(연결 어미). 여기의 ‘-아’는 연결 어미로 보이는데, [계기(繼起)]의 의미와는 무관하다. 후행절이 선행절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라’를 ‘말아서’로 번역하지 않고 ‘말지니’로 번역한다. 그런데 여기의 ‘마라’가 명령형일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시기 ‘말다’의 명령형에는 ‘말라, 마아라’ 두 가지가 널리 쓰였다. ‘말라’는 ‘말-’에 ‘-라’가 결합한 것이고, ‘마아라’는 ‘말-’에 ‘-아라’가 결합한 것이다. 문제는 ‘마아라’가 ‘마라’로 축약되기도 하였다는 사실이다. ¶가비건댄 아 울어든 父母ㅣ 곧 버듨 누른 니프로 닐오 우디 마라 내 너를 金 주료 야 아 보고 眞實ㅅ 金이라 너겨 우디 아니니 그러나 이 버듨 니피 實로 金 아니니라〈남명집언해 상 45ㄱ-ㄴ〉. 그러나 원문에서 ‘毋質’에 한글 구결 ‘ᄒᆞ야’를 붙였으므로, 여기의 ‘마라’는 명령 종결형이 아니라 연결형으로 보인다. 한편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05)
내:
나의. 나[我]+ㅣ(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내(거성)’는 주격 형태이고 ‘내(평성)’는 관형격 형태였다. 이 책의 ‘내’는 평성으로 적혀 있다. 1인칭 겸칭의 ‘저’는 19세기 후반기에 출현한다. 이두(吏讀)에서는 ‘矣身’이 ‘나’의 겸칭으로 쓰였다. 여기의 ‘내’는 원문에 없는 말이다. 독자를 1인칭화한 번역인데, 『소학언해』(3:3ㄴ)에서는 ‘내’가 빠졌다. ‘내 마리 올ᄒᆞ여도’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바ᄅᆞ니를 말ᄒᆞ고’로 바뀌었다. 글자가 마멸되어 ‘말’의 ‘ㄹ’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마리 주006)
마리:
말이. 말[語]+이(주격 조사).
올여도 주007)
올ᄒᆞ여도:
옳아도. 올ᄒᆞ-[是]+여(연결 어미)+도(보조사). ‘-여-’는 ‘-아’의 이형태이고, 어간 ‘올ᄒᆞ-’는 ‘옳-’의 이형태이다. [多]를 뜻하는 ‘많-’ 역시 이형태 ‘만ᄒᆞ-’와 짝을 이루었다. 활용형 ‘만ᄒᆞ되, 만야, 만고’의 어간은 ‘만-’이다. 현대 국어에서 ‘많네’의 비표준형인 ‘많으네’가 쓰이기도 하는 것은 이러한 역사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 ‘좋네(평서형), 좋니(의문 종결형)’의 오용(誤用)인 ‘좋으네, 좋으니’도 ‘둏-’의 이형태 ‘됴ᄒᆞ-’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틔여 주008)
구틔여:
굳이, 구태여. 억지로. 강제로. 구틔-[敢]+어(연결 어미). 동사의 활용형 ‘구틔여’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구틔여’는 사전에서 ‘구태여. 억지로’라고 풀이하고 있는데, ‘굳이’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고, ‘감(敢)히’로 옮기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다. 동사 ‘구틔다’는 ‘굳히다’를 뜻한다. ‘구틔여’는 원문에 없는 말을 보탠 것이다. ‘구틔여 올ᄒᆞᆫ 디레 두디 마롤 디니라’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올ᄒᆞᆫ 디레 두디 말올 디니라’로 바뀌었다.
올 주009)
올ᄒᆞᆫ:
옳은. 옳-[是]+ᄋᆞᆫ(관형사형 어미). 여기서는 ‘선입견’을 뜻하는 ‘디레’를 수식하므로, ‘옳다고 하는’을 뜻한다. 바로 앞에 나온 ‘올ᄒᆞ여도’를 고려하면, ‘올ᄒᆞᆫ’을 ‘올ᄒᆞ-[是]+ᄋᆞᆫ(관형사형 어미)’의 구조로 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올ᄒᆞ-’의 용례가 많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어간 ‘옳-’이 쓰인 것으로 간주한다.
디레 주010)
디레:
지레. 선입견(先入見). 여기의 ‘디레’는 명사이다. 종래의 고어사전에서는 표제어 ‘디레’를 들기는 하였지만, 뜻풀이를 하지 않은 예도 있고, 아예 표제어로 싣지 않은 경우도 있다.
두디 주011)
두디:
두지. 두-[置]+디(보조적 연결 어미).
마롤 디니라 주012)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 국어에서는 ‘말다’의 어간 ‘말-’과 관형사형 어미 ‘-을’이 결합하면 ‘말’이 되는데, 여기서는 ‘말-’과 ‘-올’이 결합하여 ‘마롤’이 되었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그러나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의심스러운 일을 따져서 바로잡으려 하지 말지니, 내 말이 옳아도 굳이 옳다고 미리 단정하여 말하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해)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두 구(句)를 이어서 설명함이 옳다. 의사무질(疑事毋質)이라는 것은 곧 「소의(少儀)」에서 말한 바와 같이 스스로 말을 따져서 바로잡지 말라는 것이다. 직이물유(直而勿有)는 나의 소견을 개진(開陳)하여 (그 말을) 들은 상대방이 결정하고 선택하도록 해야지, 장악하고 선입견을 두어 오로지 억지 변론에 힘써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朱子曰 兩句連說爲是 疑事毋質 卽少儀所謂 毋身質言語也 直而勿有 謂陳我所見 聽彼決擇 不可據而有之 專務强辨).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의심ᄃᆞ왼:의심스러운. 의심(疑心)+ᄃᆞ외(형용사 파생 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형용사 파생 접미사 ‘-ᄃᆞ외-’는 ‘-ᄃᆞᄫᆡ/ᄃᆞᆸ-’의 발달형이다.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여기서 발달하였다.
주002)
이ᄅᆞᆯ: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03)
마ᄀᆡ오디:질정(質正)하지. 따져서 바로잡지. 마오-[證, 質]+디(보조적 연결 어미). ‘마ᄀᆡ오다’는 ‘증명하다, 질문하다’를 뜻하기도 한다.
주004)
마라:말지니. 말-[勿]+아(연결 어미). 여기의 ‘-아’는 연결 어미로 보이는데, [계기(繼起)]의 의미와는 무관하다. 후행절이 선행절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라’를 ‘말아서’로 번역하지 않고 ‘말지니’로 번역한다. 그런데 여기의 ‘마라’가 명령형일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다.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 시기 ‘말다’의 명령형에는 ‘말라, 마아라’ 두 가지가 널리 쓰였다. ‘말라’는 ‘말-’에 ‘-라’가 결합한 것이고, ‘마아라’는 ‘말-’에 ‘-아라’가 결합한 것이다. 문제는 ‘마아라’가 ‘마라’로 축약되기도 하였다는 사실이다. ¶가비건댄 아 울어든 父母ㅣ 곧 버듨 누른 니프로 닐오 우디 마라 내 너를 金 주료 야 아 보고 眞實ㅅ 金이라 너겨 우디 아니니 그러나 이 버듨 니피 實로 金 아니니라〈남명집언해 상 45ㄱ-ㄴ〉. 그러나 원문에서 ‘毋質’에 한글 구결 ‘ᄒᆞ야’를 붙였으므로, 여기의 ‘마라’는 명령 종결형이 아니라 연결형으로 보인다. 한편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05)
내:나의. 나[我]+ㅣ(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는 ‘·내(거성)’는 주격 형태이고 ‘내(평성)’는 관형격 형태였다. 이 책의 ‘내’는 평성으로 적혀 있다. 1인칭 겸칭의 ‘저’는 19세기 후반기에 출현한다. 이두(吏讀)에서는 ‘矣身’이 ‘나’의 겸칭으로 쓰였다. 여기의 ‘내’는 원문에 없는 말이다. 독자를 1인칭화한 번역인데, 『소학언해』(3:3ㄴ)에서는 ‘내’가 빠졌다. ‘내 마리 올ᄒᆞ여도’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바ᄅᆞ니를 말ᄒᆞ고’로 바뀌었다. 글자가 마멸되어 ‘말’의 ‘ㄹ’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주006)
마리:말이. 말[語]+이(주격 조사).
주007)
올ᄒᆞ여도:옳아도. 올ᄒᆞ-[是]+여(연결 어미)+도(보조사). ‘-여-’는 ‘-아’의 이형태이고, 어간 ‘올ᄒᆞ-’는 ‘옳-’의 이형태이다. [多]를 뜻하는 ‘많-’ 역시 이형태 ‘만ᄒᆞ-’와 짝을 이루었다. 활용형 ‘만ᄒᆞ되, 만야, 만고’의 어간은 ‘만-’이다. 현대 국어에서 ‘많네’의 비표준형인 ‘많으네’가 쓰이기도 하는 것은 이러한 역사적 근거를 가지고 있다. ‘좋네(평서형), 좋니(의문 종결형)’의 오용(誤用)인 ‘좋으네, 좋으니’도 ‘둏-’의 이형태 ‘됴ᄒᆞ-’에서 비롯된 것이다.
주008)
구틔여:굳이, 구태여. 억지로. 강제로. 구틔-[敢]+어(연결 어미). 동사의 활용형 ‘구틔여’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구틔여’는 사전에서 ‘구태여. 억지로’라고 풀이하고 있는데, ‘굳이’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고, ‘감(敢)히’로 옮기는 것이 적절할 때도 있다. 동사 ‘구틔다’는 ‘굳히다’를 뜻한다. ‘구틔여’는 원문에 없는 말을 보탠 것이다. ‘구틔여 올ᄒᆞᆫ 디레 두디 마롤 디니라’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올ᄒᆞᆫ 디레 두디 말올 디니라’로 바뀌었다.
주009)
올ᄒᆞᆫ:옳은. 옳-[是]+ᄋᆞᆫ(관형사형 어미). 여기서는 ‘선입견’을 뜻하는 ‘디레’를 수식하므로, ‘옳다고 하는’을 뜻한다. 바로 앞에 나온 ‘올ᄒᆞ여도’를 고려하면, ‘올ᄒᆞᆫ’을 ‘올ᄒᆞ-[是]+ᄋᆞᆫ(관형사형 어미)’의 구조로 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올ᄒᆞ-’의 용례가 많지 않으므로, 여기서는 어간 ‘옳-’이 쓰인 것으로 간주한다.
주010)
디레:지레. 선입견(先入見). 여기의 ‘디레’는 명사이다. 종래의 고어사전에서는 표제어 ‘디레’를 들기는 하였지만, 뜻풀이를 하지 않은 예도 있고, 아예 표제어로 싣지 않은 경우도 있다.
주011)
두디:두지. 두-[置]+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12)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 국어에서는 ‘말다’의 어간 ‘말-’과 관형사형 어미 ‘-을’이 결합하면 ‘말’이 되는데, 여기서는 ‘말-’과 ‘-올’이 결합하여 ‘마롤’이 되었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그러나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