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將入입戶호 視시必필下하ㅣ니 入입戶호奉扃며 視시瞻첨毋모回회며 戶호開어든 亦

번역소학 권4:12ㄱ

역開며 戶호闔합이어든 亦역闔합호 有유後후入입者쟈ㅣ어든 闔합而勿믈遂슈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 주001)
쟝ᄎᆞᆺ:
장차. 앞으로. 15세기 문헌에서는 주로 ‘쟈ᇰᄎᆞ’가 쓰이고, 16세기 이후에 ‘쟈ᇰᄎᆞᆺ, 쟝ᄎᆞᆺ, 쟝ᄎᆞ’가 쓰였다.
무늬 주002)
무늬:
문(門)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지게예’로 바뀌었다.
주003)
들:
들어갈. 들-[入]+ㄹ(관형사형 어미). 이 책의 다른 곳에서는 ‘들다’의 관형사형 ‘들’과 ‘드롤’이 다 나타난다. ¶믈읫 손과로 들 제 ~主쥬人이 손 揖읍야 드롤 디니라〈번역소학 3:37ㄱ〉.
저긔 주004)
저긔:
때에. 적[時]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들 저긔’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들ᄉᆡ’로 바뀌었다. 이 책의 ‘-ㄹ 저긔’가 『소학언해』에서 ‘-ㄹᄉᆡ’로 바뀌는 현상은 아주 규칙적이다. ‘-ㄹᄉᆡ, -ㄹᄊᆡ’는 대개 ‘-므로’에 해당하는데, 여기의 ‘-ㄹᄉᆡ’는 ‘-할 때에’에 해당한다.
보 주005)
보ᄆᆞᆯ:
봄을. 보는 것을. 보-[見]+옴/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보-’는 원래 거성(1점)이지만, 여기의 ‘봄’은 상성(2점)이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모로매 주006)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기 주007)
ᄂᆞᄌᆞ기:
낮게. 나직하게. ᄂᆞᄌᆞᆨ[低](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소학언해』(3:10ㄴ)에서는 ‘ᄂᆞᄌᆞ시’로 바뀌었다. ‘ᄂᆞᄌᆞᆨ-’이 훨씬 더 보편적인 형태였지만, ‘ᄂᆞᄌᆞᆺ-’도 보인다. ¶①父母ㅣ 허믈이 잇거시든 긔운을 시 며  빗 화열히 며〈소학언해 2:21ㄴ〉 ②니 엿 돈이오(低的六錢)〈번역노걸대 하 60ㄱ〉.
며 무늬 드러 문 허리예 디 주008)
ᄀᆞᄅᆞ디ᄅᆞᆫ:
가로지른. ‘문 허리예 ᄀᆞᄅᆞ디ᄅᆞᆫ 남ᄀᆞᆯ’을 『소학언해』(3:10ㄴ)에서는 ‘扃을’로 바꾸고, 그 대신 ‘扃’에 대하여 ‘문 허리예 ᄀᆞᄅᆞ디ᄅᆞᆫ 남기라’란 협주를 달았다. ‘ᄀᆞᄅᆞ디ᄅᆞ-’의 구조가 다음 둘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橫]’에서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디ᄅᆞ-[刺]’가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디ᄅᆞ-’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디ᄅᆞ-’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이 책(4:18ㄱ)의 ‘ᄀᆞᄅᆞ디ᄅᆞᆫ’이 『소학언해』(3:16ㄱ)의 협주에서는 ‘ᄀᆞᄅᆞᆫ’으로 나타나는데, 이 ‘ᄀᆞᄅᆞᆫ’은 동사 ‘ᄀᆞᄅᆞ다’의 활용형이다.
남 주009)
남ᄀᆞᆯ:
나무를. 나ᇚ[木]+ᄋᆞᆯ. ‘나ᇚ’은 이른바 ㄱ 곡용 명사이다.
받드드시 주010)
받드드시:
떠받들 듯이. 받-[奉]+들-[擧]+드시(연결 어미).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며 눈 둘어 주011)
둘어:
(이리저리) 돌려. 두르-[回]+어(연결 어미). ‘두르-’는 ‘ᄅᆞ/르’ 불규칙 동사 중 이른바 ‘ㄹㅇ’형에 속한다. ‘/르’ 불규칙 활용 중 ‘ㄹㄹ’형에는 ‘-[速], 모-’ 등이 있고,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怠], 므르-[退]’ 등이 있다. ‘눈 둘어 보디 말며’가 『소학언해』(3:11ㄱ)에서는 ‘보기를 둘우 말며’로 바뀌었다. ‘둘우’는 현대 국어의 ‘두루’에 해당하는 부사이다.
보디 말며 주012)
말며:
말며. 원문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11ㄱ)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무니 여렛거든 주013)
여렛거든:
열려 있으면. 열-[開]+어(연결 어미)+잇-[在]+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어 잇-’은 완료 지속상 표지인데, ‘-엣-’과 ‘-엇-’을 거쳐 ‘-었-’으로 발달하였다. 『소학언해』(3:11ㄱ)에서는 ‘여럿거든’으로 바뀌었다. ‘-엣-’이 ‘-엇-’으로 바뀐 것이다. ‘열-’은 대개 타동사로 쓰였지만,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다.
 여러 두며 무니 다닷거든 주014)
다닷거든:
닫혀 있으면. 닫-[閉]+아(연결 어미)+잇-[在]+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소학언해』(3:11ㄱ)에서도 ‘다닷거든’으로 나타난다.
다도 주015)
다도ᄃᆡ:
닫되. 닫-[閉]+오ᄃᆡ(연결 어미).
후에 주016)
들:
들어올. 들-[入]+ㄹ(관형사형 어미). 이 책에는 ‘들-’의 관형사형으로 ‘들, 드롤’이 다 쓰였다.
주017)
리:
사람이. 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앞 어절의 ‘ㄹ’ 때문에 ‘ㄹ’이 개입하였다.
잇거든 다도 주018)
다도ᄆᆞᆯ:
닫기를. 닫-[閉]+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다디 마롤 디니라 주019)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ㅣ-(서술격 조사 어간)+니(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장차 문(門) 안에 들어가려 할 때에 바라보기를 모름지기 낮게 하며, 문에 들어가서 문 허리에 가로지른 나무를 받들 듯이 하며, 눈을 두리번거려 보지 말며, 문이 열려 있으면 또 열어 두며 문이 닫혀 있으면 또 닫되, 나중에 들어오는 사람이 있으면 닫기를 완전히 하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 1(소학집해) : 시선을 아래로 내린다는 것은 눈을 치켜 뜨지 않는다는 것이다. 경(扃)은 문을 잠그는 나무이니, 문에 들어갈 때에 두 손으로 문에 빗장을 설치한 곳을 받들지니, 감히 손을 함부로 놀려 문을 밀쳐서는 안 된다.(視下者 不擧目也 扃門關之木 入戶之時 兩手捧戶置扃之處 不敢放手排闥也). 주석 2(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눈길을 돌리지 말라는 것은 남의 사사로운 일에 간섭할 것을 우려한 것이고, 열고 닫음을 모두 이전과 같이 하는 것은 주인의 뜻을 거스르지 않는 것이다. 수(遂)는 닫기를 완전히 하는 것이니, 뒤따라오는 사람을 막는다는 의심을 살 수 있으므로 완전히 닫지 않는 것이다.”(陳氏曰 視瞻不爲回轉 嫌於干人之私也 開闔皆如前 不違主人之意也 遂闔之盡也 嫌於拒從來者 故勿遂). 진씨(陳氏)는 진호(陳澔)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쟝ᄎᆞᆺ:장차. 앞으로. 15세기 문헌에서는 주로 ‘쟈ᇰᄎᆞ’가 쓰이고, 16세기 이후에 ‘쟈ᇰᄎᆞᆺ, 쟝ᄎᆞᆺ, 쟝ᄎᆞ’가 쓰였다.
주002)
무늬:문(門)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지게예’로 바뀌었다.
주003)
들:들어갈. 들-[入]+ㄹ(관형사형 어미). 이 책의 다른 곳에서는 ‘들다’의 관형사형 ‘들’과 ‘드롤’이 다 나타난다. ¶믈읫 손과로 들 제 ~主쥬人이 손 揖읍야 드롤 디니라〈번역소학 3:37ㄱ〉.
주004)
저긔:때에. 적[時]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들 저긔’가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들ᄉᆡ’로 바뀌었다. 이 책의 ‘-ㄹ 저긔’가 『소학언해』에서 ‘-ㄹᄉᆡ’로 바뀌는 현상은 아주 규칙적이다. ‘-ㄹᄉᆡ, -ㄹᄊᆡ’는 대개 ‘-므로’에 해당하는데, 여기의 ‘-ㄹᄉᆡ’는 ‘-할 때에’에 해당한다.
주005)
보ᄆᆞᆯ:봄을. 보는 것을. 보-[見]+옴/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보-’는 원래 거성(1점)이지만, 여기의 ‘봄’은 상성(2점)이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주006)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0ㄴ)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7)
ᄂᆞᄌᆞ기:낮게. 나직하게. ᄂᆞᄌᆞᆨ[低](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소학언해』(3:10ㄴ)에서는 ‘ᄂᆞᄌᆞ시’로 바뀌었다. ‘ᄂᆞᄌᆞᆨ-’이 훨씬 더 보편적인 형태였지만, ‘ᄂᆞᄌᆞᆺ-’도 보인다. ¶①父母ㅣ 허믈이 잇거시든 긔운을 시 며  빗 화열히 며〈소학언해 2:21ㄴ〉 ②니 엿 돈이오(低的六錢)〈번역노걸대 하 60ㄱ〉.
주008)
ᄀᆞᄅᆞ디ᄅᆞᆫ:가로지른. ‘문 허리예 ᄀᆞᄅᆞ디ᄅᆞᆫ 남ᄀᆞᆯ’을 『소학언해』(3:10ㄴ)에서는 ‘扃을’로 바꾸고, 그 대신 ‘扃’에 대하여 ‘문 허리예 ᄀᆞᄅᆞ디ᄅᆞᆫ 남기라’란 협주를 달았다. ‘ᄀᆞᄅᆞ디ᄅᆞ-’의 구조가 다음 둘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橫]’에서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디ᄅᆞ-[刺]’가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디ᄅᆞ-’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디ᄅᆞ-’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이 책(4:18ㄱ)의 ‘ᄀᆞᄅᆞ디ᄅᆞᆫ’이 『소학언해』(3:16ㄱ)의 협주에서는 ‘ᄀᆞᄅᆞᆫ’으로 나타나는데, 이 ‘ᄀᆞᄅᆞᆫ’은 동사 ‘ᄀᆞᄅᆞ다’의 활용형이다.
주009)
남ᄀᆞᆯ:나무를. 나ᇚ[木]+ᄋᆞᆯ. ‘나ᇚ’은 이른바 ㄱ 곡용 명사이다.
주010)
받드드시:떠받들 듯이. 받-[奉]+들-[擧]+드시(연결 어미).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주011)
둘어:(이리저리) 돌려. 두르-[回]+어(연결 어미). ‘두르-’는 ‘ᄅᆞ/르’ 불규칙 동사 중 이른바 ‘ㄹㅇ’형에 속한다. ‘/르’ 불규칙 활용 중 ‘ㄹㄹ’형에는 ‘-[速], 모-’ 등이 있고, ‘ㄹㅇ’형에는 ‘다-[異], 그르-[解], 게으르-[怠], 므르-[退]’ 등이 있다. ‘눈 둘어 보디 말며’가 『소학언해』(3:11ㄱ)에서는 ‘보기를 둘우 말며’로 바뀌었다. ‘둘우’는 현대 국어의 ‘두루’에 해당하는 부사이다.
주012)
말며:말며. 원문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11ㄱ)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13)
여렛거든:열려 있으면. 열-[開]+어(연결 어미)+잇-[在]+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어 잇-’은 완료 지속상 표지인데, ‘-엣-’과 ‘-엇-’을 거쳐 ‘-었-’으로 발달하였다. 『소학언해』(3:11ㄱ)에서는 ‘여럿거든’으로 바뀌었다. ‘-엣-’이 ‘-엇-’으로 바뀐 것이다. ‘열-’은 대개 타동사로 쓰였지만,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다.
주014)
다닷거든:닫혀 있으면. 닫-[閉]+아(연결 어미)+잇-[在]+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소학언해』(3:11ㄱ)에서도 ‘다닷거든’으로 나타난다.
주015)
다도ᄃᆡ:닫되. 닫-[閉]+오ᄃᆡ(연결 어미).
주016)
들:들어올. 들-[入]+ㄹ(관형사형 어미). 이 책에는 ‘들-’의 관형사형으로 ‘들, 드롤’이 다 쓰였다.
주017)
리:사람이. 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앞 어절의 ‘ㄹ’ 때문에 ‘ㄹ’이 개입하였다.
주018)
다도ᄆᆞᆯ:닫기를. 닫-[閉]+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19)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ㅣ-(서술격 조사 어간)+니(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