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敖오不블可가長며 欲욕不블可가從며 志

번역소학 권4:3ㄱ

지不블可가滿만며 樂락不블可가極극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오만 주001)
오만ᄒᆞᆫ:
오만(傲慢)한. ‘敖’는 ‘傲’와 같다.
 길우미 주002)
길우미:
기름이. 길-[長]+우(사동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어근 말음 ‘ㄹ’과 사동 접미사 ‘-우-’가 연결될 때에는 연철되지 않는다. 그것은 ‘-우-’가 ‘-구-’에서 발달한 것이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나 형용사의 경우 사동사가 둘로 분화되며, 의미적으로 서로 대립하는 경우가 있다, ¶일우다(=이루다) : 이르다/이다(=만들다), 살이다(=거주하게 하다) : 사다(=‘죽이다’의 반의어). 그러나 ‘길다’의 사동사 ‘길오다/길우다’와 ‘기르다/기ᄅᆞ다’는 의미의 차이 없이 쓰인 듯하다. 둘 다 ‘길게 하다, 크게 하다’와 ‘양육하다, 사육하다’란 의미를 나타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 두 예문에서 ‘길오다’와 ‘기르다’가 모두 ‘양육하다’를 뜻함을 볼 수 있다. ¶①내 이  나하 길오니  일도 몰라셔 날 여희여 가니〈석보상절11:29ㄱ〉 ②그 어미 이 니 기르더니 나히 라거시〈석보상절 11:40ㄴ〉.
몯 주003)
몯ᄒᆞᆯ:
불가(不可)할. ‘길우미 몯ᄒᆞᆯ 거시며’가 『소학언해』(3:2ㄴ)에서는 ‘길우디 몯ᄒᆞᆯ 거시며’로 바뀌었다. 바로 뒤에 나오는 ‘욕심을 바ᇰ히 호미 몯 거시며’와 ‘즐기는 ᄆᆞᅀᆞᄆᆞᆯ ᄀᆞ자ᇰ호미 몯ᄒᆞᆯ 거시니라’도 각각 ‘욕심을 可히 바ᇰ히 몯 거시며’와 ‘즐김을 可히 極히 몯ᄒᆞᆯ 거시니라’로 바뀌었다. ‘-호미 몯ᄒᆞᆯ 거시-’가 부적절하다고 본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러한 통사적 변화는 상당히 흥미로운 현상이다. ‘-호미 몯ᄒᆞ-’ 구문은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1577)에까지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아롬 기드료미 몯리며  드로 아로 求호미 몯리며 有ㅣ라 無ㅣ라 야 아로미 몯리며〈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11ㄱ〉. 이처럼 주격 조사 뒤에 쓰인 ‘몯ᄒᆞ-’는 ‘불가(不可)하다’의 뜻을 지닌 형용사로 보인다.
거시며 욕심을 바ᇰ히 호미 몯 거시며 들 주004)
ᄠᅳ들:
뜻을. 『소학언해』(3:2ㄴ)에 ‘ᄠᅳᆮ을’로 나타난다.
게 주005)
ᄎᆞ게:
차게. 만족하게. ᄎᆞ-[滿]+게(보조적 연결 어미). 보조적 연결 어미 ‘-게’는 ‘-긔’와 통용되었다. ¶①涅槃 得호 부텨 시긔 리다〈석보상절 6:4ㄱ〉 ②覺地를 믄득 證시게 호리라〈월인석보 서 18ㄴ〉.
디 주006)
ᄒᆞ디:
하지. ᄒᆞ-+디(보조적 연결 어미). ‘ᄠᅳ들 ᄎᆞ게 ᄒᆞ디 몯ᄒᆞᆯ 거시며’가 『소학언해』(3:2ㄴ-3ㄱ)에서는 ‘ᄠᅳᆮ을 可히 ᄎᆞ게 몯ᄒᆞᆯ 거시며’로 바뀌었다. 보조 동사 ‘ᄒᆞ디’가 삭제된 것이다. ‘-게 ᄒᆞ디 몯ᄒᆞ-’ 구문의 다른 예가 보이지 않지만, ‘-게 몯ᄒᆞ-’ 구문과 수의적으로 교체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게 ᄒᆞ디 몯ᄒᆞ-’ 구문의 다른 예를 찾을 수 없어서, 그 대신 ‘-게 ᄒᆞ디 말-’ 구문을 예로 든다. ¶①어드우미 能히 어듭게 몯호 니샨 微妙 고미오〈능엄경언해 2:107ㄴ〉 ②靑雲엣 리 여 버히게 디 말라〈두시언해 8:34ㄱ〉. 한편 ‘-게 하여서는 안 되-’의 의미를 ‘-게 ᄒᆞ디 몯ᄒᆞ-’로 나타내는 것은 한문의 ‘不可’ 구문의 굳어진 번역체로 보아야 할 듯하다.
몯 거시며 즐기  장호미 주007)
ᄀᆞ자ᇰ호미:
ᄀᆞ자ᇰ[極, 限]+ᄒᆞ-+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즐거움을) 극단적으로 누림이. ‘ᄀᆞ자ᇰᄒᆞ다’는 구(句)가 아니라 합성어로 보인다.
몯 거시니라 주008)
거시니라:
것이니라. ‘-니-’는 문장 종결 형식에서만 나타난다. 이 대목의 ‘~거시며 ~거시며 ~거시며 ~거시니라’에서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니-’의 ‘-ㄴ’은 본래 동명사 어미였다. 그러나 그 사실로는 연결형 ‘거시며’에 ‘-니-’가 쓰이지 않는 사실을 해명할 수 없다. 이 현상은 아주 이른 시기에 ‘-니-’가 ‘청자에 한 화자의 요구’를 나타내는 화용적 표지로 정착하였음을 시사한다. 평서문 종결 형식 ‘-니라’의 ‘-니-’는 ‘사태에 대한 청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그러나 의문 종결 형식에 쓰인 ‘-니-’는 문법적 기능이 없는 영형태이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오만(傲慢)한 마음을 길러서는 안 되며, 욕심을 방종(放縱)하게 해서는 안 되며, 뜻을 만족시켜서는 안 되며, 즐기는 마음을 극단적으로 누려서는 안 되느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해) : 응씨(應氏)가 말하였다. “경(敬)의 반대가 오(傲)이고 정(情)의 동(動)함이 욕(欲)이다. 뜻이 자만하면 넘치고, 즐거움이 극단에 치우치면 뒤집히게 된다.” 마씨(馬氏)는 말하였다. “오만함을 키워서는 안 된다는 것은 사라지게 하여 끊고자 함이고, 욕심을 방종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극복하여 그치게 하고자 함이고, 뜻을 자만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덜어서 억제하고자 함이고, 즐거움이 극단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는 것은 단속하여 예(禮)로 돌아가고자 함이다.”(應氏曰 敬之反爲傲 情之動爲欲 志滿則溢 樂極則反 馬氏曰 傲不可長者 欲消而絶之也 欲不可縱者 欲克而止之也 志不可滿者 欲損而抑之也 樂不可極者 欲約而歸於禮也). 응씨(應氏)는 응용(應鏞)이다. 자는 자화(子和), 호는 금화(金華)이다. 진호(陳澔)가 『예기집설』에서 그의 견해를 자주 인용하며 근세의 사람이라고 한 것으로 미루어보아 송말원초 때의 인물로 추정된다. 마씨(馬氏)는 북송 때의 학자 마희맹(馬希孟)이다. 마희맹(馬睎孟)으로도 쓴다. 자(字)는 언순(彦醇)이며, 『예기』에 정통하여 『예기해(禮記解)』 70권을 저술하였으며, 진호(陳澔)의 『예기집설』에 그의 주가 다수 인용되었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오만ᄒᆞᆫ:오만(傲慢)한. ‘敖’는 ‘傲’와 같다.
주002)
길우미:기름이. 길-[長]+우(사동 접미사)+움(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어근 말음 ‘ㄹ’과 사동 접미사 ‘-우-’가 연결될 때에는 연철되지 않는다. 그것은 ‘-우-’가 ‘-구-’에서 발달한 것이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나 형용사의 경우 사동사가 둘로 분화되며, 의미적으로 서로 대립하는 경우가 있다, ¶일우다(=이루다) : 이르다/이다(=만들다), 살이다(=거주하게 하다) : 사다(=‘죽이다’의 반의어). 그러나 ‘길다’의 사동사 ‘길오다/길우다’와 ‘기르다/기ᄅᆞ다’는 의미의 차이 없이 쓰인 듯하다. 둘 다 ‘길게 하다, 크게 하다’와 ‘양육하다, 사육하다’란 의미를 나타냈던 것으로 보인다. 다음 두 예문에서 ‘길오다’와 ‘기르다’가 모두 ‘양육하다’를 뜻함을 볼 수 있다. ¶①내 이  나하 길오니  일도 몰라셔 날 여희여 가니〈석보상절11:29ㄱ〉 ②그 어미 이 니 기르더니 나히 라거시〈석보상절 11:40ㄴ〉.
주003)
몯ᄒᆞᆯ:불가(不可)할. ‘길우미 몯ᄒᆞᆯ 거시며’가 『소학언해』(3:2ㄴ)에서는 ‘길우디 몯ᄒᆞᆯ 거시며’로 바뀌었다. 바로 뒤에 나오는 ‘욕심을 바ᇰ히 호미 몯 거시며’와 ‘즐기는 ᄆᆞᅀᆞᄆᆞᆯ ᄀᆞ자ᇰ호미 몯ᄒᆞᆯ 거시니라’도 각각 ‘욕심을 可히 바ᇰ히 몯 거시며’와 ‘즐김을 可히 極히 몯ᄒᆞᆯ 거시니라’로 바뀌었다. ‘-호미 몯ᄒᆞᆯ 거시-’가 부적절하다고 본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러한 통사적 변화는 상당히 흥미로운 현상이다. ‘-호미 몯ᄒᆞ-’ 구문은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1577)에까지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아롬 기드료미 몯리며  드로 아로 求호미 몯리며 有ㅣ라 無ㅣ라 야 아로미 몯리며〈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11ㄱ〉. 이처럼 주격 조사 뒤에 쓰인 ‘몯ᄒᆞ-’는 ‘불가(不可)하다’의 뜻을 지닌 형용사로 보인다.
주004)
ᄠᅳ들:뜻을. 『소학언해』(3:2ㄴ)에 ‘ᄠᅳᆮ을’로 나타난다.
주005)
ᄎᆞ게:차게. 만족하게. ᄎᆞ-[滿]+게(보조적 연결 어미). 보조적 연결 어미 ‘-게’는 ‘-긔’와 통용되었다. ¶①涅槃 得호 부텨 시긔 리다〈석보상절 6:4ㄱ〉 ②覺地를 믄득 證시게 호리라〈월인석보 서 18ㄴ〉.
주006)
ᄒᆞ디:하지. ᄒᆞ-+디(보조적 연결 어미). ‘ᄠᅳ들 ᄎᆞ게 ᄒᆞ디 몯ᄒᆞᆯ 거시며’가 『소학언해』(3:2ㄴ-3ㄱ)에서는 ‘ᄠᅳᆮ을 可히 ᄎᆞ게 몯ᄒᆞᆯ 거시며’로 바뀌었다. 보조 동사 ‘ᄒᆞ디’가 삭제된 것이다. ‘-게 ᄒᆞ디 몯ᄒᆞ-’ 구문의 다른 예가 보이지 않지만, ‘-게 몯ᄒᆞ-’ 구문과 수의적으로 교체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게 ᄒᆞ디 몯ᄒᆞ-’ 구문의 다른 예를 찾을 수 없어서, 그 대신 ‘-게 ᄒᆞ디 말-’ 구문을 예로 든다. ¶①어드우미 能히 어듭게 몯호 니샨 微妙 고미오〈능엄경언해 2:107ㄴ〉 ②靑雲엣 리 여 버히게 디 말라〈두시언해 8:34ㄱ〉. 한편 ‘-게 하여서는 안 되-’의 의미를 ‘-게 ᄒᆞ디 몯ᄒᆞ-’로 나타내는 것은 한문의 ‘不可’ 구문의 굳어진 번역체로 보아야 할 듯하다.
주007)
ᄀᆞ자ᇰ호미:ᄀᆞ자ᇰ[極, 限]+ᄒᆞ-+옴(명사형 어미)+이(주격 조사). (즐거움을) 극단적으로 누림이. ‘ᄀᆞ자ᇰᄒᆞ다’는 구(句)가 아니라 합성어로 보인다.
주008)
거시니라:것이니라. ‘-니-’는 문장 종결 형식에서만 나타난다. 이 대목의 ‘~거시며 ~거시며 ~거시며 ~거시니라’에서 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니-’의 ‘-ㄴ’은 본래 동명사 어미였다. 그러나 그 사실로는 연결형 ‘거시며’에 ‘-니-’가 쓰이지 않는 사실을 해명할 수 없다. 이 현상은 아주 이른 시기에 ‘-니-’가 ‘청자에 한 화자의 요구’를 나타내는 화용적 표지로 정착하였음을 시사한다. 평서문 종결 형식 ‘-니라’의 ‘-니-’는 ‘사태에 대한 청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그러나 의문 종결 형식에 쓰인 ‘-니-’는 문법적 기능이 없는 영형태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