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毋모瀆독神신며 毋모循슌枉며 毋모測측未미至지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귀신을므던히 주001)
므던히:
대수롭지 않게. 소홀하게. 므던-[輕]+ᄒᆞ-+이(부사 파생 접미사). 이 책의 다른 곳(4:13ㄴ)에서는 ‘므더니’도 쓰였다. 15세기 여러 문헌에서 ‘므더니’와 ‘므던히’가 공존하였다. ¶①慢  므더니 너길 씨니〈석보상절 9:13ㄴ〉 ②네 뎌 나라 므던히 너겨 사오나 너 들 내디 말라〈석보상절 20:36ㄴ〉. ‘므던ᄒᆞ다’는 ‘가능하다, 괜찮다’를 뜻하기도 한다. ¶ 이  畜生 나혼 거시다 고 根源을 다  王이 니샤 그러야도 므던니 이제 어듸 잇니고〈석보상절 11:28ㄴ〉. ‘므던히 너기디 말며’가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셜만티 말며’로 바뀌었다. ‘셜만’은 ‘설만(褻慢)’이다.
너기디 말며 그르 주002)
그르:
그릇되게. 잘못. 형용사 어간 ‘그르-’에서 영파생된 부사이다. ‘그르’가 ‘그릇’으로 발달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변화의 과정이 분명치 않다. 다음 예문의 ‘그릇디’는 중세 국어에 ‘그릇다(?)’가 존재하였음을 보여 준다. ¶믈읫 니르논 法이 意趣를 조차 다 實相애 그릇디 아니며〈석보상절 19:24ㄴ〉. 그런데 이 ‘그릇디’의 기본형은 ‘그릇다’가 아니고 다음 예문에서 보이는 ‘그르츠다([違])’와 관련이 있는 ‘그릋다’일 가능성이 있다. ¶아랫 져믄 사름미 례졀리 그르츠거나 커든〈이륜행실도, 옥산서원 27ㄱ〉. 이 밖에도 관련될 수 있는 어휘에는 [錯, 違] 등을 뜻하는 ‘어그릋다, 어그리츠다, 어긔릋다, 어긔릇츠다’ 등이 있다. 요컨대 부사 ‘그릇’은 부사 ‘그르’와 동사 ‘그릋다’의 합류에 의해 형성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그르다’의 유의어로는 ‘외다’가 있었다. ¶제 올호라 고  외다 야 正法을 비우 魔  黨이 외리니〈석보상절 9:14ㄱ〉.
주003)
혼:
한.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그르 혼’은 ‘枉’의 번역인데, 『소학언해』(3:12ㄴ)에서는 ‘굽은’으로 바뀌었다.
이 주004)
이ᄅᆞᆯ:
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인야 주005)
인ᄒᆞ야:
인(因)하여. 따라서. ‘因’은 ‘因襲, 因循’에서와 같이 ‘의지함’ 또는 ‘따름, 좇음’을 뜻한다.
좃디 주006)
좃디:
좇지. 따르지. 좇-[循, 從]+디(보조적 연결 어미). ‘인ᄒᆞ야 좃디’는 ‘循’의 번역인데,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인슌티’로 바뀌었다. ‘인슌’은 ‘인순(因循)’이다.
말며 아니 주007)
아니:
아니. ‘아니 왯ᄂᆞᆫ’을 『소학언해』(3:12ㄴ)에서는 ‘니르디 몯ᄒᆞᆫ’으로 바꾸었다. ‘부정 부사+동사’ 구성을 ‘동사 어간+디 몯ᄒᆞ-’ 구성으로 바꾼 것이다.
왯 주008)
왯ᄂᆞᆫ:
온. 오-[來]+아(연결 어미)+잇-[在]+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아 잇-’은 완료 지속상을 나타낸다. ‘-앳-’과 ‘-앗-’을 거쳐 ‘-았-’으로 바뀌었다.
이 미리 혜아리디 말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귀신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 말며, 잘못 저지른 일을 따라서 좇지 말며, 와 있지 않은 일을 미리 헤아리지 말며,
〈해설〉 출전 : 예기 소의(少儀).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신(神)은 모독해서는 안 되니, 반드시 공경하면서 멀리해야 한다. 말과 행실이 지나치고 옳지 않았다면 마땅히 고쳐서 바른 길을 따라야 하니, 나중에 답습한다면 이는 허물을 거듭 저지르는 것이다. 군자는 성(誠)으로써 스스로 처(處)하고 또한 성(誠)으로써 남을 대한다. 장차 올 일을 미리 헤아리지 않으니, 아직 오지 않았는데 헤아린다면 비록 맞더라도 거짓이다.”(陳氏曰 神不可瀆 必敬而遠之 言行過而邪枉 當改以從直 後復循襲 是二(貳)過矣 君子以誠自處 亦以誠待人 不逆料其將然也 未至而測之 雖中亦僞). 진씨(陳氏)는 『예기집설(禮記集說)』을 저술한 진호(陳澔)이다. 「소학집주고정(小學集註攷訂)」에서는 ‘二’가 본래 ‘貳’였다고 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므던히:대수롭지 않게. 소홀하게. 므던-[輕]+ᄒᆞ-+이(부사 파생 접미사). 이 책의 다른 곳(4:13ㄴ)에서는 ‘므더니’도 쓰였다. 15세기 여러 문헌에서 ‘므더니’와 ‘므던히’가 공존하였다. ¶①慢  므더니 너길 씨니〈석보상절 9:13ㄴ〉 ②네 뎌 나라 므던히 너겨 사오나 너 들 내디 말라〈석보상절 20:36ㄴ〉. ‘므던ᄒᆞ다’는 ‘가능하다, 괜찮다’를 뜻하기도 한다. ¶ 이  畜生 나혼 거시다 고 根源을 다  王이 니샤 그러야도 므던니 이제 어듸 잇니고〈석보상절 11:28ㄴ〉. ‘므던히 너기디 말며’가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셜만티 말며’로 바뀌었다. ‘셜만’은 ‘설만(褻慢)’이다.
주002)
그르:그릇되게. 잘못. 형용사 어간 ‘그르-’에서 영파생된 부사이다. ‘그르’가 ‘그릇’으로 발달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변화의 과정이 분명치 않다. 다음 예문의 ‘그릇디’는 중세 국어에 ‘그릇다(?)’가 존재하였음을 보여 준다. ¶믈읫 니르논 法이 意趣를 조차 다 實相애 그릇디 아니며〈석보상절 19:24ㄴ〉. 그런데 이 ‘그릇디’의 기본형은 ‘그릇다’가 아니고 다음 예문에서 보이는 ‘그르츠다([違])’와 관련이 있는 ‘그릋다’일 가능성이 있다. ¶아랫 져믄 사름미 례졀리 그르츠거나 커든〈이륜행실도, 옥산서원 27ㄱ〉. 이 밖에도 관련될 수 있는 어휘에는 [錯, 違] 등을 뜻하는 ‘어그릋다, 어그리츠다, 어긔릋다, 어긔릇츠다’ 등이 있다. 요컨대 부사 ‘그릇’은 부사 ‘그르’와 동사 ‘그릋다’의 합류에 의해 형성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그르다’의 유의어로는 ‘외다’가 있었다. ¶제 올호라 고  외다 야 正法을 비우 魔  黨이 외리니〈석보상절 9:14ㄱ〉.
주003)
혼:한.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그르 혼’은 ‘枉’의 번역인데, 『소학언해』(3:12ㄴ)에서는 ‘굽은’으로 바뀌었다.
주004)
이ᄅᆞᆯ: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05)
인ᄒᆞ야:인(因)하여. 따라서. ‘因’은 ‘因襲, 因循’에서와 같이 ‘의지함’ 또는 ‘따름, 좇음’을 뜻한다.
주006)
좃디:좇지. 따르지. 좇-[循, 從]+디(보조적 연결 어미). ‘인ᄒᆞ야 좃디’는 ‘循’의 번역인데,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인슌티’로 바뀌었다. ‘인슌’은 ‘인순(因循)’이다.
주007)
아니:아니. ‘아니 왯ᄂᆞᆫ’을 『소학언해』(3:12ㄴ)에서는 ‘니르디 몯ᄒᆞᆫ’으로 바꾸었다. ‘부정 부사+동사’ 구성을 ‘동사 어간+디 몯ᄒᆞ-’ 구성으로 바꾼 것이다.
주008)
왯ᄂᆞᆫ:온. 오-[來]+아(연결 어미)+잇-[在]+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 ‘-아 잇-’은 완료 지속상을 나타낸다. ‘-앳-’과 ‘-앗-’을 거쳐 ‘-았-’으로 바뀌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