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 명음식지절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음식지절 001


濡유肉으란 齒치決결고 乾간肉으란 不블齒치

번역소학 권4:27ㄱ

決결며 毋모嘬최炙젹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저즌 고기란 주001)
고기란:
고기는. 고기[肉]+란(대조와 차이의 보조사).
니로 주002)
니로:
이[齒]로.
버혀 주003)
버혀:
베어. 버히-[斷]+어(연결 어미).
먹고  주004)
:
마른. ᄆᆞᄅᆞ-[乾]+ㄴ(관형사형 어미). 원문의 ‘乾’의 독음이 ‘간’으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24ㄱ)에서도 ‘간’으로 나타난다. ‘하늘’을 뜻할 때에는 ‘건’으로, ‘마름’을 뜻할 때에는 ‘건’ 또는 ‘간’으로 읽힌다. ¶①간(평성)〈동국정운 2:32ㄱ〉 껀(평성)〈동국정운 3:10ㄴ〉 ②乾 하ᄂᆞᆯ 건〈유합 상1ㄴ〉 ③乾 마를 간〈자전석요 상 2ㄱ〉.
고기란 니로 버혀 먹디 말며 주005)
젹:
적(炙). 불에 구운 고기. 이 낱말이 발달한 현대 국어의 ‘적’은 ‘생선이나 고기 따위를 양념하여 대꼬챙이에 꿰어 불에 굽거나 지진 음식’을 뜻한다. ‘炙’의 독음이 ‘젹’으로 나타나 있는데, 『소학언해』(3:24ㄱ)에는 ‘쟈’로 나타난다. 오늘날의 독음은 ‘적, 자’이다.
모도 주006)
모도:
모두. 몯-[集]+오(부사 파생 접미사).
여 주007)
ᄲᅡ여:
빼어. ᄲᅢ-[拔]+어. ‘ㅐ’가 이중 모음이었기 때문에 ‘ᄲᅢ어’가 ‘ᄲᅡ여’로 표기될 수 있었다. ‘ᄲᅢ-’는 ‘ᄲᅡ-[被拔](자동사 어간)+이(사동 접미사)’로 구성된 어간이다. ‘ᄲᅡ다’는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였다. ¶①소로 汁을  곳 굼긔 들에 고〈구급방언해 상 25ㄴ〉 ②져머셔 나 아로미 나샤 호매 호 더으디 아니터시니〈선종영가집언해 서 6ㄴ〉. 이 예 중 ②의 ‘ᄲᅡ나샤’는 비록 합성어이기는 하지만, ‘ᄲᅡ-’가 자동사로 쓰인 예로 볼 수 있다. 이 동사는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다른 낱말과 결합한 합성어의 일부로 더 많이 쓰였다. 첫째는 [引]을 뜻하는 ‘ᅘᅧ다(혀다)’와 결합한 ‘ᄲᅡᅘᅧ다, ᄲᅡ혀다(15세기), ᄲᅢ혀다(16세기 이후)’ 등이고, 둘째는 ‘-아디-’와 결합한 ‘디다[被拔, 溺]’이며, 셋째는 ‘-아나다’와 결합한 ‘나다[秀]’이다. 한편 ‘ᄲᅡ다’는 [墮]를 뜻하기도 하였다.
먹디 마롤 디니라 주008)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25ㄴ에서 시작된 문장이 여기서 종결되었다.
배행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젖은 고기는 이로 베어 먹고, 마른 고기는 이로 베어 먹지 말며, 구운 고기를 한꺼번에 다 빼어 먹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젖은 고기는 효
(殽: 뼈째 삶은 고기)
나 자
(胾: 썬 고기)
와 같은 것이고, 마른 고기는 포
(脯: 양념을 가하지 않은, 저미어 말린 고기)
나 수
(脩: 포에다 양념을 가한 것)
와 같은 것이다. 결(決)은 자르는 것이다. 이빨로 자르지 않으면 마땅히 손으로 다루어야 한다.” 공씨(孔氏)가 말하였다. “불에 구운 것을 자(炙)라 한다. 한꺼번에 집어들어서 다 먹는 것을 ‘최(嘬)’라 하니, 이는 음식을 탐하는 것이다.”(陳氏曰 濡肉殽胾之類 乾肉脯脩之類 決斷也 不齒決 則當治之以手也 孔氏曰 火灼曰炙 一擧而倂食曰嘬, 是貪食也). 진씨(陳氏)는 진호(陳澔)이다. 공씨(孔氏)는 당(唐)나라 태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공영달(孔穎達: 574~648)이다. 천문과 수학에 능통하였으며 『수서(隋書)』와 『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기란:고기는. 고기[肉]+란(대조와 차이의 보조사).
주002)
니로:이[齒]로.
주003)
버혀:베어. 버히-[斷]+어(연결 어미).
주004)
:마른. ᄆᆞᄅᆞ-[乾]+ㄴ(관형사형 어미). 원문의 ‘乾’의 독음이 ‘간’으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24ㄱ)에서도 ‘간’으로 나타난다. ‘하늘’을 뜻할 때에는 ‘건’으로, ‘마름’을 뜻할 때에는 ‘건’ 또는 ‘간’으로 읽힌다. ¶①간(평성)〈동국정운 2:32ㄱ〉 껀(평성)〈동국정운 3:10ㄴ〉 ②乾 하ᄂᆞᆯ 건〈유합 상1ㄴ〉 ③乾 마를 간〈자전석요 상 2ㄱ〉.
주005)
젹:적(炙). 불에 구운 고기. 이 낱말이 발달한 현대 국어의 ‘적’은 ‘생선이나 고기 따위를 양념하여 대꼬챙이에 꿰어 불에 굽거나 지진 음식’을 뜻한다. ‘炙’의 독음이 ‘젹’으로 나타나 있는데, 『소학언해』(3:24ㄱ)에는 ‘쟈’로 나타난다. 오늘날의 독음은 ‘적, 자’이다.
주006)
모도:모두. 몯-[集]+오(부사 파생 접미사).
주007)
ᄲᅡ여:빼어. ᄲᅢ-[拔]+어. ‘ㅐ’가 이중 모음이었기 때문에 ‘ᄲᅢ어’가 ‘ᄲᅡ여’로 표기될 수 있었다. ‘ᄲᅢ-’는 ‘ᄲᅡ-[被拔](자동사 어간)+이(사동 접미사)’로 구성된 어간이다. ‘ᄲᅡ다’는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였다. ¶①소로 汁을  곳 굼긔 들에 고〈구급방언해 상 25ㄴ〉 ②져머셔 나 아로미 나샤 호매 호 더으디 아니터시니〈선종영가집언해 서 6ㄴ〉. 이 예 중 ②의 ‘ᄲᅡ나샤’는 비록 합성어이기는 하지만, ‘ᄲᅡ-’가 자동사로 쓰인 예로 볼 수 있다. 이 동사는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다른 낱말과 결합한 합성어의 일부로 더 많이 쓰였다. 첫째는 [引]을 뜻하는 ‘ᅘᅧ다(혀다)’와 결합한 ‘ᄲᅡᅘᅧ다, ᄲᅡ혀다(15세기), ᄲᅢ혀다(16세기 이후)’ 등이고, 둘째는 ‘-아디-’와 결합한 ‘디다[被拔, 溺]’이며, 셋째는 ‘-아나다’와 결합한 ‘나다[秀]’이다. 한편 ‘ᄲᅡ다’는 [墮]를 뜻하기도 하였다.
주008)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25ㄴ에서 시작된 문장이 여기서 종결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