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論론語어에 曰왈 席셕不블正이어든 不블坐좌ㅣ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論론語어에 로 주001)
ᄀᆞ로ᄃᆡ:
말하되. 가로대. ᄀᆞᆮ-[曰]+오ᄃᆡ(연결 어미).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돗기 주002)
돗기:
자리가. 도ᇧ[席]+이(주격 조사). ‘도ᇧ’은 ‘자리’를 뜻하기도 하고 ‘배의 돛’을 뜻하기도 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만 ‘도ᇧ’으로 나타나고, 그 밖의 환경에서는 ‘돗’으로 나타난다. ¶①席 돗 셕〈훈몽자회 중 6ㄴ〉 ②帆 옛 돗기라〈금강경삼가해 3:24ㄱ〉.
바 주003)
바ᄅᆞ:
바로. 바르게. 바ᄅᆞ-[正, 直]+Ø(부사 파생 접미사). 형용사 어간 ‘바ᄅᆞ-’가 접사와의 결합 없이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디 주004)
ᄭᆞ디:
깔리지. ᄭᆞᆯ-[藉]+디(보조적 연결 어미).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ᄭᆞᆯ다’가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다. 다른 문헌에서 피동사 ‘ᄭᆞᆯ이다’가 보인다. ¶내 호 어누 藏ㅅ 金이 마치 이려뇨 노다〈석보상절 6:25ㄴ〉.
아니얏거든 주005)
아니ᄒᆞ얏거든:
아니하였으면. 아니(부사)+ᄒᆞ-(용언 파생 접미사)+얏+거든(연결 어미). ‘-얏-’은 ‘야(연결 어미)+잇-[在](동사 어간)’이 축약된 것이다. ‘-거든’은 ‘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이 연결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거든’은 ‘-거든, -면, -으니, -으므로, -은데, -건만, -어도’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안 주006)
안ᄯᅵ:
앉지. 앉-[坐]+디(보조적 연결 어미). 제 2음절의 경음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아니더시다 주007)
아니ᄒᆞ더시다:
않으셨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이 대목은 청자(독자)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타이르는 내용이 아니고, 공자(孔子)의 몸가짐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니-’가 없는 종결 형식을 쓴 것이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논어』에서 이르되, 자리가 바르게 깔리지 않았으면 앉지 아니하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사씨(謝氏)가 말하였다. “성인(聖人)께서는 바른 것이어야 마음이 편안하셨다. 그러므로 자리가 바르지 않은 곳에서는 그것이 비록 사소한 것이라 하더라도 자리잡지 않으신 것이다.”(謝氏曰 聖人心安於正 故於位之不正者 雖小不處). 사씨(謝氏)는 송(宋)나라 때의 사양좌(謝良佐: 1050~1130)이다. 자(字)는 현도(顯道)이며, 정호(程顥)와 정이(程頤)의 문인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ᄀᆞ로ᄃᆡ:말하되. 가로대. ᄀᆞᆮ-[曰]+오ᄃᆡ(연결 어미).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주002)
돗기:자리가. 도ᇧ[席]+이(주격 조사). ‘도ᇧ’은 ‘자리’를 뜻하기도 하고 ‘배의 돛’을 뜻하기도 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만 ‘도ᇧ’으로 나타나고, 그 밖의 환경에서는 ‘돗’으로 나타난다. ¶①席 돗 셕〈훈몽자회 중 6ㄴ〉 ②帆 옛 돗기라〈금강경삼가해 3:24ㄱ〉.
주003)
바ᄅᆞ:바로. 바르게. 바ᄅᆞ-[正, 直]+Ø(부사 파생 접미사). 형용사 어간 ‘바ᄅᆞ-’가 접사와의 결합 없이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주004)
ᄭᆞ디:깔리지. ᄭᆞᆯ-[藉]+디(보조적 연결 어미).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ᄭᆞᆯ다’가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다. 다른 문헌에서 피동사 ‘ᄭᆞᆯ이다’가 보인다. ¶내 호 어누 藏ㅅ 金이 마치 이려뇨 노다〈석보상절 6:25ㄴ〉.
주005)
아니ᄒᆞ얏거든:아니하였으면. 아니(부사)+ᄒᆞ-(용언 파생 접미사)+얏+거든(연결 어미). ‘-얏-’은 ‘야(연결 어미)+잇-[在](동사 어간)’이 축약된 것이다. ‘-거든’은 ‘거(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이 연결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거든’은 ‘-거든, -면, -으니, -으므로, -은데, -건만, -어도’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주006)
안ᄯᅵ:앉지. 앉-[坐]+디(보조적 연결 어미). 제 2음절의 경음화를 반영한 표기이다.
주007)
아니ᄒᆞ더시다:않으셨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이 대목은 청자(독자)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타이르는 내용이 아니고, 공자(孔子)의 몸가짐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니-’가 없는 종결 형식을 쓴 것이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