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論론語어에 曰왈 孔子ㅣ 於어鄕黨애 恂슌恂슌如여也야야 似不블能言언者쟈ㅣ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4:15ㄴ

論론語어에 로 孔子ㅣ  주001)
ᄆᆞᅀᆞᆯᄒᆡ:
마을에. 시골에. ᄆᆞᅀᆞᆯㅎ[鄕](ㅎ말음체언)+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여기의 ‘ᄆᆞᅀᆞᆯㅎ’은 ‘鄕黨’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13ㄴ)에서는 원문의 ‘鄕黨’을 우리 고유어로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썼다.
겨샤 주002)
겨샤ᄂᆞᆫ:
계셔서는. 겨시-[在]+아(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졍되오 주003)
져ᇰ셔ᇰ되오:
정성(精誠)스럽고. 져ᇰ셔ᇰ+되(형용사 파생 접미사)+고. ‘-고’의 ‘ㄱ’은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 뒤에서 [ɦ]으로 약화하였다. 이 [ɦ]이 ‘ㅇ’으로 표기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음운론적으로 자음에 속하기 때문에 ‘-되오’가 ‘-되요’로 변하는 일이 없었다. 한편 형용사 파생 접미사 ‘-되-’는 ‘-ᄃᆞᄫᆡ-’에서 발달하였다. 중세 국어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모두 여기서 발달하였다.
슌샤 주004)
고ᇰ슌ᄒᆞ샤:
공순(恭順)하셔서. 고ᇰ슌+ᄒᆞ-+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져ᇰ셔ᇰ되오 고ᇰ슌ᄒᆞ샤’를 『소학언해』(3:13ㄴ)에서는 ‘恂恂ᄐᆞᆺᄒᆞ샤’로 바꾸고, ‘恂恂’에 대하여 ‘믿브고 실ᄒᆞᆫ 야ᇰ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믿브고 실ᄒᆞᆫ’은 『소학집설』의 ‘信實’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말 주005)
말ᄉᆞᆷ:
말.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말, 말ᄊᆞᆷ(말ᄉᆞᆷ)’은 모두 [+높임]과 [-높임] 및 [+겸양]과 [-겸양]의 상황에 두루 쓰였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①語는 말미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이 말 眞實야 決定히 虛티 아니니라〈월인석보 10:122ㄴ〉 ③다시 말 펴 다시 觀體 標호〈선종영가집언해 하 31ㄱ〉 ④阿難이 비록  이 말 듣와〈능엄경언해 1:102ㄴ〉 ⑤桃源ㅅ 나그내 더브러 말 傳라〈두시언해 초간본 8:61ㄱ〉.
 잘 몯 더시다 주006)
ᄃᆞᆺᄒᆞ더시다:
듯하셨다. ‘잘 몯ᄒᆞᄂᆞᆫ ᄃᆞᆺᄒᆞ더시다’가 『소학언해』(3:13ㄴ)에서는 원문에 더 충실한 ‘잘 몯ᄒᆞᄂᆞᆫ 이 ᄀᆞᆮ더시다’로 바뀌었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논어』에서 이르되, 공자께서는 고향 마을에 계실 때에는 정성스럽고 공순(恭順)하셔서, 말씀을 잘 못하는 듯하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순순(恂恂)은 신실(信實)한 모습이다. 말을 잘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것은 겸손하고 공손하여 어짊과 지혜로써 남을 앞서려고 하지 않는 것이다. 향당(鄕黨)은 부형(父兄)과 종족(宗族)이 살고 있는 곳이다. 그러므로 공자께서는 그곳에서 지내실 때 행동과 말씨가 이와 같으셨다.”(朱子曰 恂恂信實之貌 似不能言者 謙卑遜順 不以賢知先人也 鄕黨父兄宗族之所在 故孔子居之 其容貌辭氣如此). 이 대목은 반드시 그 다음 대목과 붙여서 읽어야 한다. 두 대목은 ‘향당(鄕黨)’과 ‘종묘(宗廟) 및 조정(朝廷)’에서 보여 주는 공자의 두 가지 상반된 태도를 대비하고 있기 때문에 두 대목을 따로 떼어서 읽으면 각각의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ᄆᆞᅀᆞᆯᄒᆡ:마을에. 시골에. ᄆᆞᅀᆞᆯㅎ[鄕](ㅎ말음체언)+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여기의 ‘ᄆᆞᅀᆞᆯㅎ’은 ‘鄕黨’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13ㄴ)에서는 원문의 ‘鄕黨’을 우리 고유어로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썼다.
주002)
겨샤ᄂᆞᆫ:계셔서는. 겨시-[在]+아(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주003)
져ᇰ셔ᇰ되오:정성(精誠)스럽고. 져ᇰ셔ᇰ+되(형용사 파생 접미사)+고. ‘-고’의 ‘ㄱ’은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 뒤에서 [ɦ]으로 약화하였다. 이 [ɦ]이 ‘ㅇ’으로 표기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음운론적으로 자음에 속하기 때문에 ‘-되오’가 ‘-되요’로 변하는 일이 없었다. 한편 형용사 파생 접미사 ‘-되-’는 ‘-ᄃᆞᄫᆡ-’에서 발달하였다. 중세 국어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모두 여기서 발달하였다.
주004)
고ᇰ슌ᄒᆞ샤:공순(恭順)하셔서. 고ᇰ슌+ᄒᆞ-+시(주체 존대 선어말 어미)+아(연결 어미). ‘져ᇰ셔ᇰ되오 고ᇰ슌ᄒᆞ샤’를 『소학언해』(3:13ㄴ)에서는 ‘恂恂ᄐᆞᆺᄒᆞ샤’로 바꾸고, ‘恂恂’에 대하여 ‘믿브고 실ᄒᆞᆫ 야ᇰ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믿브고 실ᄒᆞᆫ’은 『소학집설』의 ‘信實’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주005)
말ᄉᆞᆷ:말.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말, 말ᄊᆞᆷ(말ᄉᆞᆷ)’은 모두 [+높임]과 [-높임] 및 [+겸양]과 [-겸양]의 상황에 두루 쓰였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①語는 말미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이 말 眞實야 決定히 虛티 아니니라〈월인석보 10:122ㄴ〉 ③다시 말 펴 다시 觀體 標호〈선종영가집언해 하 31ㄱ〉 ④阿難이 비록  이 말 듣와〈능엄경언해 1:102ㄴ〉 ⑤桃源ㅅ 나그내 더브러 말 傳라〈두시언해 초간본 8:61ㄱ〉.
주006)
ᄃᆞᆺᄒᆞ더시다:듯하셨다. ‘잘 몯ᄒᆞᄂᆞᆫ ᄃᆞᆺᄒᆞ더시다’가 『소학언해』(3:13ㄴ)에서는 원문에 더 충실한 ‘잘 몯ᄒᆞᄂᆞᆫ 이 ᄀᆞᆮ더시다’로 바뀌었다. ‘-더시다’에는 청자(독자)에게 명제의 내용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 ‘-니-’가 없다. 그런 만큼 청자(독자)를 적극적으로 의식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느낌을 준다. 다음 예문에서와 같이 ‘-니-’가 개입하면, 청자(독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의식하는 느낌을 준다. ¶①如來  번도 구짓디 아니더시니라 고 즉자히 驕慢  더러 리고〈월인석보 4:25ㄴ〉 ②님 恩澤이 제여곰 두 가지로 아니더시니라〈두시언해 중간본 16:17ㄴ〉. 한편 여기서는 ‘-더시-’가 쓰였는데, 중세 국어에서는 ‘-더시-’와 ‘-시더-’가 다 활발하게 쓰였다. ¶俱夷  고개 안고 우르시더라〈석보상절 3:34ㄴ〉. ‘-더시-’는 18세기 문헌에서도 나타난다. ¶君이 在커시든 踧踖히 시며 與與히 더시다〈논어율곡언해 2:55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