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入입國국不블馳티며 入입里리必필式식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나라해 주001)
나라해:
나라에. 도읍지(都邑地)에. 나라ㅎ[國](ㅎ말음체언)+애(부사격 조사). ‘國’은 ‘도읍, 고향, 지방’을 뜻하기도 한다.
드러갈 주002)
제:
때에. ‘제’는 한자어 ‘際’로 보이는데, 언제나 훈민정음으로 표기되었다. 제+Ø(부사격 조사).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시간과 장소 관련 명사 뒤에서는 부사격 조사 ‘에/예//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이디 주003)
ᄃᆞᆯ이디:
(수레를 타고) 달리지. ᄃᆞᆯ이-[走]+디(보조적 연결 어미). ‘ᄃᆞᆮ다[走]’와 ‘ᄃᆞᆯ이다’ 사이의 뚜렷한 차이를 찾기 어렵다. 다만 ‘ᄃᆞᆯ이다’는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였다. ¶①이 브터 시혹 혜요 내 煩惱와 내 菩提왜 두 性이 와 여 各各 서르 觸디 아닌니라 야〈능엄경언해 10:30ㄱ〉 ② 여 承明殿을 向야 가놋다〈두시언해 초간본 8:16ㄱ〉 ③엇뎨 구틔여 여 와 무르리오〈두시언해 초간본 3:53ㄴ〉. 이 중 ③의 ‘ᄆᆞᆯᄃᆞᆯ이다’는 합성어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말며 주004)
말며:
말며. 『소학언해』(3:17ㄱ)에서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 주005)
ᄆᆞᅀᆞᆯᄒᆡ:
마을에. ᄆᆞᅀᆞᆯㅎ[里](ㅎ말음체언)+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소학언해』(3:17ㄱ)에서는 ‘ᄆᆞᄋᆞᆯᄒᆡ’로 바뀌었다.
드러갈

번역소학 권4:19ㄴ

모로매 주006)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7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술위 주007)
술위:
수레. 15세기 문헌에 ‘술위’와 ‘수레’〈능엄경언해 8:88ㄴ〉가 다 나타나는데, ‘술위’는 1500년에 간행된 『개수법화경언해』(2:25ㄴ)까지 나타나고, 그 후에는 ‘수레’만 쓰이게 되었다.
알 주008)
알ᄑᆡ:
앞에. 앒[前]+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디 주009)
ᄀᆞᄅᆞ디ᄅᆞᆫ:
가로지른. ‘모로매 술위 알 디 남긔 구불 디니라’는 주석의 설명과 부합한다. 『소학언해』(3:17ㄱ)에서는 ‘반ᄃᆞ시 式홀 디니라’로 바뀌었다. ‘式’에 대한 협주가 없는 것은 바로 앞에 이미 ‘式’에 대한 협주가 나왔기 때문이다(3:16ㄱ). ‘ᄀᆞᄅᆞ디ᄅᆞ-’의 구조가 다음 둘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橫]’에서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디ᄅᆞ-[刺]’가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디ᄅᆞ-’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디ᄅᆞ-’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남긔 주010)
남긔:
나무에. 나ᇚ[木]+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나모’와 ‘나ᇚ’ 두 이형태는 ‘나목’에서 분화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 추론에 따르면 ‘나목’에서 ‘ㄱ’이 탈락하면 ‘나모’가 되고 ‘ㅗ’가 탈락하면 ‘나ᇚ’이 된다. ‘구멍’의 전라도 방언형 ‘구먹’이 이 추론의 유력한 근거가 될 수 있다. ‘구먹’은 ‘구묵’의 존재 가능성을 암시하는데, ‘구묵’에서 ‘구무’와 ‘구ᇚ’의 두 이형태가 분화되는 것은 ‘나목’에서 ‘나모’와 ‘나ᇚ’이 분화되는 것과 정확하게 비례한다.
구불 디니라 주011)
구불 디니라:
구부릴지니라. 몸을 구부려 경례할지니라. 굽-[俯]+우(사동 접미사)+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선어말 어미)+라(평서문 종결 어미). ¶俯 구불 부〈주해천자문 중간본 41ㄴ〉.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도읍지(都邑地)에 들어갈 때에는 (수레로) 달리지 말며, 마을에 들어갈 때에는 모름지기 수레 앞에 가로지른 나무에 몸을 굽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 1(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도읍지에 들어가서 (수레를 타고) 달리지 않는 것은 수레와 말이 사람들을 짓밟을까 두려워하여서이다.”(陳氏曰 入國不馳 恐車馬躪吝躒人也). 주석 2(소학집성) : 마씨(馬氏)가 말하였다. “석경(石慶)이 마을의 문 안에 들어와서도 수레에서 내리지 않자 그의 아버지가 꾸짖었다. 장담(張湛)이 마을의 문이 바라다보이면 걸어서 들어가니, 군자(君子)들이 이를 칭송하였다. 마을에 들어가서 반드시 수레에서 인사를 하는 것은 부모의 고장에서 지켜야 하는 도리이다.”(馬氏曰 石慶入里門不下車 而其父責之 張湛望里門則步 而君子多之 則入里必式者 父母國之道也). 진씨(陳氏)는 『예기집설(禮記集說)』을 저술한 진호(陳澔)이다. 마씨(馬氏)는 북송 때의 학자 마희맹(馬希孟)이다. 마희맹(馬睎孟)으로도 쓴다. 자(字)는 언순(彦醇)이며, 『예기』에 정통하여 『예기해(禮記解)』 70권을 저술하였으며, 진호(陳澔)의 『예기집설』에 그의 주가 다수 인용되었다. 석경(石慶)의 고사(故事)는 『한서(漢書)』 「만석군열전(萬石君列傳)」에 나오며, 『번역소학』(9:83ㄱ-87ㄱ)과 『소학언해』(6:77ㄱ-80ㄴ)에 수록되었다. 석경(石慶)은 만석군(萬石君) 석분(石奮)의 넷째 아들이었다. 내사(內史: 벼슬 이름)인 석경(石慶)이 하루는 술에 취해서 마을 문에 들어올 때까지 수레에서 내리지 않자, 석분(石奮)은 크게 꾸짖었다. 장담(張湛)의 고사는 『후한서(後漢書)』 「장담열전(張湛列傳)」에 나오며, 『번역소학』(10:3ㄱ-4ㄴ)과 『소학언해』(6:103ㄱ-104ㄴ)에 수록되었다. 장담(張湛)은 건무(建武) 초기에 좌빙익(左憑翊: 벼슬 이름)이 되었다. 휴가를 맞이하여 고향을 방문하였는데, 마을 입구에서 말에서 내려 걸어 들어갔다. 주부(主簿)가 만류하자 그는 “부모가 계신 고을은 마땅히 예를 다하여야 하는 곳이다.(父母之國 所宜盡禮)”라고 말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라해:나라에. 도읍지(都邑地)에. 나라ㅎ[國](ㅎ말음체언)+애(부사격 조사). ‘國’은 ‘도읍, 고향, 지방’을 뜻하기도 한다.
주002)
제:때에. ‘제’는 한자어 ‘際’로 보이는데, 언제나 훈민정음으로 표기되었다. 제+Ø(부사격 조사). 음절 부음 [j]로 끝나는 시간과 장소 관련 명사 뒤에서는 부사격 조사 ‘에/예//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주003)
ᄃᆞᆯ이디:(수레를 타고) 달리지. ᄃᆞᆯ이-[走]+디(보조적 연결 어미). ‘ᄃᆞᆮ다[走]’와 ‘ᄃᆞᆯ이다’ 사이의 뚜렷한 차이를 찾기 어렵다. 다만 ‘ᄃᆞᆯ이다’는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였다. ¶①이 브터 시혹 혜요 내 煩惱와 내 菩提왜 두 性이 와 여 各各 서르 觸디 아닌니라 야〈능엄경언해 10:30ㄱ〉 ② 여 承明殿을 向야 가놋다〈두시언해 초간본 8:16ㄱ〉 ③엇뎨 구틔여 여 와 무르리오〈두시언해 초간본 3:53ㄴ〉. 이 중 ③의 ‘ᄆᆞᆯᄃᆞᆯ이다’는 합성어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주004)
말며:말며. 『소학언해』(3:17ㄱ)에서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주005)
ᄆᆞᅀᆞᆯᄒᆡ:마을에. ᄆᆞᅀᆞᆯㅎ[里](ㅎ말음체언)+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소학언해』(3:17ㄱ)에서는 ‘ᄆᆞᄋᆞᆯᄒᆡ’로 바뀌었다.
주006)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3:17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7)
술위:수레. 15세기 문헌에 ‘술위’와 ‘수레’〈능엄경언해 8:88ㄴ〉가 다 나타나는데, ‘술위’는 1500년에 간행된 『개수법화경언해』(2:25ㄴ)까지 나타나고, 그 후에는 ‘수레’만 쓰이게 되었다.
주008)
알ᄑᆡ:앞에. 앒[前]+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주009)
ᄀᆞᄅᆞ디ᄅᆞᆫ:가로지른. ‘모로매 술위 알 디 남긔 구불 디니라’는 주석의 설명과 부합한다. 『소학언해』(3:17ㄱ)에서는 ‘반ᄃᆞ시 式홀 디니라’로 바뀌었다. ‘式’에 대한 협주가 없는 것은 바로 앞에 이미 ‘式’에 대한 협주가 나왔기 때문이다(3:16ㄱ). ‘ᄀᆞᄅᆞ디ᄅᆞ-’의 구조가 다음 둘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橫]’에서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디ᄅᆞ-[刺]’가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디ᄅᆞ-’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디ᄅᆞ-’가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주010)
남긔:나무에. 나ᇚ[木]+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나모’와 ‘나ᇚ’ 두 이형태는 ‘나목’에서 분화한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 바 있다. 이 추론에 따르면 ‘나목’에서 ‘ㄱ’이 탈락하면 ‘나모’가 되고 ‘ㅗ’가 탈락하면 ‘나ᇚ’이 된다. ‘구멍’의 전라도 방언형 ‘구먹’이 이 추론의 유력한 근거가 될 수 있다. ‘구먹’은 ‘구묵’의 존재 가능성을 암시하는데, ‘구묵’에서 ‘구무’와 ‘구ᇚ’의 두 이형태가 분화되는 것은 ‘나목’에서 ‘나모’와 ‘나ᇚ’이 분화되는 것과 정확하게 비례한다.
주011)
구불 디니라:구부릴지니라. 몸을 구부려 경례할지니라. 굽-[俯]+우(사동 접미사)+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선어말 어미)+라(평서문 종결 어미). ¶俯 구불 부〈주해천자문 중간본 41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