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少쇼儀의예 曰왈 不블窺규密밀며 不블旁狎압며 不블道도舊구故고며 不블戱희色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小쇼儀의 주001)
쇼의:
소의(少儀). 『예기』 제 17편의 편명(篇名)이다.
예 로  주002)
ᄂᆞᄆᆡ:
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그 주003)
그ᅀᅳᆨᄒᆞᆫ:
은밀한. 그ᅀᅳᆨ[密]+ᄒᆞ-+ㄴ. ‘ᄀᆞ만ᄒᆞ다’와 ‘그ᅀᅳᆨᄒᆞ다’는 유의어(類義語)로 보인다. 『소학언해』(3:12ㄱ)에는 ‘ㅿ’이 소멸한 ‘그윽ᄒᆞᆫ’으로 나타난다.
이 주004)
이ᄅᆞᆯ:
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엿보디 주005)
엿보디:
엿보지. -[窺]+보-[見]+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의 ‘엿보다’는 파생어로 볼 수밖에 없다. ‘엿-’이 어간의 기능을 상실하고 접두사로 쓰이기 때문이다. ‘보다’와 결합하지 않은 ‘여ᅀᅥ’도 쓰였다. ¶내 弟子ㅣ 窓로 여 지블 보니〈능엄경언해 5:72ㄱ〉. 다음 예문의 ‘여ᅀᅥ 보다’는 합성어인지 구(句)인지 알기 어렵다. ¶시름야셔 노피 새 디나가 여 보노니 늘거셔 衆人을 조차 니노라〈두시언해 초간본 10:36ㄴ〉.
말며 주006)
말며:
말며. 『소학언해』(3:12ㄱ)에서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두 책의 이런 차이는 아주 일반적이다.
과 갓가이야 주007)
갓가이ᄒᆞ야:
가까이하여. 갓갑-[近]+이(부사형 어미)+ᄒᆞ-+야(연결 어미). ‘ᄒᆞ다’의 목적어가 없으므로 ‘갓가이ᄒᆞ다’는 현대 국어 ‘가까이하다’와 같이 합성어이다.
서르 주008)
서르:
서로. 서르〉서로. 이 변화는 부사격 조사 ‘로’의 접사화로 인해 ‘로’로 끝나는 부사가 많은 사실에 유추된 것으로 보인다. 15세기 문헌에서도 아주 드물기는 하지만 ‘서로’가 보인다. ¶닙니피 서로 次第로 나고〈월인석보 8:12ㄱ〉.
므더니 주009)
므더니:
무던히. 대수롭지 않게. 소홀하게. 므던-[輕]+이(부사 파생 접미사). 이 책의 다른 곳(4:14ㄱ)에서는 ‘므던히’도 쓰였다. 15세기 여러 문헌에서 ‘므더니’와 ‘므던히’가 공존하였다. ¶①慢  므더니 너길 씨니〈석보상절 9:13ㄴ〉 ②네 뎌 나라 므던히 너겨 사오나 너 들 내디 말라〈석보상절 20:36ㄴ〉. ‘므던ᄒᆞ다’는 ‘가능하다, 괜찮다’를 뜻하기도 한다. ¶ 이  畜生 나혼 거시다 고 根源을 다  王이 니샤 그러야도 므던니 이제 어듸 잇니고〈석보상절 11:28ㄴ〉.
너기게 주010)
너기게:
여기게. 너기다〉녀기다〉여기다.
말며 주011)
말며:
말며. 여기의 ‘말-’은 보조적 연결 어미 ‘-디’가 아니라 ‘-게’ 뒤에 쓰인 점에서 현대 국어 ‘-말-’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ᄂᆞᆷ과 갓가이ᄒᆞ야 서르 므더니 너기게 말며’가 『소학언해』(3:12ㄱ)에서는 ‘셜압ᄒᆞᆫ ᄃᆡ 갓가이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셜압’은 ‘설압(褻狎: 행동이 무례함)’이다. 두 책 모두 ‘旁’을 ‘가까이하다’로 번역하였지만 차이가 있다. 이 책에서는 ‘旁’과 ‘狎’이 대등하게 접속된 것으로 보았는데, 『소학언해』에서는 ‘旁狎’을 ‘서술어-부사어’의 관계로 본 것이다. 그러나 『소학집해』에서는 ‘旁’이 ‘범급(泛及)’ 즉 ‘널리 미침’을 뜻한다고 하였으므로, 두 책의 해석 모두 『소학집해』의 주석과는 다르다.
주012)
녯:
옛. 옛날의. 녜[昔](명사)+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여기의 ‘녯’은 ‘사괴던’을 뛰어넘어 ‘사ᄅᆞᆷ’을 수식한다. ‘녯 사괴던 사ᄅᆞᄆᆡ’가 『소학언해』(3:12ㄱ)에서는 ‘녯 벋의’로 바뀌었다.
사괴던 사 주013)
왼:
그른. 외-[非, 違]+ㄴ(관형사형 어미). 원문 ‘舊故’를 이 책에서 ‘녯 사괴던 사ᄅᆞᄆᆡ 왼 일’로 번역한 것은 『소학집해』의 주석 ‘故舊之非’와 부합한다. 『소학언해』(3:12ㄱ)에서는 ‘녯 벋의 녜 일’로 바뀌었다.
이 니디 말며 희

번역소학 권4:14ㄱ

주014)
희로ᇰ앳:
희롱(戲弄)의. 희롱하는. ‘앳’은 ‘애(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로 구성된 복합 조사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앳’의 구성 요소인 ‘애’가 부사격과 무관해 보인다. 다음 예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①法服 法엣 오시라〈석보상절 13:20ㄱ〉 ②欲心 貪欲앳 미라〈석보상절 3:24ㄴ〉 ③昭陽殿 안햇 第一엣 사미 輦에 同야 님그믈 졷와 님 겨틔 뫼더니라〈두시언해 초간본 11:16ㄱ〉. 애초에는 부사격 조사 ‘에/애’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여 부사격(처소 표시)과 관형격의 기능을 겸비하였다가, 점차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여 분포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앳’이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엣’으로 바뀌었다.
비 주015)
ᄂᆞᆺ비ᄎᆞᆯ:
낯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골, 얼굴’은 [身, 體]를 뜻한다. 그리고 ‘낯’은 [箇]를 뜻한다.
마롤 디니라 주016)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라(종결 어미). ‘-니-’는 명제 내용에 대한 청자(독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마롤 디니라’가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아니하며’로 바뀌었다. 이 책의 ‘말-’이 『소학언해』에서 ‘아니ᄒᆞ-’로 바뀌는 예가 아주 많다. 한편 이 책에서는 이 대목에서 문장을 종결지었는데,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아니ᄒᆞ)며’로 연결하고 있다. ‘ᄂᆞᆺ비ᄎᆞᆯ 마롤 디니라’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말-’이 목적어와 직접 결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국어의 보조 동사 ‘말-’과 달리 여기의 ‘말-’은 본동사로 쓰인 것이다. 이것은 중세 국어의 일반적 현상이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소의(少儀)」에서 이르되, 남의 은밀한 일을 엿보지 말며, 남과 가까이하여 서로 소홀하게 여기게 하지 말며, 옛날에 사귀던 사람의 그른 일을 말하지 말며 (남을) 희롱하는 얼굴빛을 짓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소의(少儀). 주석(소학집해) : 규밀(窺密)은 남의 은밀한 곳을 엿보는 것이다. 방(旁)은 널리 미침이니, 방압(旁狎)은 널리 남들에게 함부로 대하는 것을 말한다. 도(道)는 말하는 것이니, 도구고(道舊故)는 옛날에 같이 지내던 사람의 잘못을 말하는 것이다. 희(戱)는 사람을 희롱하는 것이니, 희색(戱色)은 장난스럽게 웃으며 업신여기고 함부로 대하는 표정을 말한다.(窺密謂窺覘人隱密之處也 旁泛及也 旁狎謂泛與人褻狎也 道言也 道舊故謂言故舊之非也 戱弄也 戱色謂嬉笑侮慢之容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쇼의:소의(少儀). 『예기』 제 17편의 편명(篇名)이다.
주002)
ᄂᆞᄆᆡ: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주003)
그ᅀᅳᆨᄒᆞᆫ:은밀한. 그ᅀᅳᆨ[密]+ᄒᆞ-+ㄴ. ‘ᄀᆞ만ᄒᆞ다’와 ‘그ᅀᅳᆨᄒᆞ다’는 유의어(類義語)로 보인다. 『소학언해』(3:12ㄱ)에는 ‘ㅿ’이 소멸한 ‘그윽ᄒᆞᆫ’으로 나타난다.
주004)
이ᄅᆞᆯ:일을. 일[事]+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05)
엿보디:엿보지. -[窺]+보-[見]+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현대 국어의 ‘엿보다’는 파생어로 볼 수밖에 없다. ‘엿-’이 어간의 기능을 상실하고 접두사로 쓰이기 때문이다. ‘보다’와 결합하지 않은 ‘여ᅀᅥ’도 쓰였다. ¶내 弟子ㅣ 窓로 여 지블 보니〈능엄경언해 5:72ㄱ〉. 다음 예문의 ‘여ᅀᅥ 보다’는 합성어인지 구(句)인지 알기 어렵다. ¶시름야셔 노피 새 디나가 여 보노니 늘거셔 衆人을 조차 니노라〈두시언해 초간본 10:36ㄴ〉.
주006)
말며:말며. 『소학언해』(3:12ㄱ)에서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두 책의 이런 차이는 아주 일반적이다.
주007)
갓가이ᄒᆞ야:가까이하여. 갓갑-[近]+이(부사형 어미)+ᄒᆞ-+야(연결 어미). ‘ᄒᆞ다’의 목적어가 없으므로 ‘갓가이ᄒᆞ다’는 현대 국어 ‘가까이하다’와 같이 합성어이다.
주008)
서르:서로. 서르〉서로. 이 변화는 부사격 조사 ‘로’의 접사화로 인해 ‘로’로 끝나는 부사가 많은 사실에 유추된 것으로 보인다. 15세기 문헌에서도 아주 드물기는 하지만 ‘서로’가 보인다. ¶닙니피 서로 次第로 나고〈월인석보 8:12ㄱ〉.
주009)
므더니:무던히. 대수롭지 않게. 소홀하게. 므던-[輕]+이(부사 파생 접미사). 이 책의 다른 곳(4:14ㄱ)에서는 ‘므던히’도 쓰였다. 15세기 여러 문헌에서 ‘므더니’와 ‘므던히’가 공존하였다. ¶①慢  므더니 너길 씨니〈석보상절 9:13ㄴ〉 ②네 뎌 나라 므던히 너겨 사오나 너 들 내디 말라〈석보상절 20:36ㄴ〉. ‘므던ᄒᆞ다’는 ‘가능하다, 괜찮다’를 뜻하기도 한다. ¶ 이  畜生 나혼 거시다 고 根源을 다  王이 니샤 그러야도 므던니 이제 어듸 잇니고〈석보상절 11:28ㄴ〉.
주010)
너기게:여기게. 너기다〉녀기다〉여기다.
주011)
말며:말며. 여기의 ‘말-’은 보조적 연결 어미 ‘-디’가 아니라 ‘-게’ 뒤에 쓰인 점에서 현대 국어 ‘-말-’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ᄂᆞᆷ과 갓가이ᄒᆞ야 서르 므더니 너기게 말며’가 『소학언해』(3:12ㄱ)에서는 ‘셜압ᄒᆞᆫ ᄃᆡ 갓가이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셜압’은 ‘설압(褻狎: 행동이 무례함)’이다. 두 책 모두 ‘旁’을 ‘가까이하다’로 번역하였지만 차이가 있다. 이 책에서는 ‘旁’과 ‘狎’이 대등하게 접속된 것으로 보았는데, 『소학언해』에서는 ‘旁狎’을 ‘서술어-부사어’의 관계로 본 것이다. 그러나 『소학집해』에서는 ‘旁’이 ‘범급(泛及)’ 즉 ‘널리 미침’을 뜻한다고 하였으므로, 두 책의 해석 모두 『소학집해』의 주석과는 다르다.
주012)
녯:옛. 옛날의. 녜[昔](명사)+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여기의 ‘녯’은 ‘사괴던’을 뛰어넘어 ‘사ᄅᆞᆷ’을 수식한다. ‘녯 사괴던 사ᄅᆞᄆᆡ’가 『소학언해』(3:12ㄱ)에서는 ‘녯 벋의’로 바뀌었다.
주013)
왼:그른. 외-[非, 違]+ㄴ(관형사형 어미). 원문 ‘舊故’를 이 책에서 ‘녯 사괴던 사ᄅᆞᄆᆡ 왼 일’로 번역한 것은 『소학집해』의 주석 ‘故舊之非’와 부합한다. 『소학언해』(3:12ㄱ)에서는 ‘녯 벋의 녜 일’로 바뀌었다.
주014)
희로ᇰ앳:희롱(戲弄)의. 희롱하는. ‘앳’은 ‘애(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로 구성된 복합 조사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앳’의 구성 요소인 ‘애’가 부사격과 무관해 보인다. 다음 예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①法服 法엣 오시라〈석보상절 13:20ㄱ〉 ②欲心 貪欲앳 미라〈석보상절 3:24ㄴ〉 ③昭陽殿 안햇 第一엣 사미 輦에 同야 님그믈 졷와 님 겨틔 뫼더니라〈두시언해 초간본 11:16ㄱ〉. 애초에는 부사격 조사 ‘에/애’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여 부사격(처소 표시)과 관형격의 기능을 겸비하였다가, 점차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여 분포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앳’이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엣’으로 바뀌었다.
주015)
ᄂᆞᆺ비ᄎᆞᆯ:낯빛을. ᄂᆞᆾ[顔]+빛[色]+ᄋᆞᆯ. ᄂᆞᆾ→ᄂᆞᆺ.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라 ‘ㅊ’을 ‘ㅅ’으로 표기한 것이다. ‘얼골, 얼굴’은 [身, 體]를 뜻한다. 그리고 ‘낯’은 [箇]를 뜻한다.
주016)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라(종결 어미). ‘-니-’는 명제 내용에 대한 청자(독자)의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마롤 디니라’가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아니하며’로 바뀌었다. 이 책의 ‘말-’이 『소학언해』에서 ‘아니ᄒᆞ-’로 바뀌는 예가 아주 많다. 한편 이 책에서는 이 대목에서 문장을 종결지었는데, 『소학언해』(3:12ㄴ)에서는 ‘(아니ᄒᆞ)며’로 연결하고 있다. ‘ᄂᆞᆺ비ᄎᆞᆯ 마롤 디니라’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말-’이 목적어와 직접 결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현대 국어의 보조 동사 ‘말-’과 달리 여기의 ‘말-’은 본동사로 쓰인 것이다. 이것은 중세 국어의 일반적 현상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