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번역소학 권4:14ㄴ

毋모訾衣의服복成器긔며 毋모身신質질言언語어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 주001)
ᄂᆞᄆᆡ:
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ᄂᆞᄆᆡ’는 원문에 없는 말이다. 『소학언해』(3:13ㄱ)에서는 빠졌다.
주002)
옷:
옷. 『소학언해』(3:13ㄱ)에서는 원문과 같은 ‘衣服’으로 나타난다.
주003)
인:
만들어진. 일-[成](자동사 어간)+ㄴ(관형사형 어미). ¶世界 다 인 後로 스믈 디위 增減면〈월인석보 1:48ㄱ〉.
그르셋거슬 주004)
그르셋거슬:
기물(器物)을. 그릇[器]+엣(관형격 조사)+것+을. ‘그르셋것’은 합성어로 보인다. ‘그르셋거슬’이 『소학언해』(3:13ㄱ)에서는 ‘그릇슬’로 바뀌었다. ‘엣’은 ‘에(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으로 구성된 복합 조사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엣/앳’의 구성 요소인 ‘에/애’가 부사격과 무관해 보인다. 다음 예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①法服 法엣 오시라〈석보상절 13:20ㄱ〉 ②欲心 貪欲앳 미라〈석보상절 3:24ㄴ〉 ③昭陽殿 안햇 第一엣 사미 輦에 同야 님그믈 졷와 님 겨틔 뫼더니라〈두시언해 초간본 11:16ㄱ〉. 애초에는 부사격 조사 ‘에/애’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여 부사격(처소 표시)과 관형격의 기능을 겸비하였다가, 점차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여 분포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나라디 주005)
나ᄆᆞᄅᆞ디:
나무래지. 헐뜯지. 나ᄆᆞ라다〉나므ᄅᆞ다〉나무라다. ¶①官人아 장 나므라디 말라〈박통사언해 중 37ㄴ〉 ②엇지 나무라 의논을 시니잇가〈명의록언해 권수 존현각일긔 7ㄱ〉.
말며 주006)
말며:
말며. 말-[勿]+며(연결 어미). 원문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12ㄴ)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07)
제:
자기의. 저(재귀 대명사)+의(관형격 조사). ‘제’는 3인칭 대명사 ‘저’의 주격과 관형격 형태로 쓰이는 일도 있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말 주008)
말ᄉᆞᄆᆞᆯ:
말을. 말ᄉᆞᆷ[言]+ᄋᆞᆯ(목적격 조사).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말, 말ᄊᆞᆷ(말ᄉᆞᆷ)’은 모두 [+높임]과 [-높임] 및 [+겸양]과 [-겸양]의 상황에 두루 쓰였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①語는 말미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이 말 眞實야 決定히 虛티 아니니라〈월인석보 10:122ㄴ〉 ③다시 말 펴 다시 觀體 標호〈선종영가집언해 하 31ㄱ〉 ④阿難이 비록  이 말 듣와〈능엄경언해 1:102ㄴ〉 ⑤桃源ㅅ 나그내 더브러 말 傳라〈두시언해 초간본 8:61ㄱ〉.
올타 야 마긔오디 주009)
마ᄀᆡ오디:
증명하지. 옳음을 우겨서 입증하지. ‘올타 ᄒᆞ야 마ᄀᆡ오디’가 『소학언해』(3:13ㄱ)에서는 ‘몸소 질졍티’로 바뀌었다. 마ᄀᆡ오-[質]+디(보조적 연결 어미). ‘마ᄀᆡ오다’의 유의어로는 ‘마초ᄧᅳ다’가 있었다. ¶證信은 마초 信케  시오〈원각경언해 상 1-2:23ㄱ〉. ‘마초ᄧᅳ다’는 ‘대비(對比)를 통한 증명’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롤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남의 옷과 만든 기물(器物)들을 나무라지 말며, 자기 말을 옳다고 하면서 (그것을) 증명하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소의(少儀).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자(訾)는 좋지 않은 것을 헐뜯는 것이다. 「곡례(曲禮)」의 의사무질(疑事毋質)에서의 질(質)자가 이 질(質)자와 뜻이 같으니, 말을 할 때에 의심스러우면 뺄 것이지, 스스로가 질정(質正)해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니, 잘못이 있을까 두려워해서이다.”(陳氏曰 訾毁其不善也 曲禮疑事毋質 與此質字義同 謂言語之際 疑則闕之 不可自我質正 恐有失誤也). 진씨(陳氏)는 『예기집설(禮記集說)』을 저술한 진호(陳澔)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ᄂᆞᄆᆡ:남의. ᄂᆞᆷ[他人]+ᄋᆡ(관형격 조사). ‘ᄋᆡ/의’는 평칭의 유정 명사 뒤에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무정 명사나 높임의 자질을 가진 유정 명사 뒤에서는 ‘ㅅ’이 쓰인다. ‘ᄂᆞᄆᆡ’는 원문에 없는 말이다. 『소학언해』(3:13ㄱ)에서는 빠졌다.
주002)
옷:옷. 『소학언해』(3:13ㄱ)에서는 원문과 같은 ‘衣服’으로 나타난다.
주003)
인:만들어진. 일-[成](자동사 어간)+ㄴ(관형사형 어미). ¶世界 다 인 後로 스믈 디위 增減면〈월인석보 1:48ㄱ〉.
주004)
그르셋거슬:기물(器物)을. 그릇[器]+엣(관형격 조사)+것+을. ‘그르셋것’은 합성어로 보인다. ‘그르셋거슬’이 『소학언해』(3:13ㄱ)에서는 ‘그릇슬’로 바뀌었다. ‘엣’은 ‘에(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으로 구성된 복합 조사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엣/앳’의 구성 요소인 ‘에/애’가 부사격과 무관해 보인다. 다음 예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①法服 法엣 오시라〈석보상절 13:20ㄱ〉 ②欲心 貪欲앳 미라〈석보상절 3:24ㄴ〉 ③昭陽殿 안햇 第一엣 사미 輦에 同야 님그믈 졷와 님 겨틔 뫼더니라〈두시언해 초간본 11:16ㄱ〉. 애초에는 부사격 조사 ‘에/애’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여 부사격(처소 표시)과 관형격의 기능을 겸비하였다가, 점차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여 분포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주005)
나ᄆᆞᄅᆞ디:나무래지. 헐뜯지. 나ᄆᆞ라다〉나므ᄅᆞ다〉나무라다. ¶①官人아 장 나므라디 말라〈박통사언해 중 37ㄴ〉 ②엇지 나무라 의논을 시니잇가〈명의록언해 권수 존현각일긔 7ㄱ〉.
주006)
말며:말며. 말-[勿]+며(연결 어미). 원문 ‘毋’의 독음 ‘모’가 『소학언해』(3:12ㄴ)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07)
제:자기의. 저(재귀 대명사)+의(관형격 조사). ‘제’는 3인칭 대명사 ‘저’의 주격과 관형격 형태로 쓰이는 일도 있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주008)
말ᄉᆞᄆᆞᆯ:말을. 말ᄉᆞᆷ[言]+ᄋᆞᆯ(목적격 조사).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말, 말ᄊᆞᆷ(말ᄉᆞᆷ)’은 모두 [+높임]과 [-높임] 및 [+겸양]과 [-겸양]의 상황에 두루 쓰였다.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각자병서가 쓰인 ‘말’으로 나타난다. ¶①語는 말미라〈훈민정음언해 1ㄱ〉 ②이 말 眞實야 決定히 虛티 아니니라〈월인석보 10:122ㄴ〉 ③다시 말 펴 다시 觀體 標호〈선종영가집언해 하 31ㄱ〉 ④阿難이 비록  이 말 듣와〈능엄경언해 1:102ㄴ〉 ⑤桃源ㅅ 나그내 더브러 말 傳라〈두시언해 초간본 8:61ㄱ〉.
주009)
마ᄀᆡ오디:증명하지. 옳음을 우겨서 입증하지. ‘올타 ᄒᆞ야 마ᄀᆡ오디’가 『소학언해』(3:13ㄱ)에서는 ‘몸소 질졍티’로 바뀌었다. 마ᄀᆡ오-[質]+디(보조적 연결 어미). ‘마ᄀᆡ오다’의 유의어로는 ‘마초ᄧᅳ다’가 있었다. ¶證信은 마초 信케  시오〈원각경언해 상 1-2:23ㄱ〉. ‘마초ᄧᅳ다’는 ‘대비(對比)를 통한 증명’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