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 명음식지절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음식지절 001


번역소학 권4:28ㄱ

食饐에而餲애와 魚어餒뇌而肉敗패 不블食식시며 色惡악不블食식시며 臭惡악不블食식시며 失실飪不블食식시며 不블時시不블食식시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바비 즛믈어 주001)
즛믈어:
짓물러. 썩어. 즛므르-[爛]+어(연결 어미). ‘르’ 불규칙 용언 중 이른바 ‘ㄹㅇ’형이다. ‘즛(-)’의 정체는 분명치 않다.
쉬니와 주002)
쉬니와:
쉰 것과. 쉬-[餲]+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믓고기 주003)
믓고기:
물고기. 믈[水]+ㅅ(관형격 조사)+고기[魚]. ‘ㅅ’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汀 믓  洲 믓 쥬 渚 믓 져 沚 믓 지 濤 믓결 도 浪 믓결  瀾 믓결 란 波 믓결 파〈훈몽자회 상 2ㄴ〉. 『소학언해』(3:25ㄱ)에서는 ‘믈고기’로 바뀌었다.
므르니와 주004)
므르니와:
무른 것과. 상한 것과. 므르-[爛, 餒]+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묻고기 주005)
묻고기:
뭍고기. 뭍[陸]+고기. ‘ㅌ→ㄷ’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서그니 주006)
서그니:
썩은 것. 석-[敗]+은(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 먹디 아니시며 비치 굿거든 주007)
굿거든:
나쁘거든. 궂-[惡]+거든. ‘궂→굿’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거든’은 ‘-거든, -면, -으니, -으므로, -은데, -건만, -어도’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소학언해』(3:25ㄱ)에서는 ‘사오납거든’으로 바뀌었다.
먹디 아니시며 주008)
내:
냄새[臭].
굿거든 먹디 아니시며 글효 주009)
글효ᄆᆞᆯ:
끓임을. 긇-[沸]+이(사동 접미사)+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그르야 주010)
그르ᄒᆞ야ᄃᆞᆫ:
잘못하였으면. 그르[非](부사)+ᄒᆞ-[爲]+야ᄃᆞᆫ(연결 어미). ‘그르’는 형용사 어간 ‘그르-’가 접사 없이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야ᄃᆞᆫ’은 ‘-거든’과 같다.
먹디 아니시며 시졀 주011)
시졀:
때.
아닌 주012)
젯:
때의. 제(際)+ㅅ(관형격 조사).
거 먹디 아니시며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밥이 짓물러 쉰 것과 물고기 무른 것과 육지 고기 썩은 것을 잡숫지 않으셨으며, 빛깔이 나쁘면 잡숫지 않으셨으며, 냄새가 나쁘면 잡숫지 않으셨으며, 끓이기를 잘못하였으면 잡숫지 않으셨으며, (적당한) 때가 아닌 때의 것을 잡숫지 않으셨으며,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鄕黨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에(饐)는 밥이 열과 습기 때문에 상한 것이고, 애(餲)는 맛이 변한 것이다. 생선이 문드러진 것을 뇌(餒)라 하고, 육지 고기가 썩은 것을 패(敗)라 한다. 빛깔이 나쁘고 냄새가 나쁘다는 것은 아직 썩지는 않았지만 빛깔과 냄새가 변하였다는 뜻이다. 임(飪)은 끓여서 날것의 상태와 익힌 상태의 정도를 조절하는 절도이다. 때가 아니라는 것은 오곡(五穀)이 익지 않고 과실이 익지 않은 것 등을 말한다. 이 몇 가지는 모두 족히 사람을 상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잡수시지 않으신 것이다.”(朱子曰 饐飯傷熱濕也 餲味變也 魚爛曰餒 肉腐曰敗 色惡臭惡 未敗而色臭變也 飪烹調生熟之節也 不時 五穀不成 果實未熟之類 此數者皆足以傷人 故不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즛믈어:짓물러. 썩어. 즛므르-[爛]+어(연결 어미). ‘르’ 불규칙 용언 중 이른바 ‘ㄹㅇ’형이다. ‘즛(-)’의 정체는 분명치 않다.
주002)
쉬니와:쉰 것과. 쉬-[餲]+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주003)
믓고기:물고기. 믈[水]+ㅅ(관형격 조사)+고기[魚]. ‘ㅅ’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汀 믓  洲 믓 쥬 渚 믓 져 沚 믓 지 濤 믓결 도 浪 믓결  瀾 믓결 란 波 믓결 파〈훈몽자회 상 2ㄴ〉. 『소학언해』(3:25ㄱ)에서는 ‘믈고기’로 바뀌었다.
주004)
므르니와:무른 것과. 상한 것과. 므르-[爛, 餒]+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와(접속 조사).
주005)
묻고기:뭍고기. 뭍[陸]+고기. ‘ㅌ→ㄷ’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주006)
서그니:썩은 것. 석-[敗]+은(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
주007)
굿거든:나쁘거든. 궂-[惡]+거든. ‘궂→굿’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거든’은 ‘-거든, -면, -으니, -으므로, -은데, -건만, -어도’ 등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소학언해』(3:25ㄱ)에서는 ‘사오납거든’으로 바뀌었다.
주008)
내:냄새[臭].
주009)
글효ᄆᆞᆯ:끓임을. 긇-[沸]+이(사동 접미사)+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10)
그르ᄒᆞ야ᄃᆞᆫ:잘못하였으면. 그르[非](부사)+ᄒᆞ-[爲]+야ᄃᆞᆫ(연결 어미). ‘그르’는 형용사 어간 ‘그르-’가 접사 없이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야ᄃᆞᆫ’은 ‘-거든’과 같다.
주011)
시졀:때.
주012)
젯:때의. 제(際)+ㅅ(관형격 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