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射샤義의예 曰왈 射샤者쟈 進진退퇴周쥬還션을 必필中禮례니 內志지正고 外외體톄直딕然연後후에 持디弓矢시審심固고며 持디弓矢시審심固고然연後후에 可가以이言언中이니 此애 可가以이觀관德덕行矣의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4:21ㄴ

射샤義의 주001)
샤의:
사의(射義). 『소학언해』(3:19ㄱ)에서는 ‘射義’에 대하여 ‘禮記 篇 일홈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예 로 활소기 주002)
활소기:
활쏘기. 소다〉쏘다. 『소학언해』(3:19ㄱ)에서는 ‘활ᄡᅩ기’로 바뀌었다.
나며 주003)
나ᅀᆞ며:
나아가며. 나ᇫ-[進]+ᄋᆞ며(연결 어미). 『소학언해』(3:19ㄱ)에도 ‘나ᅀᆞ며’로 적혀 있다. 이 책에는 ‘ㅿ’이 쓰인 예도 있고 ‘ㅇ’으로 변화한 예도 있다. ¶①할아며 기리논 예〈번역소학 6:24ㄴ〉, 어버ᅀᅵ〈번역소학 9:8ㄱ〉 ②ᄉᆞ이〈번역소학 8:11ㄴ, 10:9ㄴ〉, 어버이〈번역소학 9:8ㄴ〉.
므르며 주004)
므르며:
물러나며. 므르-[退]+며(연결 어미).
곱도로 주005)
곱도로ᄆᆞᆯ:
구부려 돎을. 『소학언해』(3:19ㄱ)에는 ‘두루들오ᄆᆞᆯ’로 적혔는데, ‘들’은 ‘돌’의 잘못이다. 곱-[周]+돌-[還]+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원문 ‘還’의 독음이 ‘션’으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18ㄴ)에도 ‘션’으로 나타난다. 오늘날의 ‘還’에는 ‘환(돌아옴), 선(돎), 영(영위함)’ 세 가지 독음이 있다. ‘곱도롬’은 ‘읍(揖)하고 사양하는 모양’이다.
모로매 주006)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소학언해』(3:19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례예 맛게 홀 디니 안햇 주007)
안햇:
안의. 안ㅎ[內](ㅎ말음체언)+앳(부사격 조사). ‘앳’은 ‘애(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으로 구성된 복합 조사이다. 그런데 ‘엣/앳’의 구성 요소인 ‘에/애’에 부사격의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다. ¶①法服 法엣 오시라〈석보상절 13:20ㄱ〉 ②欲心 貪欲앳 미라〈석보상절 3:24ㄴ〉 ③昭陽殿 안햇 第一엣 사미 輦에 同야 님그믈 졷와 님 겨틔 뫼더니라〈두시언해 초간본 11:16ㄱ〉. 애초에는 부사격 조사 ‘에/애’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여 부사격(처소 표시)과 관형격의 기능을 겸비하였다가, 점차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여 분포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미 며 밧긔 주008)
밧긔:
밖의. 바ᇧ[外]+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이 부사어 ‘밧긔’는 부적절하다. 부사어가 아니라 관형어 ‘밧’ 또는 ‘밧긧’이 쓰일 자리이다. ‘밧긔 얼구리’가 『소학언해』(3:19ㄱ)에서는 ‘밧 얼굴이’로 바뀌었다.
얼구리 주009)
얼구리:
몸이. 얼굴+이. 중세 국어에서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ᄂᆞᆾ’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얼골〉얼굴.
고 주010)
고ᄌᆞᆨᄒᆞᆫ:
반듯한. 곧은. 부사 ‘고ᄌᆞ기’도 많이 쓰였다. 『소학언해』(3:19ㄱ)에서는 ‘고ᄃᆞᆫ’으로 바뀌었다.
후에 화살 자보 펴 구디 주011)
구디:
굳게. 굳-[固]+이(부사형 어미).
며 화살 자보 펴 구디  후에 마춀 주012)
마춀:
(과녁을) 마침을. 맞-[中]+히(사동 접미사)+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 ‘마춀 이ᄅᆞᆯ’이 『소학언해』(3:19ㄱ)에서는 명사형 어미 ‘-옴’의 ‘오’가 소멸한 ‘마치믈’로 나타난다.
이 닐올 디니 주013)
디니:
것이니. 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연결 어미).
이어긔 주014)
이어긔:
여기서. 이ᅌᅥ긔〉이어긔〉여기. 이 낱말의 구조와 변화 과정은 ‘그ᅌᅥ긔〉그긔〉거기’나 ‘뎌ᅌᅥ긔〉뎌긔〉저기’와 비례한다. 여기서 관형사 ‘이, 그, 뎌’와 부사격 조사 ‘의’는 분석되지만, 더 정확한 구조는 알기 어렵다. 장소와 관련이 있는 명사 ‘ᅌᅥᆨ’의 존재를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를 뜻하는 ‘이ᅌᅦ’를 고려하면 ‘ㆁ’이 장소와 관련이 있는 형태소의 일부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어긔’가 『소학언해』(3:19ㄱ)에서는 ‘이 可히 ᄡᅥ’로 바뀌었다.
德덕行을 보암직니라 주015)
보암직ᄒᆞ니라:
봄직하니라. 볼 수 있느니라. ‘-암직/엄직-’은 ‘-ㄹ 만(하다)’를 뜻하는 접미사이다. 현대 국어의 ‘-ㅁ직-’은 [가치]와 [추측]을 뜻한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사의(射義)」에서 이르되, 활쏘기에서는 나아가며 물러나며 몸 돌리는 동작을 모름지기 예(禮)에 맞게 할지니, 내면의 마음이 바르며 바깥의 몸이 반듯한 후에야 화살 잡음을 살펴 굳게 하며, 화살 잡음을 살펴서 굳게 한 후에야 맞힐 일을 이를지니, 이러하므로 (활쏘기에서) 덕행(德行)을 볼 수 있다.
〈해설〉 출전 : 예기 사의(射義). 주석(소학집설) : 오씨(吳氏)가 말하였다. “「사의(射義)」는 『예기』의 편명(篇名)이다. 나아가고 물러나는 것은 오르고 내릴 때의 절도이고, 돌리는 것은 읍(揖)하고 사양하는 모습이다. 중례(中禮)라는 것은 활을 쏘는 예절에 합(合)하는 것이다. 안의 뜻이 바른 뒤에야 활과 화살을 잡음이 안정되고(審), 밖으로는 몸이 곧은 후에야 활과 화살을 잡음이 견고해진다. 견고하기 때문에 그 힘이 능히 이르고, 살피기 때문에 그 공교로움이 능히 과녁을 맞추니, 이로써 본다면 그 덕행을 볼 수 있다.”(吳氏曰 射義禮記篇名 進退者升降之節 周還者揖讓之容 中禮合乎射之禮節也 內志正然後持弓矢審 外體直然後持弓矢固 唯固也 故其力能至 唯審也 故其巧能中 於此而觀 則其德行可見矣). 오씨(吳氏)는 『소학집해』의 찬자(撰者)인 명(明)나라 때의 오눌(吳訥: 1372~1457)이다. 자(字)는 민덕(敏德)이고 호(號)는 사암(思庵)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샤의:사의(射義). 『소학언해』(3:19ㄱ)에서는 ‘射義’에 대하여 ‘禮記 篇 일홈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주002)
활소기:활쏘기. 소다〉쏘다. 『소학언해』(3:19ㄱ)에서는 ‘활ᄡᅩ기’로 바뀌었다.
주003)
나ᅀᆞ며:나아가며. 나ᇫ-[進]+ᄋᆞ며(연결 어미). 『소학언해』(3:19ㄱ)에도 ‘나ᅀᆞ며’로 적혀 있다. 이 책에는 ‘ㅿ’이 쓰인 예도 있고 ‘ㅇ’으로 변화한 예도 있다. ¶①할아며 기리논 예〈번역소학 6:24ㄴ〉, 어버ᅀᅵ〈번역소학 9:8ㄱ〉 ②ᄉᆞ이〈번역소학 8:11ㄴ, 10:9ㄴ〉, 어버이〈번역소학 9:8ㄴ〉.
주004)
므르며:물러나며. 므르-[退]+며(연결 어미).
주005)
곱도로ᄆᆞᆯ:구부려 돎을. 『소학언해』(3:19ㄱ)에는 ‘두루들오ᄆᆞᆯ’로 적혔는데, ‘들’은 ‘돌’의 잘못이다. 곱-[周]+돌-[還]+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원문 ‘還’의 독음이 ‘션’으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18ㄴ)에도 ‘션’으로 나타난다. 오늘날의 ‘還’에는 ‘환(돌아옴), 선(돎), 영(영위함)’ 세 가지 독음이 있다. ‘곱도롬’은 ‘읍(揖)하고 사양하는 모양’이다.
주006)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소학언해』(3:19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7)
안햇:안의. 안ㅎ[內](ㅎ말음체언)+앳(부사격 조사). ‘앳’은 ‘애(부사격 조사)+ㅅ(관형격 조사)’으로 구성된 복합 조사이다. 그런데 ‘엣/앳’의 구성 요소인 ‘에/애’에 부사격의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다. ¶①法服 法엣 오시라〈석보상절 13:20ㄱ〉 ②欲心 貪欲앳 미라〈석보상절 3:24ㄴ〉 ③昭陽殿 안햇 第一엣 사미 輦에 同야 님그믈 졷와 님 겨틔 뫼더니라〈두시언해 초간본 11:16ㄱ〉. 애초에는 부사격 조사 ‘에/애’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여 부사격(처소 표시)과 관형격의 기능을 겸비하였다가, 점차 그러한 기능을 상실하여 분포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주008)
밧긔:밖의. 바ᇧ[外]+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이 부사어 ‘밧긔’는 부적절하다. 부사어가 아니라 관형어 ‘밧’ 또는 ‘밧긧’이 쓰일 자리이다. ‘밧긔 얼구리’가 『소학언해』(3:19ㄱ)에서는 ‘밧 얼굴이’로 바뀌었다.
주009)
얼구리:몸이. 얼굴+이. 중세 국어에서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ᄂᆞᆾ’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얼골〉얼굴.
주010)
고ᄌᆞᆨᄒᆞᆫ:반듯한. 곧은. 부사 ‘고ᄌᆞ기’도 많이 쓰였다. 『소학언해』(3:19ㄱ)에서는 ‘고ᄃᆞᆫ’으로 바뀌었다.
주011)
구디:굳게. 굳-[固]+이(부사형 어미).
주012)
마춀:(과녁을) 마침을. 맞-[中]+히(사동 접미사)+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 ‘마춀 이ᄅᆞᆯ’이 『소학언해』(3:19ㄱ)에서는 명사형 어미 ‘-옴’의 ‘오’가 소멸한 ‘마치믈’로 나타난다.
주013)
디니:것이니. 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연결 어미).
주014)
이어긔:여기서. 이ᅌᅥ긔〉이어긔〉여기. 이 낱말의 구조와 변화 과정은 ‘그ᅌᅥ긔〉그긔〉거기’나 ‘뎌ᅌᅥ긔〉뎌긔〉저기’와 비례한다. 여기서 관형사 ‘이, 그, 뎌’와 부사격 조사 ‘의’는 분석되지만, 더 정확한 구조는 알기 어렵다. 장소와 관련이 있는 명사 ‘ᅌᅥᆨ’의 존재를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를 뜻하는 ‘이ᅌᅦ’를 고려하면 ‘ㆁ’이 장소와 관련이 있는 형태소의 일부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어긔’가 『소학언해』(3:19ㄱ)에서는 ‘이 可히 ᄡᅥ’로 바뀌었다.
주015)
보암직ᄒᆞ니라:봄직하니라. 볼 수 있느니라. ‘-암직/엄직-’은 ‘-ㄹ 만(하다)’를 뜻하는 접미사이다. 현대 국어의 ‘-ㅁ직-’은 [가치]와 [추측]을 뜻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