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 명의복지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의복지제 001


孔子ㅣ 曰왈 士ㅣ 志지於어道도而恥티惡악衣의惡악食식者쟈 未미足죡與여議의也야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孔子ㅣ샤 주001)
ᄀᆞᄅᆞ샤ᄃᆡ:
이르시되. ᄀᆞᆮ-[曰]+ᄋᆞ시+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ᄀᆞᄅᆞ샤ᄃᆡ〉가라사대.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그렇다면 ‘일ᄏᆞᆮ다’는 ‘잃-[稱]’에 ‘-[曰]’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ᄀᆞᄅᆞ샤ᄃᆡ’는 ‘니ᄅᆞ샤ᄃᆡ’(월인석보 21하:116ㄴ)와 의미나 사용 환경이 동일했던 것으로 보인다. 후대에 다른 동사에 쓰인 ‘-샤ᄃᆡ’가 ‘-시ᄃᆡ’로 변화하지만, ‘ᄀᆞᄅᆞ샤ᄃᆡ’의 ‘-샤ᄃᆡ’는 다른 길을 취하였다. 즉 ‘ᄀᆞᄅᆞ샤ᄃᆡ’는 오늘날의 ‘가라사대’로 이어졌다. 활용형이 어휘화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ᄀᆞᄅᆞ샤ᄃᆡ’는 이 책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 책 이전의 문헌에서는 ‘ᄀᆞ로ᄃᆡ’는 쓰였지만, ‘ᄀᆞᄅᆞ샤ᄃᆡ’는 쓰인 적이 없다. ‘ᄀᆞᆯᄋᆞ샤ᄃᆡ’는 『소학언해』에서 처음 나타난다. ¶①曰은 로 논 디라〈월인석보1:석보상절서4ㄴ〉 ②曾子ㅣ 샤 父母ㅣ 랑커시든〈소학언해 2:21ㄱ〉.
士ㅣ 道도理리예 주002)
ᄠᅳᆮ:
뜻. 〉〉뜻. 근대 국어 시기에 ‘〉, 벋〉벗, 붇〉붓’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두고 구즌 옷과 구즌 바블 붓그리니 주003)
붓그리ᄂᆞ니ᄂᆞᆫ:
부끄러워하는 이는. 붓그리-[恥](동사 어간)+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ᄂᆞᆫ(보조사).
죡히 더브러 주004)
더브러:
더불어(與). 함께. 더블-[與]+어(연결 어미). 활용형이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다음 예문의 ‘더브러’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목적격 조사나 부사격 조사 뒤에 쓰였기 때문이다. 이때의 부사격 조사 ‘로’는 문법적 기능 면에서 목적격 조사와 같다. ¶①萬八千 羅漢 더브러 오니〈월인석보 25:91ㄴ〉 ②여슷재 사으로 더브러  이쇼매 스싀로 편안코〈번역소학 8:23ㄱ〉. 다음 예문의 ‘더브러’는 ‘ᄃᆞ려’로 대체할 수 있어서 보조사처럼 보인다. ¶①그 겨지비 가아 張叔이 더브러 닐어늘 怒야 매로 머리 텨늘〈삼강행실도 런던 효 10〉 ②내 너 더브러 니르디 아니타 니르디 마롤디니라〈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송광사 8ㄱ〉.
道도理리 의론티 몯리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선비로서 도리(道理)에 뜻을 두고서 궂은 옷과 궂은 밥을 부끄러워하는 이는 족히 더불어 도리를 의론하지 못하리라.
〈해설〉 출전 : 논어 이인편(里仁篇). 주석(소학집해)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마음으로는 도를 구하고자 하면서 입과 몸의 봉양이 남만 못함을 부끄러워한다면, 그 앎과 취향의 비루함이 심하니, 어찌 족히 더불어 도를 의론하겠는가?” 나의 생각에는 궂은 옷은 거칠고 낡은 옷을 말하는 것이고, 궂은 밥은 거친 밥과 나물국을 말한 것인 듯하다. 『한지(漢志)』에서는 배워서 벼슬자리에 있는 자를 사(士)라고 하였다. 그러나 사민(四民: 사농공상) 가운데에서 배움에 뜻을 둔 자 역시 사(士)라고 칭할 수 있다. 대저 옷은 몸을 가림을 취하고, 밥은 배를 채움을 취하니, 귀천과 상하가 각각 그 제도가 있다. 사(士)로서 벼슬을 하는 자는 그 서열이 공(公)과 경(卿)과 대부(大夫)의 뒤에 있어서 그 녹봉에 한계가 있으니, 아직 벼슬을 하지 않는 자는 수입이 어찌 풍부할 수 있겠는가? 그런데 마침내 나쁜 옷과 궂은 음식을 부끄러워하여 화려한 옷과 달고 살찐 음식을 구하고자 하여, 시류를 따르고 욕심을 이루고자 한다면, 천리(天理)를 모르고 염치를 잃어 의(義)롭지 않은 것을 취하여 욕심을 채우는 데에 이르지 않을 자가 드물 것이다. 그러므로 옛 선비 사씨(謝氏)가 이르되, “나쁜 옷과 궂은 음식을 부끄러워하는 것은 공부하는 자의 큰 병이니, 선한 마음을 보존하지 못하는 것은 대개 이에서 비롯된다.”고 하였다. 아, 사(士)가 되려고 하는 자는 반드시 경계하라.(朱子曰 心欲求道 而以口體之奉不若人爲恥 其識趣之卑陋甚矣 何足與議於道哉 愚謂惡衣謂麤舊衣服 惡食謂䟽食菜羹之類 漢志 謂學以居位曰士 然四民中 有志於學者 亦得稱爲士也 夫衣取蔽形 食取充腹 貴賤上下各有其制 士之仕者列於公卿大夫後 其祿俸有限 未仕者所入 豈能豊洽 乃恥惡衣惡食而欲求華麗甘肥 以徇時濟欲 其不至於昧天理 喪廉恥 取非義以充之者幾希矣 故先儒謝氏曰 恥惡衣惡食 學者之大病 善心不存 盖原於此 嗚呼 有志爲士者 尙其戒哉). ‘나[愚]’는 『소학집해』의 찬자인 오눌(吳訥)이다. 사씨(謝氏)는 송(宋)나라 사양좌(謝良佐: 1050~1130)이다. 자(字)는 현도(顯道)이며, 정호(程顥)와 정이(程頤)의 문인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ᄀᆞᄅᆞ샤ᄃᆡ:이르시되. ᄀᆞᆮ-[曰]+ᄋᆞ시+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ᄀᆞᄅᆞ샤ᄃᆡ〉가라사대.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그렇다면 ‘일ᄏᆞᆮ다’는 ‘잃-[稱]’에 ‘-[曰]’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ᄀᆞᄅᆞ샤ᄃᆡ’는 ‘니ᄅᆞ샤ᄃᆡ’(월인석보 21하:116ㄴ)와 의미나 사용 환경이 동일했던 것으로 보인다. 후대에 다른 동사에 쓰인 ‘-샤ᄃᆡ’가 ‘-시ᄃᆡ’로 변화하지만, ‘ᄀᆞᄅᆞ샤ᄃᆡ’의 ‘-샤ᄃᆡ’는 다른 길을 취하였다. 즉 ‘ᄀᆞᄅᆞ샤ᄃᆡ’는 오늘날의 ‘가라사대’로 이어졌다. 활용형이 어휘화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ᄀᆞᄅᆞ샤ᄃᆡ’는 이 책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 책 이전의 문헌에서는 ‘ᄀᆞ로ᄃᆡ’는 쓰였지만, ‘ᄀᆞᄅᆞ샤ᄃᆡ’는 쓰인 적이 없다. ‘ᄀᆞᆯᄋᆞ샤ᄃᆡ’는 『소학언해』에서 처음 나타난다. ¶①曰은 로 논 디라〈월인석보1:석보상절서4ㄴ〉 ②曾子ㅣ 샤 父母ㅣ 랑커시든〈소학언해 2:21ㄱ〉.
주002)
ᄠᅳᆮ:뜻. 〉〉뜻. 근대 국어 시기에 ‘〉, 벋〉벗, 붇〉붓’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주003)
붓그리ᄂᆞ니ᄂᆞᆫ:부끄러워하는 이는. 붓그리-[恥](동사 어간)+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ᄂᆞᆫ(보조사).
주004)
더브러:더불어(與). 함께. 더블-[與]+어(연결 어미). 활용형이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다음 예문의 ‘더브러’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목적격 조사나 부사격 조사 뒤에 쓰였기 때문이다. 이때의 부사격 조사 ‘로’는 문법적 기능 면에서 목적격 조사와 같다. ¶①萬八千 羅漢 더브러 오니〈월인석보 25:91ㄴ〉 ②여슷재 사으로 더브러  이쇼매 스싀로 편안코〈번역소학 8:23ㄱ〉. 다음 예문의 ‘더브러’는 ‘ᄃᆞ려’로 대체할 수 있어서 보조사처럼 보인다. ¶①그 겨지비 가아 張叔이 더브러 닐어늘 怒야 매로 머리 텨늘〈삼강행실도 런던 효 10〉 ②내 너 더브러 니르디 아니타 니르디 마롤디니라〈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송광사 8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