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孔子ㅣ 曰왈 非비禮례勿믈視시며 非비禮례勿믈聽며 非비禮례勿믈言언며 非비禮례勿믈動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4:4ㄴ

孔子ㅣ 샤 주001)
ᄀᆞᄅᆞ샤ᄃᆡ:
이르시되. ᄀᆞᆮ-[曰]+ᄋᆞ시+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ᄀᆞᄅᆞ샤ᄃᆡ〉가라사대.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그렇다면 ‘일ᄏᆞᆮ다’는 ‘잃-[稱]’에 ‘-[曰]’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ᄀᆞᄅᆞ샤ᄃᆡ’는 ‘니ᄅᆞ샤ᄃᆡ’(월인석보 21하:116ㄴ)와 의미나 사용 환경이 동일했던 것으로 보인다. 후대에 다른 동사에 쓰인 ‘-샤ᄃᆡ’가 ‘-시ᄃᆡ’로 변화하지만, ‘ᄀᆞᄅᆞ샤ᄃᆡ’의 ‘-샤ᄃᆡ’는 다른 길을 취하였다. 즉 ‘ᄀᆞᄅᆞ샤ᄃᆡ’는 오늘날의 ‘가라사대’로 이어졌다. 활용형이 어휘화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ᄀᆞᄅᆞ샤ᄃᆡ’는 이 책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 책 이전의 문헌에서는 ‘ᄀᆞ로ᄃᆡ’는 쓰였지만, ‘ᄀᆞᄅᆞ샤ᄃᆡ’는 쓰인 적이 없다. ‘ᄀᆞᆯᄋᆞ샤ᄃᆡ’는 『소학언해』에서 처음 나타난다. ¶①曰은 로 논 디라〈월인석보1:석보상절서4ㄴ〉 ②曾子ㅣ 샤 父母ㅣ 랑커시든〈소학언해 2:21ㄱ〉.
올 주002)
올ᄒᆞᆫ:
옳은. ‘올ᄒᆞᆫ 이리 아니어든’이 『소학언해』(3:4ㄱ)에서는 ‘禮 아니어든’으로 바뀌었다. ‘禮’를 이 책에서 ‘올ᄒᆞᆫ 일’로 번역한 것은 의역이다.
이리 아니어든 주003)
아니어든:
아니면. 아니-[非]+어(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거-’의 ‘ㄱ’이 약화된 유성 성문 마찰음 [ɦ]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형용사 어간 ‘아니-’뒤에서 ‘ㄱ’이 약화된 것은 ‘아니-’의 기원적 구조가 ‘아니(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이기 때문이다. ‘-거든/어든’은 공시적으로는 연결 어미로 굳어졌다.
보디 말며 올 이리 아니어든 듣디 말며 올 이리 아니어든 니디 주004)
니ᄅᆞ디:
이르지. 말하지. 니ᄅᆞ-[言]+디(보조적 연결 어미). 중세 국어 시기에 ‘니르다’와 ‘니ᄅᆞ다’가 공존하였다. 동음이의어로 [至]를 뜻하는 ‘니르다’가 있었다.
말며 올 이리 아니어든 디 마롤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옳은 일이 아니면 보지 말며, 옳은 일이 아니면 듣지 말며, 옳은 일이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옳은 일이 아니면 행하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논어 안연편(顏淵篇). 주석(소학집해)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비례(非禮)는 자신의 사사로운 욕심이다. 물(勿)은 금지하는 말이다. 이는 사람의 마음이 주체가 되어서 사사로운 욕심을 버리고 예(禮)로 돌아가는 기틀이다. 사사로운 욕심을 극복하면 몸가짐과 일처리 태도가 예(禮)에 맞지 않음이 없게 되어, 일상생활에 천리(天理)가 흘러 작용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朱子曰 非禮者 己之私也 勿者 禁止之辭 是人心之所以爲主 而勝私復禮之機也 私勝則動容周旋 無不中禮 而日用之間 莫非天理之流行矣).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ᄀᆞᄅᆞ샤ᄃᆡ:이르시되. ᄀᆞᆮ-[曰]+ᄋᆞ시+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ᄀᆞᄅᆞ샤ᄃᆡ〉가라사대. 어간 ‘ᄀᆞᆮ-’의 존재는 ‘일ᄏᆞᆮ다(=가리켜 말하다. 칭송하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ᄏᆞᆮ다’는 ‘일훔[名]’을 통해 알 수 있는 재구형 ‘잃-[稱]’에 ‘-[曰]’이 결합한 것이다. 그렇다면 ‘일ᄏᆞᆮ다’는 ‘잃-[稱]’에 ‘-[曰]’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ᄀᆞᄅᆞ샤ᄃᆡ’는 ‘니ᄅᆞ샤ᄃᆡ’(월인석보 21하:116ㄴ)와 의미나 사용 환경이 동일했던 것으로 보인다. 후대에 다른 동사에 쓰인 ‘-샤ᄃᆡ’가 ‘-시ᄃᆡ’로 변화하지만, ‘ᄀᆞᄅᆞ샤ᄃᆡ’의 ‘-샤ᄃᆡ’는 다른 길을 취하였다. 즉 ‘ᄀᆞᄅᆞ샤ᄃᆡ’는 오늘날의 ‘가라사대’로 이어졌다. 활용형이 어휘화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ᄀᆞᄅᆞ샤ᄃᆡ’는 이 책에서 처음 나타난다. 이 책 이전의 문헌에서는 ‘ᄀᆞ로ᄃᆡ’는 쓰였지만, ‘ᄀᆞᄅᆞ샤ᄃᆡ’는 쓰인 적이 없다. ‘ᄀᆞᆯᄋᆞ샤ᄃᆡ’는 『소학언해』에서 처음 나타난다. ¶①曰은 로 논 디라〈월인석보1:석보상절서4ㄴ〉 ②曾子ㅣ 샤 父母ㅣ 랑커시든〈소학언해 2:21ㄱ〉.
주002)
올ᄒᆞᆫ:옳은. ‘올ᄒᆞᆫ 이리 아니어든’이 『소학언해』(3:4ㄱ)에서는 ‘禮 아니어든’으로 바뀌었다. ‘禮’를 이 책에서 ‘올ᄒᆞᆫ 일’로 번역한 것은 의역이다.
주003)
아니어든:아니면. 아니-[非]+어(확정법 선어말 어미)+든(조건 표시 연결 어미). ‘-거-’의 ‘ㄱ’이 약화된 유성 성문 마찰음 [ɦ]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형용사 어간 ‘아니-’뒤에서 ‘ㄱ’이 약화된 것은 ‘아니-’의 기원적 구조가 ‘아니(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이기 때문이다. ‘-거든/어든’은 공시적으로는 연결 어미로 굳어졌다.
주004)
니ᄅᆞ디:이르지. 말하지. 니ᄅᆞ-[言]+디(보조적 연결 어미). 중세 국어 시기에 ‘니르다’와 ‘니ᄅᆞ다’가 공존하였다. 동음이의어로 [至]를 뜻하는 ‘니르다’가 있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