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曲곡禮례예 曰왈 禮례 不블踰유節졀며 不블侵침侮모며 不블好호狎압이니 修슈身신踐쳔言언을 謂위之지善션行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曲곡禮례예 로 禮례度도 제여곰 주001)
제여곰:
제각기. ‘스스로’를 뜻하기도 한다. 원문에 없는 낱말을 보탠 것이다. ‘제여곰 ᄒᆞ욜 ᄆᆞᄃᆡᄅᆞᆯ 넘디 아니ᄒᆞ며’가 『소학언해』(3:6ㄴ)에서는 ‘졀ᄎᆞᄅᆞᆯ 넘구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욜 주002)
ᄒᆞ욜:
할. ᄒᆞ-[爲]+요(선어말 어미)+ㄹ. ‘-요-’는 모음 충돌을 막기 위한 반자음 [j]의 개입에 따른 ‘-오-’의 이형태이다. ‘ㆍ’가 탈락한 ‘홀’과 구별 없이 쓰였다. 명사형 ‘ᄒᆞ욤’과 ‘홈’이 공존한 사실과 비례한다.
 주003)
ᄆᆞᄃᆡ:
마디. 절도(節度).
넘디 주004)
넘디:
넘지. 넘-[踰]+디(보조적 연결 어미). 『소학언해』(3:6ㄴ)에서는 ‘넘구디’로 나타난다. ‘-구-’는 사동 접미사이다.
아니며  주005)
ᄂᆞᄆᆞᆯ:
남을. ᄂᆞᆷ[他人]+ᄋᆞᆯ(목적격 조사).
침로 주006)
침로:
침노(侵擄). 남을 공격하고 해코지함.
야 긔 주007)
긔로ᇰ:
기롱(譏弄). 업신여기고 놀림. ‘긔로ᇰᄋᆞᆯ’이 『소학언해』(3:6ㄴ)에서는 ‘업슈이 녀기기를’로 바뀌었다.
 아니며 조라이 주008)
조라이:
친근하게. 예의를 무너뜨릴 정도로 친하게. 조랍-[親]+이(부사형 연결 어미). ᄌᆞ올압다〉조랍다. ¶①親 올아 씨오 近은 갓가 씨라〈석보상절 13:15ㄴ〉 ②늘거 가매 올아이 아논 사  보미 드므도다〈두시언해 초간본10:46ㄴ〉. ‘ᄌᆞ올압-’의 ‘ㄹ’이 연철되지 않는 것은 ‘-압-’의 소급형이 ‘-갑-’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조라이 호ᄆᆞᆯ’이 『소학언해』(3:6ㄴ)에서는 ‘압닐히 홈을’로 바뀌었다. ‘압닐히’도 ‘조라이’와 같은 뜻을 나타낸다. 다음 예의 ‘압닐’은 관형사형인데, 어간 ‘압닐-’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한 것으로 보인다. ¶狎 압닐 압〈신증유합 하27ㄱ〉. 이 책에 ‘조라이’(4:3ㄱ)와 ‘졸아와도(=친근하여도)(4:17ㄴ)’가 있다.
호 즐기디 아니니 주009)
몸:
몸. 자기 자신.

번역소학 권4:7ㄴ

닷며 주010)
닷ᄀᆞ며:
닦으며. 다ᇧ-[修]+ᄋᆞ며.
말다이 주011)
말다이:
말대로. 말과 같이. 말[言]+다이. 다ᄫᅵ〉다이. 중세 국어의 ‘다ᄫᅵ’는 ‘-답게, -대로, 와 같이’ 등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답’은 형용사 파생 접미사이고, ‘-이’는 부사형 어미이다.
일호 주012)
일호ᄆᆞᆯ:
(말대로) 이룸을. [成]을 뜻하는 중세 국어의 ‘일움’이 ‘일홈’으로 변한 것이다. ‘말다이 일호ᄆᆞᆯ’이 『소학언해』(3:6ㄴ)에서는 ‘말 ᄇᆞᆯ음을’로 나타난다. ‘말 ᄇᆞᆯ음’은 ‘踐言’을 축자역한 것이다. ‘말을 밟음’ 즉 ‘말한 대로 실천(實踐)함’을 뜻한다. ‘ᄇᆞᆲ-[踐]+옴(명사형 어미)’으로 구성된 ‘ᄇᆞᆯᄫᅩᆷ’이 ‘ᄇᆞᆯ음’으로 바뀐 것이다.
닐오 주013)
닐오ᄃᆡ:
이르되. 일컫되. 니ᄅᆞ-[謂]+오ᄃᆡ(연결 어미). 『소학언해』(3:6ㄴ)에서는 ‘닐온’으로 나타난다.
어딘 주014)
어딘:
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善,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뎍 주015)
ᄒᆡᇰ뎍:
행적(行蹟). 행위.
이라 니라 주016)
ᄒᆞ니라:
하느니라. 일컫느니라. 여기의 ‘ᄒᆞ-’는 [謂]를 뜻하는 동사이다. 중세 국어의 ‘동사 어간+니라’는 과거 시제에 해당한다. 그러나 여기의 ‘ᄒᆞ니라’는 현재 시제로 해석된다. 실제적인 행위가 아니라 원칙적인 사실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사 어간 ‘ᄒᆞ-’에 ‘-니라’가 바로 결합한 ‘ᄒᆞ니라’가 현재시제로 해석되는 것은 여기의 ‘ᄒᆞ-’는 동작성이 아주 약하기 때문일 것이다. ‘어딘 ᄒᆡᇰ뎍이라 ᄒᆞ니라’가 『소학언해』(3:6ㄴ)에서는 ‘어딘 ᄒᆡᇰ실이니라’로 나타난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곡례(曲禮)」에서 이르되, 예도(禮度)는 제각기 지킬 절도(節度)를 넘어서지 아니하며, 남을 침해하여 업신여기지 아니하며, 친압(親狎)하기를 즐기지 아니하나니, 몸을 닦으며 말과 같이 이루는 것을 이르되 어진 행적(行蹟)이라 하느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절도를 넘으면 욕(辱)을 불러들이게 되고, 침해하거나 업신여기면 사양하는 마음을 잊게 되며, 친압(親狎: 지나치게 허물없이 친함)함을 좋아하면 공경심을 잊게 되니, 세 가지는 모두 예(禮)에 어긋나는 일이다. 이와 같이 행하지 않는다면, 그 엄숙하고 공경함과 진실함을 지켜서 치욕에서 멀어질 것이다.” 오씨(吳氏)가 말하였다. “세 가지는 모두 예(禮)가 아니니, 오직 그 몸을 닦고 다스려 그 말을 실천함이 선행(善行)이다.”(陳氏曰 踰節則招辱 侵侮則忘讓 好狎則忘敬 三者 皆叛禮之事 不如是 則有以持其莊敬純實之誠 而遠於恥辱矣 吳氏曰 三者 皆非禮 惟能修治其身 以踐行其言 是爲善行也). 진씨(陳氏)는 송말 원초(宋末 元初)의 학자인 진호(陳澔: 1260~1341)이다. 송(宋)나라가 망한 뒤에 은거하여 고향에서 유생들을 가르쳤으며 『예기집설』을 저술하였다. 오씨(吳氏)는 『소학집해』의 찬자(撰者)인 명(明)나라 때의 오눌(吳訥: 1372~1457)이다. 자(字)는 민덕(敏德)이고 호(號)는 사암(思庵)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제여곰:제각기. ‘스스로’를 뜻하기도 한다. 원문에 없는 낱말을 보탠 것이다. ‘제여곰 ᄒᆞ욜 ᄆᆞᄃᆡᄅᆞᆯ 넘디 아니ᄒᆞ며’가 『소학언해』(3:6ㄴ)에서는 ‘졀ᄎᆞᄅᆞᆯ 넘구디 아니ᄒᆞ며’로 바뀌었다.
주002)
ᄒᆞ욜:할. ᄒᆞ-[爲]+요(선어말 어미)+ㄹ. ‘-요-’는 모음 충돌을 막기 위한 반자음 [j]의 개입에 따른 ‘-오-’의 이형태이다. ‘ㆍ’가 탈락한 ‘홀’과 구별 없이 쓰였다. 명사형 ‘ᄒᆞ욤’과 ‘홈’이 공존한 사실과 비례한다.
주003)
ᄆᆞᄃᆡ:마디. 절도(節度).
주004)
넘디:넘지. 넘-[踰]+디(보조적 연결 어미). 『소학언해』(3:6ㄴ)에서는 ‘넘구디’로 나타난다. ‘-구-’는 사동 접미사이다.
주005)
ᄂᆞᄆᆞᆯ:남을. ᄂᆞᆷ[他人]+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06)
침로:침노(侵擄). 남을 공격하고 해코지함.
주007)
긔로ᇰ:기롱(譏弄). 업신여기고 놀림. ‘긔로ᇰᄋᆞᆯ’이 『소학언해』(3:6ㄴ)에서는 ‘업슈이 녀기기를’로 바뀌었다.
주008)
조라이:친근하게. 예의를 무너뜨릴 정도로 친하게. 조랍-[親]+이(부사형 연결 어미). ᄌᆞ올압다〉조랍다. ¶①親 올아 씨오 近은 갓가 씨라〈석보상절 13:15ㄴ〉 ②늘거 가매 올아이 아논 사  보미 드므도다〈두시언해 초간본10:46ㄴ〉. ‘ᄌᆞ올압-’의 ‘ㄹ’이 연철되지 않는 것은 ‘-압-’의 소급형이 ‘-갑-’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조라이 호ᄆᆞᆯ’이 『소학언해』(3:6ㄴ)에서는 ‘압닐히 홈을’로 바뀌었다. ‘압닐히’도 ‘조라이’와 같은 뜻을 나타낸다. 다음 예의 ‘압닐’은 관형사형인데, 어간 ‘압닐-’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한 것으로 보인다. ¶狎 압닐 압〈신증유합 하27ㄱ〉. 이 책에 ‘조라이’(4:3ㄱ)와 ‘졸아와도(=친근하여도)(4:17ㄴ)’가 있다.
주009)
몸:몸. 자기 자신.
주010)
닷ᄀᆞ며:닦으며. 다ᇧ-[修]+ᄋᆞ며.
주011)
말다이:말대로. 말과 같이. 말[言]+다이. 다ᄫᅵ〉다이. 중세 국어의 ‘다ᄫᅵ’는 ‘-답게, -대로, 와 같이’ 등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답’은 형용사 파생 접미사이고, ‘-이’는 부사형 어미이다.
주012)
일호ᄆᆞᆯ:(말대로) 이룸을. [成]을 뜻하는 중세 국어의 ‘일움’이 ‘일홈’으로 변한 것이다. ‘말다이 일호ᄆᆞᆯ’이 『소학언해』(3:6ㄴ)에서는 ‘말 ᄇᆞᆯ음을’로 나타난다. ‘말 ᄇᆞᆯ음’은 ‘踐言’을 축자역한 것이다. ‘말을 밟음’ 즉 ‘말한 대로 실천(實踐)함’을 뜻한다. ‘ᄇᆞᆲ-[踐]+옴(명사형 어미)’으로 구성된 ‘ᄇᆞᆯᄫᅩᆷ’이 ‘ᄇᆞᆯ음’으로 바뀐 것이다.
주013)
닐오ᄃᆡ:이르되. 일컫되. 니ᄅᆞ-[謂]+오ᄃᆡ(연결 어미). 『소학언해』(3:6ㄴ)에서는 ‘닐온’으로 나타난다.
주014)
어딘:어진. 어딜-[善]+ㄴ(관형사형 어미). ‘어딜-’에는 [良, 仁, 善, 賢, 尊貴] 등의 의미가 있었다.
주015)
ᄒᆡᇰ뎍:행적(行蹟). 행위.
주016)
ᄒᆞ니라:하느니라. 일컫느니라. 여기의 ‘ᄒᆞ-’는 [謂]를 뜻하는 동사이다. 중세 국어의 ‘동사 어간+니라’는 과거 시제에 해당한다. 그러나 여기의 ‘ᄒᆞ니라’는 현재 시제로 해석된다. 실제적인 행위가 아니라 원칙적인 사실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사 어간 ‘ᄒᆞ-’에 ‘-니라’가 바로 결합한 ‘ᄒᆞ니라’가 현재시제로 해석되는 것은 여기의 ‘ᄒᆞ-’는 동작성이 아주 약하기 때문일 것이다. ‘어딘 ᄒᆡᇰ뎍이라 ᄒᆞ니라’가 『소학언해』(3:6ㄴ)에서는 ‘어딘 ᄒᆡᇰ실이니라’로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