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의복지제(明衣服之制)
  • 명의복지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의복지제 001


士冠관禮례예 始시加가 祝츅曰왈 令月

번역소학 권4:22ㄱ

월吉길日일에 始시加가元원服북노니 棄기爾幼유志지고 順슌爾成德덕이면 壽슈考고維유祺긔야 介개爾景경福복리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士ㅣ 주001)
ᄉᆞㅣ:
사(士)가. 사(士)의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다양하였다. 춘추시대 초기에는 경(卿)과 대부(大夫)의 가신(家臣)을 뜻하였고, 춘추시대 중엽 이후에는 평민을 가리키다가, 춘추시대 말기부터는 상류 지식인을 통칭하게 되었다.
처 주002)
처ᅀᅡᆷ:
처음. ‘처ᅀᅥᆷ’의 오각이다. 같은 줄 바로 아래에 ‘처ᅀᅥᆷ’이 나온다. 원문에 없는 말이다.
곳갈 주003)
곳갈:
관(冠).
스 주004)
스ᄂᆞᆫ:
쓰는. 이 면(面)에 ‘스ᄂᆞᆫ, 스이고, 슬’이 쓰였다. 다음 예문에서도 ‘스다’가 쓰였다. ¶頭巾을 스고〈두시언해 초간본 15:6ㄴ〉. 그러나 이보다 더 앞선 시기의 15세기 문헌에서 ‘쓰다’가 나타난다. ¶冠 쓰 거시니 寶冠 보로 뮨 冠이라〈석보상절 3:5ㄴ〉. 『소학언해』(3:19ㄴ)에서는 ‘스일ᄉᆡ’와 ‘쓰이노니’가 다 쓰였다.
례예 주005)
례예:
예(禮)에. ‘士ㅣ 처 곳갈 스 례’는 ‘사관례(士冠禮)’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19ㄴ)에서는 ‘士ㅣ 冠ᄒᆞᄂᆞᆫ 禮예’로 바꾸고, ‘儀禮 篇 일홈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처 주006)
처ᅀᅥᆷ:
처음. 바로 앞의 ‘처ᅀᅡᆷ’과 달리 여기서는 제대로 쓰였다. 관형사 ‘처ᇫ’에 접미사 ‘-엄’이 결합한 것으로 보인다. 명사 파생 접미사 ‘-엄’이 쓰인 예는 흔치 않은데, ‘주검’에서도 보인다.
布포冠관 주007)
포관:
포관(布冠). 치포관(緇布冠). 우리나라 조선 시대의 치포관은 유생(儒生)이 평상시에 쓰는 관이었는데, 검은색의 베로 만들었다. 『소학집성(小學集成)』 「권수(卷首)」의 ‘소학서목록(小學書目錄)’ 중 ‘소학서도목(小學書圖目)’ 5ㄱ에 치포관(緇布冠)의 그림이 있는데, 이충구 외(2019a:234)에 수록되어 있다.
스이고 주008)
스이고:
씌우고. 스-[加冠]+이(사동 접미사)+고(연결 어미). 앞의 ‘스ᄂᆞᆫ’ 항을 참고할 것.
비러 주009)
비러:
빌어. 빌-[祝]+어(연결 어미).
로 됴 주010)
됴ᄒᆞᆫ:
좋은. 둏-[吉]+ᄋᆞᆫ(관형사형 어미). 원문의 ‘令’은 ‘좋음’을 뜻한다. ‘둏다’는 현대 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 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둏다’ 외에 ‘됴다’도 쓰였다. 현대 국어에서 ‘좋네(평서형), 좋니(의문형)’를 써야 할 상황에서 ‘좋으네, 좋으니’를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됴-’의 활용형이 발달한 것이다. ‘좋다’ 역시 ‘조다’와 공존하였다. 예컨대 ‘조하’와 ‘조ᄒᆞ야’가 공존하였는데, ‘조하’는 ‘좋-’에 ‘-아’가 결합한 것이고, ‘조ᄒᆞ야’는 ‘조ᄒᆞ-’에 ‘-야’가 결합한 것이다.
 됴 나래 비르소 주011)
비르소:
비로소. 처음으로. 비르서〉비르소〉비로소. ‘비르서’는 ‘비릇-[始](동사 어간)+어(연결 어미)’로 구성된 ‘비르서’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비르소, 비로소’는 공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비릇-, 비롯-’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겠지만, 통시적 관점에서 보면 ‘비르서’의 ‘ㅓ’가 ‘ㅗ’로 변화한 것이다. ¶①嘗觸 곧 舌根이니 마시 어우러 비르서 알 이런 로  일후믈 觸이라〈능엄경언해 3:99ㄴ〉 ②모로매 本分 브터 法다 야 비르소 올리라〈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33ㄴ〉 ③史記 에  권이며 반 권 이을 닐거 비로소 효를 볼 거시니〈번역소학 8:35ㄱ〉. 『소학언해』(3:19ㄴ)에도 ‘비르소’로 나타난다.
머리예 슬 거 엿노니 주012)
엿노니:
얹노니. 씌우노니. 엱-[加]+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화자 초점 표지)+니. ‘엱-’이 ‘엿-’으로 표기된 것이다. 『소학언해』(3:19ㄴ)에서는 ‘쓰이노니’로 바뀌었다. ‘-오-’는 화자가 주어이거나 서술어일 때에 쓰이는 선어말 어미이다.
주013)
네:
너는. 너[爾]+이(주격 조사).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아 주014)
아ᄒᆡ:
아이. 『소학언해』(3:19ㄴ)에서도 ‘아ᄒᆡ’로 나타난다. 한자어 ‘兒孩(아해)’에서 온 것으로 보이나, 『국민소학독본』(1895) 이전의 한글 문헌에서는 한자로 표기된 ‘兒孩’가 보이지 않는다. ¶七八歲 된 兒孩가 그릇 물 속에 지거〈국민소학독본 11ㄴ〉. 아주 이른 시기에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어졌기 때문인 듯하다.
들 주015)
ᄠᅳ들:
뜻을. ᄠᅳᆮ[志]+을.
리고 주016)
네:
너의. ‘네 어딘 덕을’의 ‘네’는 관형어이므로 평성으로 나타났다. 너[爾]+의(관형격 조사).
어딘 주017)
어딘:
어진. 어딜-[仁]+ㄴ(관형사형 어미). 원문에 없는 말이다. 『소학언해』(3:19ㄴ)에서는 원문의 ‘成’을 ‘인(=이루어진)’으로 번역하였다.
덕을 슌히 주018)
슌히:
순(順)히.
일우면 주019)
일우면:
이루면. 일-[成]+우(사동 접미사)+면. 원문의 ‘順爾成德’을 ‘네 어딘 덕을 슌히 일우면’으로 번역한 것이다. ‘어딘’은 원문에 없는 말이다. 이 부분을 『소학언해』(3:19ㄴ)에서는 ‘네 인 德을 順ᄒᆞ면(=너의 이루어진 덕을 따르면)’으로 번역하였는데, ‘네’는 이 책과 같이 평성이므로 관형어임을 알 수 있다. 이 번역은 ‘덕이 이미 이루어져 있음’을 전제한 것이어서 옳은 번역이 아닌 듯하다. 성백효(1993:195)의 ‘너의 덕 이룸을 순히 하면’이나 이충구(2019a:233)의 ‘너의 덕을 순히 이루면’이 옳은 번역으로 보인다.
슈 주020)
댜ᇰ슈:
장수(長壽). 원문의 ‘考’는 ‘오래 삶’을 뜻한다.
셰 주021)
샤ᇰ셰:
상서(祥瑞)가. 샤ᇰ셔+이(주격 조사). 원문 ‘維祺’의 ‘維’는 어조사이고 ‘祺’는 ‘길함’을 뜻한다.
이셔 네 큰 복을 더 크게 주022)
크게:
크게. 원문의 ‘介’는 ‘크게 하다’를 뜻한다.
리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사(士)가 처음 관(冠)을 쓰는 예(禮)에서 처음으로 포관(布冠)을 씌우고 빌면서 말하되, “좋은 달 좋은 날에 비로소 머리에 쓸 것을 얹노니, 너의 아이 적 뜻을 버리고 너의 어진 덕을 순(順)히 이루면, 장수(長壽)할 상서(祥瑞)가 있어서 너의 큰 복을 더 크게 하리라.”
〈해설〉 출전 : 의례(儀禮) 사관례(士冠禮). 주석(소학집해) : 「사관례(士冠禮)」는 『의례(儀禮)』의 편명(篇名)이다. 예(禮)에 남자는 스무 살에 관례(冠禮)를 치르니, 장차 관례를 치르고자 하면 날을 점치고 빈객을 점친다. 관례를 올리게 되면 세 번 관을 씌우는 예가 있다. 처음 씌울 때에는 치포관(緇布冠)을 사용한다. 축(祝)은 빈객이 축원하는 말이다. 영(令)과 길(吉)은 모두 좋음을 뜻한다. 원복(元服)은 머리에 쓰는 관이고, 유지(幼志)는 동심(童心)이고 기(祺)는 상서로움이고, 개(介)와 경(景)은 다 크다는 뜻이다. “달과 날의 좋은 때를 맞이하여 너에게 관(冠)을 씌우노니, 너는 마땅히 어릴 적의 마음을 버리고 너의 덕을 순(順)히 이루어라. 그리 하면 반드시 수고(壽考: 오래 삶)의 상서로움이 있어서 그 큰 복을 크게 받으리라.”라고 말한 것이다.(士冠禮 儀禮篇名 禮男子二十而冠 將冠則筮日筮賓 及冠則有三加之禮也 始加用緇布冠 祝者賓所祝之辭也 令吉皆善也 元服首服也 幼志童心也 祺祥也 介景皆大也 言當月日之善 加爾首服 爾當棄其童幼之心 順成爾德 則必有壽考之祥 而大受其大福矣). 『의례(儀禮)』는 13경(經) 중의 하나이며, 『주례(周禮)』, 『예기』와 함께 3례(三禮) 중의 하나이다. 모두 17편(篇)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관례(士冠禮)」는 그 중 하나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ᄉᆞㅣ:사(士)가. 사(士)의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다양하였다. 춘추시대 초기에는 경(卿)과 대부(大夫)의 가신(家臣)을 뜻하였고, 춘추시대 중엽 이후에는 평민을 가리키다가, 춘추시대 말기부터는 상류 지식인을 통칭하게 되었다.
주002)
처ᅀᅡᆷ:처음. ‘처ᅀᅥᆷ’의 오각이다. 같은 줄 바로 아래에 ‘처ᅀᅥᆷ’이 나온다. 원문에 없는 말이다.
주003)
곳갈:관(冠).
주004)
스ᄂᆞᆫ:쓰는. 이 면(面)에 ‘스ᄂᆞᆫ, 스이고, 슬’이 쓰였다. 다음 예문에서도 ‘스다’가 쓰였다. ¶頭巾을 스고〈두시언해 초간본 15:6ㄴ〉. 그러나 이보다 더 앞선 시기의 15세기 문헌에서 ‘쓰다’가 나타난다. ¶冠 쓰 거시니 寶冠 보로 뮨 冠이라〈석보상절 3:5ㄴ〉. 『소학언해』(3:19ㄴ)에서는 ‘스일ᄉᆡ’와 ‘쓰이노니’가 다 쓰였다.
주005)
례예:예(禮)에. ‘士ㅣ 처 곳갈 스 례’는 ‘사관례(士冠禮)’의 번역이다. 『소학언해』(3:19ㄴ)에서는 ‘士ㅣ 冠ᄒᆞᄂᆞᆫ 禮예’로 바꾸고, ‘儀禮 篇 일홈이라’라는 협주를 달았다.
주006)
처ᅀᅥᆷ:처음. 바로 앞의 ‘처ᅀᅡᆷ’과 달리 여기서는 제대로 쓰였다. 관형사 ‘처ᇫ’에 접미사 ‘-엄’이 결합한 것으로 보인다. 명사 파생 접미사 ‘-엄’이 쓰인 예는 흔치 않은데, ‘주검’에서도 보인다.
주007)
포관:포관(布冠). 치포관(緇布冠). 우리나라 조선 시대의 치포관은 유생(儒生)이 평상시에 쓰는 관이었는데, 검은색의 베로 만들었다. 『소학집성(小學集成)』 「권수(卷首)」의 ‘소학서목록(小學書目錄)’ 중 ‘소학서도목(小學書圖目)’ 5ㄱ에 치포관(緇布冠)의 그림이 있는데, 이충구 외(2019a:234)에 수록되어 있다.
주008)
스이고:씌우고. 스-[加冠]+이(사동 접미사)+고(연결 어미). 앞의 ‘스ᄂᆞᆫ’ 항을 참고할 것.
주009)
비러:빌어. 빌-[祝]+어(연결 어미).
주010)
됴ᄒᆞᆫ:좋은. 둏-[吉]+ᄋᆞᆫ(관형사형 어미). 원문의 ‘令’은 ‘좋음’을 뜻한다. ‘둏다’는 현대 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 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둏다’ 외에 ‘됴다’도 쓰였다. 현대 국어에서 ‘좋네(평서형), 좋니(의문형)’를 써야 할 상황에서 ‘좋으네, 좋으니’를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됴-’의 활용형이 발달한 것이다. ‘좋다’ 역시 ‘조다’와 공존하였다. 예컨대 ‘조하’와 ‘조ᄒᆞ야’가 공존하였는데, ‘조하’는 ‘좋-’에 ‘-아’가 결합한 것이고, ‘조ᄒᆞ야’는 ‘조ᄒᆞ-’에 ‘-야’가 결합한 것이다.
주011)
비르소:비로소. 처음으로. 비르서〉비르소〉비로소. ‘비르서’는 ‘비릇-[始](동사 어간)+어(연결 어미)’로 구성된 ‘비르서’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비르소, 비로소’는 공시적인 관점에서 보면 ‘비릇-, 비롯-’에 부사 파생 접미사 ‘-오’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겠지만, 통시적 관점에서 보면 ‘비르서’의 ‘ㅓ’가 ‘ㅗ’로 변화한 것이다. ¶①嘗觸 곧 舌根이니 마시 어우러 비르서 알 이런 로  일후믈 觸이라〈능엄경언해 3:99ㄴ〉 ②모로매 本分 브터 法다 야 비르소 올리라〈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33ㄴ〉 ③史記 에  권이며 반 권 이을 닐거 비로소 효를 볼 거시니〈번역소학 8:35ㄱ〉. 『소학언해』(3:19ㄴ)에도 ‘비르소’로 나타난다.
주012)
엿노니:얹노니. 씌우노니. 엱-[加]+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오(화자 초점 표지)+니. ‘엱-’이 ‘엿-’으로 표기된 것이다. 『소학언해』(3:19ㄴ)에서는 ‘쓰이노니’로 바뀌었다. ‘-오-’는 화자가 주어이거나 서술어일 때에 쓰이는 선어말 어미이다.
주013)
네:너는. 너[爾]+이(주격 조사).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주014)
아ᄒᆡ:아이. 『소학언해』(3:19ㄴ)에서도 ‘아ᄒᆡ’로 나타난다. 한자어 ‘兒孩(아해)’에서 온 것으로 보이나, 『국민소학독본』(1895) 이전의 한글 문헌에서는 한자로 표기된 ‘兒孩’가 보이지 않는다. ¶七八歲 된 兒孩가 그릇 물 속에 지거〈국민소학독본 11ㄴ〉. 아주 이른 시기에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어졌기 때문인 듯하다.
주015)
ᄠᅳ들:뜻을. ᄠᅳᆮ[志]+을.
주016)
네:너의. ‘네 어딘 덕을’의 ‘네’는 관형어이므로 평성으로 나타났다. 너[爾]+의(관형격 조사).
주017)
어딘:어진. 어딜-[仁]+ㄴ(관형사형 어미). 원문에 없는 말이다. 『소학언해』(3:19ㄴ)에서는 원문의 ‘成’을 ‘인(=이루어진)’으로 번역하였다.
주018)
슌히:순(順)히.
주019)
일우면:이루면. 일-[成]+우(사동 접미사)+면. 원문의 ‘順爾成德’을 ‘네 어딘 덕을 슌히 일우면’으로 번역한 것이다. ‘어딘’은 원문에 없는 말이다. 이 부분을 『소학언해』(3:19ㄴ)에서는 ‘네 인 德을 順ᄒᆞ면(=너의 이루어진 덕을 따르면)’으로 번역하였는데, ‘네’는 이 책과 같이 평성이므로 관형어임을 알 수 있다. 이 번역은 ‘덕이 이미 이루어져 있음’을 전제한 것이어서 옳은 번역이 아닌 듯하다. 성백효(1993:195)의 ‘너의 덕 이룸을 순히 하면’이나 이충구(2019a:233)의 ‘너의 덕을 순히 이루면’이 옳은 번역으로 보인다.
주020)
댜ᇰ슈:장수(長壽). 원문의 ‘考’는 ‘오래 삶’을 뜻한다.
주021)
샤ᇰ셰:상서(祥瑞)가. 샤ᇰ셔+이(주격 조사). 원문 ‘維祺’의 ‘維’는 어조사이고 ‘祺’는 ‘길함’을 뜻한다.
주022)
크게:크게. 원문의 ‘介’는 ‘크게 하다’를 뜻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