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臨림財야 毋모苟구得득며 臨림難난야 毋모苟구免면며 狠毋모求구勝며 分분毋모求구多다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보화의 주001)
보화의:
보화(寶貨)에.
다라셔 주002)
다ᄃᆞ라셔:
임(臨)하여서. 다ᄃᆞᆮ-[臨]+아셔(연결 어미). ‘ㄷ’ 불규칙 활용.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비변도이 주003)
비변도이:
구차하게. 비변(鄙褊)+되(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연결 어미). ‘되이’가 ‘도이’로 변할 수 있었던 것은 ‘되’의 ‘ㅚ’가 이중 모음 [oj]였기 때문이다. 형용사 파생 접미사 ‘-되-’는 ‘-ᄃᆞᄫᆡ/ᄃᆞᆸ-’의 발달형이다.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여기서 발달하였다. ‘비변’은 ‘비편(鄙褊)’으로 보인다. ‘褊’은 ‘옷의 품이나 땅이나 도량이 좁음’을 뜻하는데, ‘변’ 또는 ‘편’으로 읽혔다. ¶①:변〈동국정운 3:16ㄴ〉 ②편, 변〈자류주석 상 87ㄴ〉 ③편, 변〈자전석요하 62ㄴ〉. ‘비변도이’의 원문은 ‘苟’인데, 동일한 ‘苟’를 바로 뒤에서는 ‘구챠히’로 변역하였다. 『소학언해』(3:3ㄴ)에서는 원문의 두 ‘苟’ 모두 ‘구챠히’로 번역하였다. ‘비변’의 다른 용례를 찾지 못하였다.
가쥬려 주004)
가쥬려:
가지려. 가지-[得]+우려(연결 어미). ‘-우려’는 ‘오/우(선어말 어미)+리(의도 표시 선어말 어미)+어(연결 어미)’가 연결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말며 주005)
말며:
말며. ‘말-’이 ‘ᄒᆞ디’의 매개 없이 ‘-우려’와 바로 결합하였다. ‘말다’가 본동사로 쓰인 것이다. 원문 ‘毋’의 독음이 ‘모’로 적혀 있는데, 『소학언해』(3:3ㄴ)에는 ‘무’로 적혀 있다.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환란의 주006)
환란의:
환란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亂’ 뒤의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분포가 확대된 것이다. ‘亂’ 뒤에서는 ‘애’가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昏沈과 散亂애 재 힘  더야〈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11ㄱ〉.
다라셔 구챠히 주007)
구챠히:
구차(苟且)하게. 원문의 ‘苟’를 여기서는 ‘구챠히’로 번역하였는데, 바로 앞에서는 ‘비변도이’로 번역하였다.
버서나려 주008)
버서나려:
벗어나려. 벗-[免, 脫]+어(연결 어미)+나-[出]+오려(연결 어미). ‘나-’의 모음 ‘ㅏ’ 뒤에서 ‘-오려’의 ‘오’가 외현되지 않고, 그 대신 평성인 ‘나-’가 상성으로 바뀌었다. ‘나-’가 평성인 것은 이 책(3:16ㄴ)의 ‘ᄀᆞᆯᄒᆡ나게’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석보상절』(9:8ㄱ, 9ㄱ)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나-’가 상성으로 나타나 있는 것은 이 책의 성조 표시가 상당히 엄격함을 보여 준다.
말며 토와 주009)
ᄃᆞ토와:
다투어. ᄃᆞ토-[爭]+아. ‘아’가 ‘와’로 바뀐 것은 반자음 [w]가 개입된 데에 따른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원순성의 동화인데, 결과적으로는 모음 충돌을 막은 셈이 되었다. ‘ᄃᆞ토와’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빠져 있다.

번역소학 권4:4ㄱ

호매
주010)
사호매:
싸움에서. 사홈+애(부사격 조사). 『소학언해』(3:3ㄴ)에서는 ‘싸홈애’로 나타난다.
이긔요 주011)
이긔요ᄆᆞᆯ:
이김을. 이긔-[勝]+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구티 주012)
구티:
구(求)하지. 『소학언해』(3:3ㄴ)에서는 한자를 살린 ‘求티’로 나타난다.
말며 주013)
제:
제가. 자기가. 저[己]+의(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 문헌에서는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가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이 책의 ‘제’는 평성이므로 관형격으로 보아야 한다. 주어 위치에 관형격 조사가 쓰인 것은 서술어 ‘가지다’가 관형사형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질 모긔셔 주014)
모긔셔:
몫에서. 목[分]+의셔(부사격 조사). ‘의셔’는 ‘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원문 ‘分毋求多’를 이 책에서는 ‘제 가질 모긔셔 해 가죠ᄆᆞᆯ 구티 마롤 디니라’로 번역하였고, 『소학언해』(3:3ㄴ)에서는 ‘ᄂᆞᆫ홈애 함을 求티 말올 디니라’로 바뀌었다. 『소학언해』가 더 원문의 구조에 가까운 번역임을 알 수 있다.
주015)
해:
많이. ‘하-[多]+이(부사형 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가죠 주016)
가죠ᄆᆞᆯ:
가짐을. 가지-[取]+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구티 마롤 디니라 주017)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 국어에서는 ‘말다’의 어간 ‘말-’과 관형사형 어미 ‘-을’이 결합하면 ‘말’이 되는데, 여기서는 ‘말-’과 ‘-올’이 결합하여 ‘마롤’이 되었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그러나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보화(寶貨)에 임(臨)하여서 구차하게 가지려 하지 말며, 환란(患亂)에 임하여서 구차하게 벗어나려 하지 말며, 다투어 싸움에서 이기기를 구하지 말며, 제가 가질 몫보다 더 많이 가지기를 구하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구(苟)는 구차(苟且)함이고 한(狠)은 싸우는 것이고 분(分)은 재물을 나누는 것이다.”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구차히 얻지 말지니 이익을 보면 의(義)를 생각하여야 하고, 구차히 벗어나지 말지니 죽음으로써 선한 도(道)를 지켜야 하고, 다툼에서 이기기를 구하지 말지니 분(忿)할 때에 후환을 생각하고, 나눌 때에 많은 것을 구하지 말지니 적음을 걱정하지 말고 고르지 못함을 걱정해야 한다.”(陳氏曰 苟苟且 狠鬪狠 分分財 陳氏曰 毋苟得 見利思義也 毋苟免 守死善道也 狠毋求勝 忿思難也 分毋求多 不患寡而患不均也). 앞의 진씨(陳氏)는 진선(陳選: 1429~1486)이다. 『소학증주(小學增註)』를 편찬하였는데, 이 책은 『소학구두(小學句讀)』 또는 『소학집주(小學集註)』로도 불린다. 뒤의 진씨(陳氏)는 송말 원초(宋末 元初)의 학자인 진호(陳澔: 1260~1341)이다. 송(宋)나라가 망한 뒤에 은거하여 고향에서 유생들을 가르쳤으며 『예기집설』을 저술하였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보화의:보화(寶貨)에.
주002)
다ᄃᆞ라셔:임(臨)하여서. 다ᄃᆞᆮ-[臨]+아셔(연결 어미). ‘ㄷ’ 불규칙 활용.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하나의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주003)
비변도이:구차하게. 비변(鄙褊)+되(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연결 어미). ‘되이’가 ‘도이’로 변할 수 있었던 것은 ‘되’의 ‘ㅚ’가 이중 모음 [oj]였기 때문이다. 형용사 파생 접미사 ‘-되-’는 ‘-ᄃᆞᄫᆡ/ᄃᆞᆸ-’의 발달형이다.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여기서 발달하였다. ‘비변’은 ‘비편(鄙褊)’으로 보인다. ‘褊’은 ‘옷의 품이나 땅이나 도량이 좁음’을 뜻하는데, ‘변’ 또는 ‘편’으로 읽혔다. ¶①:변〈동국정운 3:16ㄴ〉 ②편, 변〈자류주석 상 87ㄴ〉 ③편, 변〈자전석요하 62ㄴ〉. ‘비변도이’의 원문은 ‘苟’인데, 동일한 ‘苟’를 바로 뒤에서는 ‘구챠히’로 변역하였다. 『소학언해』(3:3ㄴ)에서는 원문의 두 ‘苟’ 모두 ‘구챠히’로 번역하였다. ‘비변’의 다른 용례를 찾지 못하였다.
주004)
가쥬려:가지려. 가지-[得]+우려(연결 어미). ‘-우려’는 ‘오/우(선어말 어미)+리(의도 표시 선어말 어미)+어(연결 어미)’가 연결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주005)
말며:말며. ‘말-’이 ‘ᄒᆞ디’의 매개 없이 ‘-우려’와 바로 결합하였다. ‘말다’가 본동사로 쓰인 것이다. 원문 ‘毋’의 독음이 ‘모’로 적혀 있는데, 『소학언해』(3:3ㄴ)에는 ‘무’로 적혀 있다.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주006)
환란의:환란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亂’ 뒤의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의 분포가 확대된 것이다. ‘亂’ 뒤에서는 ‘애’가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昏沈과 散亂애 재 힘  더야〈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11ㄱ〉.
주007)
구챠히:구차(苟且)하게. 원문의 ‘苟’를 여기서는 ‘구챠히’로 번역하였는데, 바로 앞에서는 ‘비변도이’로 번역하였다.
주008)
버서나려:벗어나려. 벗-[免, 脫]+어(연결 어미)+나-[出]+오려(연결 어미). ‘나-’의 모음 ‘ㅏ’ 뒤에서 ‘-오려’의 ‘오’가 외현되지 않고, 그 대신 평성인 ‘나-’가 상성으로 바뀌었다. ‘나-’가 평성인 것은 이 책(3:16ㄴ)의 ‘ᄀᆞᆯᄒᆡ나게’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석보상절』(9:8ㄱ, 9ㄱ)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나-’가 상성으로 나타나 있는 것은 이 책의 성조 표시가 상당히 엄격함을 보여 준다.
주009)
ᄃᆞ토와:다투어. ᄃᆞ토-[爭]+아. ‘아’가 ‘와’로 바뀐 것은 반자음 [w]가 개입된 데에 따른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의 원순성의 동화인데, 결과적으로는 모음 충돌을 막은 셈이 되었다. ‘ᄃᆞ토와’가 『소학언해』(3:3ㄴ)에서는 빠져 있다.
주010)
사호매:싸움에서. 사홈+애(부사격 조사). 『소학언해』(3:3ㄴ)에서는 ‘싸홈애’로 나타난다.
주011)
이긔요ᄆᆞᆯ:이김을. 이긔-[勝]+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12)
구티:구(求)하지. 『소학언해』(3:3ㄴ)에서는 한자를 살린 ‘求티’로 나타난다.
주013)
제:제가. 자기가. 저[己]+의(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 문헌에서는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가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이 책의 ‘제’는 평성이므로 관형격으로 보아야 한다. 주어 위치에 관형격 조사가 쓰인 것은 서술어 ‘가지다’가 관형사형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014)
모긔셔:몫에서. 목[分]+의셔(부사격 조사). ‘의셔’는 ‘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조사로 굳어진 것이다. 원문 ‘分毋求多’를 이 책에서는 ‘제 가질 모긔셔 해 가죠ᄆᆞᆯ 구티 마롤 디니라’로 번역하였고, 『소학언해』(3:3ㄴ)에서는 ‘ᄂᆞᆫ홈애 함을 求티 말올 디니라’로 바뀌었다. 『소학언해』가 더 원문의 구조에 가까운 번역임을 알 수 있다.
주015)
해:많이. ‘하-[多]+이(부사형 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016)
가죠ᄆᆞᆯ:가짐을. 가지-[取]+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17)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말-[勿]+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사태에 대한 인지 요구의 선어말 어미)+라(종결 어미). 현대 국어에서는 ‘말다’의 어간 ‘말-’과 관형사형 어미 ‘-을’이 결합하면 ‘말’이 되는데, 여기서는 ‘말-’과 ‘-올’이 결합하여 ‘마롤’이 되었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그러나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