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曲곡禮례예 曰왈 並坐좌不블橫肱며 授슈立립不블跪궤며 授슈坐좌不블立립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曲곡禮례예 주001)
곡례예:
곡례(曲禮)에서.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로 과 와 주002)
ᄀᆞᆯ와:
나란히. ‘아울러, 함께’를 뜻하기도 한다. ᄀᆞᆲ-[並]+아(연결어미). ᄀᆞᆯᄫᅡ〉ᄀᆞᆯ와.
안자셔 주003)
안자셔:
앉아서. 앉-[坐]+아셔(연결 어미).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시-’는 ‘이시-’의 이형태이다.
토 주004)
ᄇᆞᆯ토ᄀᆞᆯ:
팔뚝을. ᄇᆞᆯㅎ[臂](ㅎ말음체언)+독+ᄋᆞᆯ(목적격 조사). ‘ᄇᆞᆯ독’도 쓰였다. ¶肘는 독이니〈내훈 1:15ㄱ〉. ‘肘’는 ‘팔꿈치 주’이다. ‘ᄇᆞᆯ톡, ᄇᆞᆯ독’은 현대 국어 ‘팔뚝’으로 발달하였다. ‘독’의 정체가 확실치 않으나, 다음의 예들을 종합해서 보면, ‘독’은 본래 ‘기다란 막대 모양의 물체’를 뜻하다가, 의미가 확대되어 ‘팔뚝’도 가리키게 된 것으로 짐작된다. ¶①이 노픈 곳의 흙을 고  말을 박고 디 못소냐〈박통사언해 하:5ㄴ〉 ②馬樁子  말독〈역어유해 하:20ㄴ〉 ③煙洞 굴〈몽어유해 상:26ㄴ〉. ‘馬樁子’는 ‘마장자’이다(樁: 말뚝 장). ‘ᄇᆞᆯ토ᄀᆞᆯ’이 『소학언해』(3:17ㄱ)에서는 ‘ᄑᆞᆯ을’로 바뀌었다. 한편 ‘ᄇᆞᆯ톡’의 원문은 ‘肱’인데, 독음이 ‘그ᇰ’으로 나타나 있다. 『소학언해』(3:16ㄴ)에서도 ‘그ᇰ’으로 나타나 있다. 『동국정운』(1:13ㄴ)에서는 ‘귀ᇰ’으로, 『소학언해』(3:16ㄱ)에서는 ‘그ᇰ’으로 나타나고, 『훈몽자회』(比叡 상 13ㄴ)에 오늘날과 같은 ‘괴ᇰ’으로 나타난다.
겨토로 주005)
겨토로:
곁으로. 옆으로. 곁+오로(부사격 조사). ‘오로’는 ‘ᄋᆞ로’가 변한 것이다.
딥디 주006)
ᄀᆞᄅᆞ딥디:
가로 짚지. 『소학언해』(3:17ㄱ)에서는 ‘빗기디’로 바뀌었다. ‘딮-’이 ‘딥-’으로 적힌 것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ᄀᆞᄅᆞ딮-’의 구조가 다음 둘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로부터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동사 ‘딮-’이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딮다’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딮-’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말며 셔니 주007)
셔니ᄅᆞᆯ:
서 있는 사람에게. 셔-[立]+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ᄅᆞᆯ(목적격 조사). 여기의 목적격 조사는 부사격(여격) 조사와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 현대 국어에서도 ‘이것을 누구를 줄까?’에서와 같이 목적격 조사가 부사격(여격) 조사와 같은 기능을 보이기도 한다. 『소학언해』(3:17ㄱ)에서 ‘셔니를’로 바뀌었다.
주 주008)
주ᄃᆡ:
주되. 주-[與]+우ᄃᆡ(연결 어미). 동사 어간 ‘주-’는 본래 평성인데, 여기서는 상성으로 나타난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연결 어미 ‘-오ᄃᆡ/우ᄃᆡ’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한다.
러셔 주009)
ᄭᅮ러셔:
꿇어서. ᄭᅮᆯ-[跪]+어셔(연결 어미). ‘-어셔’는 ‘어(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ᄭᅮᆯ다’가 ‘ᄭᅮᆶ다’로 변한 것은 20세기 문헌에 가서야 보인다. ¶①무덤 곧애 니르러 절며 고 즉을 븓들고 슬피 우러〈소학언해 6:24ㄱ〉 ②층계로 올나가다가 무릅 코 업여〈신학월보 2:530〉(1902년).
말며 안잣니 주010)
안잣ᄂᆞ니ᄅᆞᆯ:
앉아 있는 사람에게. 앉-[坐]+앗(완료상 선어말 어미)+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ᄅᆞᆯ(목적격 조사). ‘-앗-’은 ‘아(연결 어미)+잇-[在](동사 어간)’이 ‘-앳-’을 거쳐 ‘-앗-’으로 변한 것이다. 『소학언해』(3:17ㄱ)에서는 ‘안ᄌᆞ니를’로 바뀌었다.
주 셔셔 주011)
셔셔:
서서. 셔-[立]+어셔(연결 어미). ‘-어셔’는 ‘어(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마롤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곡례(曲禮)」에서 이르되, 남과 나란히 앉아 있을 때에는 팔뚝을 옆으로 하여 가로 짚지 말며, 서 있는 사람에게 물건을 줄 때에는 꿇어앉아서 주지 말며, 앉아 있는 사람에게 물건을 줄 때에는 서서 주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팔을 옆으로 뻗으면 옆에 앉은 사람에게 방해가 된다. 무릎을 꿇지 말라거나 서지 말라는 것은 (그것이) 다 받는 사람에게 불편하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陳氏曰 橫肱則妨並坐者 不跪不立 皆謂不便於受者). 진씨(陳氏)는 『예기집설(禮記集說)』을 저술한 진호(陳澔)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곡례예:곡례(曲禮)에서.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주002)
ᄀᆞᆯ와:나란히. ‘아울러, 함께’를 뜻하기도 한다. ᄀᆞᆲ-[並]+아(연결어미). ᄀᆞᆯᄫᅡ〉ᄀᆞᆯ와.
주003)
안자셔:앉아서. 앉-[坐]+아셔(연결 어미). ‘-아셔’는 ‘아(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시-’는 ‘이시-’의 이형태이다.
주004)
ᄇᆞᆯ토ᄀᆞᆯ:팔뚝을. ᄇᆞᆯㅎ[臂](ㅎ말음체언)+독+ᄋᆞᆯ(목적격 조사). ‘ᄇᆞᆯ독’도 쓰였다. ¶肘는 독이니〈내훈 1:15ㄱ〉. ‘肘’는 ‘팔꿈치 주’이다. ‘ᄇᆞᆯ톡, ᄇᆞᆯ독’은 현대 국어 ‘팔뚝’으로 발달하였다. ‘독’의 정체가 확실치 않으나, 다음의 예들을 종합해서 보면, ‘독’은 본래 ‘기다란 막대 모양의 물체’를 뜻하다가, 의미가 확대되어 ‘팔뚝’도 가리키게 된 것으로 짐작된다. ¶①이 노픈 곳의 흙을 고  말을 박고 디 못소냐〈박통사언해 하:5ㄴ〉 ②馬樁子  말독〈역어유해 하:20ㄴ〉 ③煙洞 굴〈몽어유해 상:26ㄴ〉. ‘馬樁子’는 ‘마장자’이다(樁: 말뚝 장). ‘ᄇᆞᆯ토ᄀᆞᆯ’이 『소학언해』(3:17ㄱ)에서는 ‘ᄑᆞᆯ을’로 바뀌었다. 한편 ‘ᄇᆞᆯ톡’의 원문은 ‘肱’인데, 독음이 ‘그ᇰ’으로 나타나 있다. 『소학언해』(3:16ㄴ)에서도 ‘그ᇰ’으로 나타나 있다. 『동국정운』(1:13ㄴ)에서는 ‘귀ᇰ’으로, 『소학언해』(3:16ㄱ)에서는 ‘그ᇰ’으로 나타나고, 『훈몽자회』(比叡 상 13ㄴ)에 오늘날과 같은 ‘괴ᇰ’으로 나타난다.
주005)
겨토로:곁으로. 옆으로. 곁+오로(부사격 조사). ‘오로’는 ‘ᄋᆞ로’가 변한 것이다.
주006)
ᄀᆞᄅᆞ딥디:가로 짚지. 『소학언해』(3:17ㄱ)에서는 ‘빗기디’로 바뀌었다. ‘딮-’이 ‘딥-’으로 적힌 것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ᄀᆞᄅᆞ딮-’의 구조가 다음 둘 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첫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로부터 영파생된 부사 ‘ᄀᆞᄅᆞ’에 동사 ‘딮-’이 연결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ᄀᆞᄅᆞ딮다’가 합성어일 수도 있고 구(句)일 수도 있다. 둘째는 동사 어간 ‘ᄀᆞᄅᆞ-’에 ‘딮-’이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일 가능성이 있다.
주007)
셔니ᄅᆞᆯ:서 있는 사람에게. 셔-[立]+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ᄅᆞᆯ(목적격 조사). 여기의 목적격 조사는 부사격(여격) 조사와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 현대 국어에서도 ‘이것을 누구를 줄까?’에서와 같이 목적격 조사가 부사격(여격) 조사와 같은 기능을 보이기도 한다. 『소학언해』(3:17ㄱ)에서 ‘셔니를’로 바뀌었다.
주008)
주ᄃᆡ:주되. 주-[與]+우ᄃᆡ(연결 어미). 동사 어간 ‘주-’는 본래 평성인데, 여기서는 상성으로 나타난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연결 어미 ‘-오ᄃᆡ/우ᄃᆡ’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한다.
주009)
ᄭᅮ러셔:꿇어서. ᄭᅮᆯ-[跪]+어셔(연결 어미). ‘-어셔’는 ‘어(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ᄭᅮᆯ다’가 ‘ᄭᅮᆶ다’로 변한 것은 20세기 문헌에 가서야 보인다. ¶①무덤 곧애 니르러 절며 고 즉을 븓들고 슬피 우러〈소학언해 6:24ㄱ〉 ②층계로 올나가다가 무릅 코 업여〈신학월보 2:530〉(1902년).
주010)
안잣ᄂᆞ니ᄅᆞᆯ:앉아 있는 사람에게. 앉-[坐]+앗(완료상 선어말 어미)+ᄂᆞ(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ㄴ(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ᄅᆞᆯ(목적격 조사). ‘-앗-’은 ‘아(연결 어미)+잇-[在](동사 어간)’이 ‘-앳-’을 거쳐 ‘-앗-’으로 변한 것이다. 『소학언해』(3:17ㄱ)에서는 ‘안ᄌᆞ니를’로 바뀌었다.
주011)
셔셔:서서. 셔-[立]+어셔(연결 어미). ‘-어셔’는 ‘어(연결 어미)+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