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 명위의지칙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위의지칙 001


少쇼儀의에 曰왈 執집虛허호 如여執집盈며 入입虛허호 如여有유人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少쇼儀의예 주001)
쇼의예:
소의(少儀)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로 주002)
뷘:
빈. 뷔-[虛]+ㄴ(관형사형 어미). 뷔다〉비다. 『소학언해』(3:17ㄱ)에도 ‘뷘’으로 나타난다. ‘뷔다[虛]’와 ‘뷔다[刈, 斷]’는 첫 음절이 각각 상성과 거성이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는 다음 예 외에는 ‘비다’가 보이지 않는다. ¶曠野 빈 드르히라〈월인석보 18:12ㄱ〉.
그르슬 자보 주003)
자보ᄃᆡ:
잡되. 잡-[執]+오ᄃᆡ(연결 어미).
 것 자본 시 주004)
ᄃᆞ시:
듯이. 관형사형 뒤에 쓰였으므로 부사성 의존 명사이다. 어간 뒤에 바로 나타날 때에는 어미로 처리한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과 ‘(-)ᄃᆞ시’가 다 나타나는데,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였는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그리고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 (-)ᄃᆞ시’는 많이 보이지만 ‘(-)듯, (-)드시’의 예는 아주 드물다. ¶①金剛杵ㅅ 머리마다 브리 술위 두르듯 야〈월인석보 7:35ㄴ〉 ②새집과 살기 門이 별 흗드시 사니(草閣柴扉星散居)〈두시언해 초간본 25:23ㄱ〉.
며 뷘 지븨 주005)
지븨:
집에. 집[家]+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드러가 주006)
드러가ᄃᆡ:
들어가되. 들-[入]+어(연결 어미)+가-[去]+오ᄃᆡ. ‘가ᄃᆡ’의 ‘가-’는 본래 평성인데, 여기서는 상성으로 나타나 있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연결 어미 ‘-오ᄃᆡ/우ᄃᆡ’와 결합하면, ‘오, 우’는 탈락하고 어간 말음의 성조가 상성으로 실현된다.
사 잇 티 주007)
ᄀᆞ티:
같이. 여기서는 현대 국어와 같이 보조사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홀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소의(少儀)」에서 이르되, “빈 그릇을 잡되 가득찬 것을 잡은 듯이 하며, 빈 집에 들어가되 사람 있는 집에 들어가는 것처럼 할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소의(少儀).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빈 그릇을 잡기를 가득찬 그릇을 잡듯이 하며 빈 방에 들어가기를 사람이 있는 방에 들어가듯이 하는 것은 삼가는 마음이 늘 있기 때문이다.”(陳氏曰 執虛器 如執盈滿之器 入虛室 如入有人之室 敬心常存也). 진씨(陳氏)는 『소학증주(小學增註)』를 저술한 진선(陳選)으로 보인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쇼의예:소의(少儀)에. 부사격 조사 ‘에’가 ‘예’로 교체된 것은 모음 충돌 회피가 아니라 순행 동화 현상이다. 이것을 모음 충돌 회피로 보면 ‘론어에(=論語에)’(3:6ㄴ)를 설명할 수 없다.
주002)
뷘:빈. 뷔-[虛]+ㄴ(관형사형 어미). 뷔다〉비다. 『소학언해』(3:17ㄱ)에도 ‘뷘’으로 나타난다. ‘뷔다[虛]’와 ‘뷔다[刈, 斷]’는 첫 음절이 각각 상성과 거성이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는 다음 예 외에는 ‘비다’가 보이지 않는다. ¶曠野 빈 드르히라〈월인석보 18:12ㄱ〉.
주003)
자보ᄃᆡ:잡되. 잡-[執]+오ᄃᆡ(연결 어미).
주004)
ᄃᆞ시:듯이. 관형사형 뒤에 쓰였으므로 부사성 의존 명사이다. 어간 뒤에 바로 나타날 때에는 어미로 처리한다.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과 ‘(-)ᄃᆞ시’가 다 나타나는데, 어느 것이 먼저 발생하였는지는 속단하기 어렵다. 그리고 중세 국어 문헌에서 ‘(-)ᄃᆞᆺ, (-)ᄃᆞ시’는 많이 보이지만 ‘(-)듯, (-)드시’의 예는 아주 드물다. ¶①金剛杵ㅅ 머리마다 브리 술위 두르듯 야〈월인석보 7:35ㄴ〉 ②새집과 살기 門이 별 흗드시 사니(草閣柴扉星散居)〈두시언해 초간본 25:23ㄱ〉.
주005)
지븨:집에. 집[家]+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주006)
드러가ᄃᆡ:들어가되. 들-[入]+어(연결 어미)+가-[去]+오ᄃᆡ. ‘가ᄃᆡ’의 ‘가-’는 본래 평성인데, 여기서는 상성으로 나타나 있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연결 어미 ‘-오ᄃᆡ/우ᄃᆡ’와 결합하면, ‘오, 우’는 탈락하고 어간 말음의 성조가 상성으로 실현된다.
주007)
ᄀᆞ티:같이. 여기서는 현대 국어와 같이 보조사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