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樂악記긔예 曰왈 君군子 姦간聲亂란色을 不블留류聰明며 淫음樂악慝특禮례를 不블接졉心심術슐며 惰타慢만邪샤辟벽之지氣긔를 不블設셜於어身신體톄야 使耳目목鼻비口구와 心심知디百體톄로 皆由유順슌正야 以이行其기義의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樂악記긔예 로 君군子 간샤 주001)
간샤ᄒᆞᆫ:
간사(奸邪)한. 원문의 ‘姦’을 번역한 것이다.
소리 주002)
소리:
소리. 『소학언해』(3:7ㄱ)에는 ‘소ᄅᆡ’로 적혀 있다. 이 책에도 ‘소ᄅᆡ’가 쓰였다(:13ㄱ). 15세기 문헌에서는 ‘소리’와 ‘소ᄅᆡ’가 다 쓰였는데, ‘소리’의 예가 압도적으로 많다. ¶①訓은 칠 씨오 民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훈민정음언해 1ㄱ〉 ②녯 귀로 소 드러 實相 得면〈월인석보 15:5ㄱ〉.

번역소학 권4:8ㄱ

와 雜잡亂란 비 주003)
비ᄎᆞᆯ:
빛을. 빛[色]+ᄋᆞᆯ(목적격 조사). 『소학언해』(3:7ㄱ)에는 ‘비ᄉᆞᆯ’로 나타난다. 원문의 ‘色’은 ‘눈에 보이는 모습’을 뜻한다.
드르며 주004)
드르며:
들으며. 듣-[聽, 聰]+으며(연결 어미). ‘드르며 보ᄆᆞᆯ ᄆᆞᅀᆞ매 두디 말며’가 『소학언해』(3:7ㄱ)에서는 ‘聰明에 머믈우디 말며’로 나타난다. ‘드르며 보ᄆᆞᆯ’의 원문은 ‘聰明’인데, ‘聰’은 ‘들음’을 뜻하고 ‘明’은 ‘봄’을 뜻한다.
보 주005)
보ᄆᆞᆯ:
봄을. 보는 것을. 보-[見, 明]+옴/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보-’는 원래 거성(1점)이지만, 여기의 ‘봄’은 상성(2점)이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매 주006)
ᄆᆞᅀᆞ매:
마음에. ᄆᆞᅀᆞᆷ[心]+애(부사격 조사).
두디 말며 주007)
말며:
말며. 『소학언해』(3:7ㄱ)에서는 ‘(머믈우디) 아니ᄒᆞ며’로 나타난다.
음란 풍류 주008)
푸ᇰ류:
풍류(風流). 음악 또는 악기 연주.
샤특 주009)
샤특:
사특(邪慝).
례도 주010)
례도:
예도(禮度). 예법과 법도.
 매 브티디 주011)
브티디:
붙이지. (마음에) 가까이하지. 븥-[接]+이(사동 접미사)+디(보조적 연결 어미).
아니며 게으르며 주012)
게으르며:
게으르며. 『소학언해』(3:7ㄱ)에는 ‘게으르고 플어디며’로 나타난다. 원문의 ‘惰慢’에는 ‘敬’과 대립하는 ‘소홀함, 함부로 함’의 뜻이 있다.
브 주013)
브져ᇰᄒᆞᆫ:
부정(不淨)한. 원문은 ‘邪辟’인데, 『소학언해』(3:7ㄱ)에서는 ‘샤곡ᄒᆞ고 괴벽ᄒᆞᆫ’으로 번역하였다. ‘不’은 『동국정운』에서 ‘·부ᇙ(3:2ㄴ), 부ᇢ/:부ᇢ(4:30ㄴ)’ 등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두 가지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첫째는 여기의 ‘브’는 원순모음화의 추세에 따른 과잉교정으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이 예는 원순모음화가 중세 국어 시기에 이미 시작되었음을 보여 준다는 사실이다. 둘째는 ‘不’의 동국정운식 한자음 ‘부ᇢ, :부ᇢ’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ㅅ, ㅈ’ 앞에서 ‘불(不)’의 ‘ㄹ’ 받침이 탈락한다고 믿고 있는데, ‘不’의 독음 ‘부ᇢ, 부ᇢ’은 그러한 통념을 의심하게 만든다. 즉 ‘ㅅ, ㅈ’ 앞에서는 ‘不’의 독음 중 ‘부ᇙ’이 아니라 ‘부ᇢ, :부ᇢ’와 짝을 이루는 전통음 ‘부’가 선택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확실한 근거를 찾기는 어렵다.
긔운 주014)
긔운:
기운(氣運).
모매 주015)
모매:
몸애. ‘몸’은 ‘身體’의 번역이다. ‘身體’를 『소학언해』(3:7ㄱ)에서는 ‘몸이며 얼굴에’로 번역하였는데, 그것은 축자역이다.
두디 주016)
두디:
두지. 지니지. 두-[設]+디(보조적 연결 어미). ‘두디’가 『소학언해』(3:7ㄱ)에서는 ‘베프디’로 바뀌었다. 대표훈을 번역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아니야 귀와 눈과 고콰 주017)
고콰:
코와. 고ㅎ[鼻](ㅎ말음체언)+과(접속 조사). 『소학언해』(3:7ㄱ)에서는 ‘코와’로 바뀌었다.
입과 매 혜아륨 주018)
혜아륨:
헤아림. 생각함. 혜아리-[思]+움(명사형 어미). ‘ᄆᆞᅀᆞ매 혜아륨’의 원문은 ‘心知’인데, 『소학언해』(3:7ㄱ)에서는 ‘ᄆᆞᄋᆞᆷ의 알옴’으로 번역하였다.
주019)
온:
온. 전부의. 중세 국어 시기에 거성의 ‘·온’은 [百]을, 상성의 ‘:온’은 ‘온, 모든’을 뜻하였다. 이 책의 ‘온’은 거성인데, 『소학언해』(3:7ㄱ)의 ‘온’은 분명치 않으나 상성(2점)으로 보인다. 이 책의 성조가 잘못 표시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온’은 형용사 ‘오-[全]’의 관형사형 ‘오’에서 변화한 것이다.
가짓 주020)
가짓:
가지의. 종류의. 가지[件]+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가지’는 성조에 따라 구별되었다. ‘가‧지(평-거)’는 [種類, 件]을, ‘‧가지(거-평)’는 [枝]를, ‘가지(평-평), ·가·지(거-거)’는 [茄子(채소의 한 종류)]를 뜻하였다. 한편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온 가짓’이 『소학언해』(3:7ㄱ)에서는 ‘온갓’으로 바뀌었다. 예는 풍부하다. ¶온갓 고지 옷곳호 녜 각노라 시니라〈남명집언해 상 8ㄱ〉. ‘가지’가 ‘갖’으로 축약된 것이다.
얼굴 주021)
얼굴:
몸. 중세 국어에서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ᄂᆞᆾ’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얼골〉얼굴.
여곰 주022)
ᄒᆡ여곰:
하여금. ᄒᆞ-+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곰(보조사).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ᄒᆡᅇᅧ’로 나타난다. 보조사 ‘곰’은 ‘금’으로 변하게 된다. ‘ᄒᆡ여곰’은 ‘ᄒᆞ여곰’으로도 표기되었다. ¶내 心中으로 여곰 심히 快足디 아니케 다〈두시언해 초, 5:35ㄴ〉. ‘ᄒᆡ여곰’이 부사격 조사 ‘로’ 뒤에 놓인 것은 ‘ᄒᆡ여’가 동사적 성격을 유지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와 다른 예도 있다. ¶能히 여곰 녀 나 서늘케 놋다〈두시언해 초간본 6:45ㄱ〉. 이런 경우의 ‘ᄒᆡ여’는 완전히 부사화한 것이다.
슌코 주023)
슌코:
순(順)하고. 슌(順)+ᄒᆞ-+고.
호 주024)
져ᇰ호ᄆᆞᆯ:
정(正)함을. 바름을.
조차 주025)
조차:
좇아. 따라서. 말미암아서. 좇-[由]+아(연결 어미). 『소학언해』(3:7ㄱ-ㄴ)에서는 ‘말믜암아’로 바뀌었다.
올 주026)
올ᄒᆞᆫ:
옳은. 『소학언해』(3:7ㄴ)에서는 ‘맛다ᇰᄒᆞᆫ’으로 바뀌었다.
이 욜 주027)
ᄒᆡ욜:
‘ᄒᆡ욜’은 일반적으로는 사동 형식으로 쓰인다. ‘ᄒᆡ-’가 ‘ᄒᆞ-’의 사동형이기 때문이다. ¶이티 그  降伏욜띠니라〈금강경언해 12ㄴ〉. 이 책의 ‘ᄒᆡ욜’은 ‘ᄒᆞ-’와 ‘-올’ 사이에 모음 충돌을 막기 위한 반자음 [j]가 개입한 것이다. ‘ᄒᆡ욜’이 『소학언해』(3:7ㄴ)에서는 ‘行홀’로 바뀌었다.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악기(樂記)」에서 이르되, 군자는 간사한 소리와 어지러운 모습을 듣고 보는 것을 마음에 두지 말며, 음란한 음악과 사특(邪慝)한 예도(禮道)를 마음에 붙이지 아니하며, 게으르며 부정(不淨)한 기운을 몸에 두지 아니하여, 귀와 눈과 코와 입과 마음에 생각함과 온 몸으로 하여금 다 순(順)하고 바름을 말미암아서 그 옳은 바를 행할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악기(樂記). 주석(소학집해) : 진씨(眞氏)가 말하였다. “군자가 스스로 함양하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니라, 안팎으로 번갈아 그 공부를 지극히 할 뿐이다. 그러므로 간사한 소리와 어지러운 색(色)을 귀와 눈에 담지 않는 것은 그 밖을 함양하는 것이고, 음란한 음악과 사특한 예(禮)를 마음에 접하게 하지 않는 것은 그 안을 함양하는 것이다. 밖으로 소리와 색(色)의 유혹이 없으면 안이 또한 바르게 되고, 안으로 음란한 음악과 사특한 예(禮)의 유혹이 없으면 밖도 또한 바르게 된다. 타만(惰嫚)한 기(氣)는 안에서 나오고, 사벽(邪僻)한 기(氣)는 밖에서 들어온다. 이 두 가지를 얻어서 몸에 지니지 않으면, 밖으로는 귀와 눈과 코와 입과 사지(四肢)와 온 몸이, 안으로는 심지(心知)가, 모두 순(順)하고 바름을 따라 그 의(義)를 행하게 되니, 안자(顔子)의 사물(四勿) 공부를 바랄 수 있을 것이다.”(眞氏曰 君子之所以自養者 無他 內外交致其功而已 故姦聲亂色 不留聰明者 所以養其外也 淫樂慝禮 不接心術者 所以養其內也 外無聲色之誘 則內亦正矣 內無淫慝之惑 則外亦正矣 惰嫚之氣 自內出者也 邪僻之氣 自外入者也 二者不得設於身體 則外而耳目鼻口 四肢百體 內而心知 皆由順正 以行其義 顔子四勿之功 可庶幾也). 진씨(眞氏)는 남송(南宋)의 진덕수(眞德秀: 1178~1235)이다. 주자(朱子)의 학통을 이어받았으며, 『대학연의(大學衍義)』, 『서산집(西山集)』 등을 저술하였다. ‘사물(四勿)’은 ‘비례물시(非禮勿視) 비례물청(非禮勿聽) 비례물언(非禮勿言) 비례물동(非禮勿動)’이다. 이 말은 『논어』 「안연편(顏淵篇)」에 나오며, 이 책(4:4ㄴ)에 실려 있다. 안연(顏淵)이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조목을 묻자 공자가 이렇게 답한 것이다. 주석의 안자(顔子)는 안연(顏淵)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간샤ᄒᆞᆫ:간사(奸邪)한. 원문의 ‘姦’을 번역한 것이다.
주002)
소리:소리. 『소학언해』(3:7ㄱ)에는 ‘소ᄅᆡ’로 적혀 있다. 이 책에도 ‘소ᄅᆡ’가 쓰였다(:13ㄱ). 15세기 문헌에서는 ‘소리’와 ‘소ᄅᆡ’가 다 쓰였는데, ‘소리’의 예가 압도적으로 많다. ¶①訓은 칠 씨오 民 百姓이오 音은 소리니〈훈민정음언해 1ㄱ〉 ②녯 귀로 소 드러 實相 得면〈월인석보 15:5ㄱ〉.
주003)
비ᄎᆞᆯ:빛을. 빛[色]+ᄋᆞᆯ(목적격 조사). 『소학언해』(3:7ㄱ)에는 ‘비ᄉᆞᆯ’로 나타난다. 원문의 ‘色’은 ‘눈에 보이는 모습’을 뜻한다.
주004)
드르며:들으며. 듣-[聽, 聰]+으며(연결 어미). ‘드르며 보ᄆᆞᆯ ᄆᆞᅀᆞ매 두디 말며’가 『소학언해』(3:7ㄱ)에서는 ‘聰明에 머믈우디 말며’로 나타난다. ‘드르며 보ᄆᆞᆯ’의 원문은 ‘聰明’인데, ‘聰’은 ‘들음’을 뜻하고 ‘明’은 ‘봄’을 뜻한다.
주005)
보ᄆᆞᆯ:봄을. 보는 것을. 보-[見, 明]+옴/움(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보-’는 원래 거성(1점)이지만, 여기의 ‘봄’은 상성(2점)이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하는 일반적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주006)
ᄆᆞᅀᆞ매:마음에. ᄆᆞᅀᆞᆷ[心]+애(부사격 조사).
주007)
말며:말며. 『소학언해』(3:7ㄱ)에서는 ‘(머믈우디) 아니ᄒᆞ며’로 나타난다.
주008)
푸ᇰ류:풍류(風流). 음악 또는 악기 연주.
주009)
샤특:사특(邪慝).
주010)
례도:예도(禮度). 예법과 법도.
주011)
브티디:붙이지. (마음에) 가까이하지. 븥-[接]+이(사동 접미사)+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12)
게으르며:게으르며. 『소학언해』(3:7ㄱ)에는 ‘게으르고 플어디며’로 나타난다. 원문의 ‘惰慢’에는 ‘敬’과 대립하는 ‘소홀함, 함부로 함’의 뜻이 있다.
주013)
브져ᇰᄒᆞᆫ:부정(不淨)한. 원문은 ‘邪辟’인데, 『소학언해』(3:7ㄱ)에서는 ‘샤곡ᄒᆞ고 괴벽ᄒᆞᆫ’으로 번역하였다. ‘不’은 『동국정운』에서 ‘·부ᇙ(3:2ㄴ), 부ᇢ/:부ᇢ(4:30ㄴ)’ 등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두 가지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첫째는 여기의 ‘브’는 원순모음화의 추세에 따른 과잉교정으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이 예는 원순모음화가 중세 국어 시기에 이미 시작되었음을 보여 준다는 사실이다. 둘째는 ‘不’의 동국정운식 한자음 ‘부ᇢ, :부ᇢ’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ㅅ, ㅈ’ 앞에서 ‘불(不)’의 ‘ㄹ’ 받침이 탈락한다고 믿고 있는데, ‘不’의 독음 ‘부ᇢ, 부ᇢ’은 그러한 통념을 의심하게 만든다. 즉 ‘ㅅ, ㅈ’ 앞에서는 ‘不’의 독음 중 ‘부ᇙ’이 아니라 ‘부ᇢ, :부ᇢ’와 짝을 이루는 전통음 ‘부’가 선택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확실한 근거를 찾기는 어렵다.
주014)
긔운:기운(氣運).
주015)
모매:몸애. ‘몸’은 ‘身體’의 번역이다. ‘身體’를 『소학언해』(3:7ㄱ)에서는 ‘몸이며 얼굴에’로 번역하였는데, 그것은 축자역이다.
주016)
두디:두지. 지니지. 두-[設]+디(보조적 연결 어미). ‘두디’가 『소학언해』(3:7ㄱ)에서는 ‘베프디’로 바뀌었다. 대표훈을 번역에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주017)
고콰:코와. 고ㅎ[鼻](ㅎ말음체언)+과(접속 조사). 『소학언해』(3:7ㄱ)에서는 ‘코와’로 바뀌었다.
주018)
혜아륨:헤아림. 생각함. 혜아리-[思]+움(명사형 어미). ‘ᄆᆞᅀᆞ매 혜아륨’의 원문은 ‘心知’인데, 『소학언해』(3:7ㄱ)에서는 ‘ᄆᆞᄋᆞᆷ의 알옴’으로 번역하였다.
주019)
온:온. 전부의. 중세 국어 시기에 거성의 ‘·온’은 [百]을, 상성의 ‘:온’은 ‘온, 모든’을 뜻하였다. 이 책의 ‘온’은 거성인데, 『소학언해』(3:7ㄱ)의 ‘온’은 분명치 않으나 상성(2점)으로 보인다. 이 책의 성조가 잘못 표시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온’은 형용사 ‘오-[全]’의 관형사형 ‘오’에서 변화한 것이다.
주020)
가짓:가지의. 종류의. 가지[件]+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가지’는 성조에 따라 구별되었다. ‘가‧지(평-거)’는 [種類, 件]을, ‘‧가지(거-평)’는 [枝]를, ‘가지(평-평), ·가·지(거-거)’는 [茄子(채소의 한 종류)]를 뜻하였다. 한편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온 가짓’이 『소학언해』(3:7ㄱ)에서는 ‘온갓’으로 바뀌었다. 예는 풍부하다. ¶온갓 고지 옷곳호 녜 각노라 시니라〈남명집언해 상 8ㄱ〉. ‘가지’가 ‘갖’으로 축약된 것이다.
주021)
얼굴:몸. 중세 국어에서 ‘얼굴’은 [身, 體]를 뜻하고 ‘ᄂᆞᆾ’은 [顔]을 뜻하고 ‘낯’은 [箇]를 뜻한다. 얼골〉얼굴.
주022)
ᄒᆡ여곰:하여금. ᄒᆞ-+이(사동 접미사)+어(연결 어미)+곰(보조사).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는 ‘ᄒᆡᅇᅧ’로 나타난다. 보조사 ‘곰’은 ‘금’으로 변하게 된다. ‘ᄒᆡ여곰’은 ‘ᄒᆞ여곰’으로도 표기되었다. ¶내 心中으로 여곰 심히 快足디 아니케 다〈두시언해 초, 5:35ㄴ〉. ‘ᄒᆡ여곰’이 부사격 조사 ‘로’ 뒤에 놓인 것은 ‘ᄒᆡ여’가 동사적 성격을 유지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와 다른 예도 있다. ¶能히 여곰 녀 나 서늘케 놋다〈두시언해 초간본 6:45ㄱ〉. 이런 경우의 ‘ᄒᆡ여’는 완전히 부사화한 것이다.
주023)
슌코:순(順)하고. 슌(順)+ᄒᆞ-+고.
주024)
져ᇰ호ᄆᆞᆯ:정(正)함을. 바름을.
주025)
조차:좇아. 따라서. 말미암아서. 좇-[由]+아(연결 어미). 『소학언해』(3:7ㄱ-ㄴ)에서는 ‘말믜암아’로 바뀌었다.
주026)
올ᄒᆞᆫ:옳은. 『소학언해』(3:7ㄴ)에서는 ‘맛다ᇰᄒᆞᆫ’으로 바뀌었다.
주027)
ᄒᆡ욜:‘ᄒᆡ욜’은 일반적으로는 사동 형식으로 쓰인다. ‘ᄒᆡ-’가 ‘ᄒᆞ-’의 사동형이기 때문이다. ¶이티 그  降伏욜띠니라〈금강경언해 12ㄴ〉. 이 책의 ‘ᄒᆡ욜’은 ‘ᄒᆞ-’와 ‘-올’ 사이에 모음 충돌을 막기 위한 반자음 [j]가 개입한 것이다. ‘ᄒᆡ욜’이 『소학언해』(3:7ㄴ)에서는 ‘行홀’로 바뀌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