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음식지절(明飮食之節)
  • 명음식지절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음식지절 001


毋모揚양飯반며 飯반黍셔호 毋모以이箸뎌며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바블헤젓디 주001)
헤젓디:
헤젓지. 헤-[披]+젓-[攪, 搖]+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말며 기장 바블 머고 주002)
머고ᄃᆡ:
먹되. 먹-[食]+오ᄃᆡ(연결 어미).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른 ‘머구ᄃᆡ’가 쓰이다가, 『구급방언해』 이후에 ‘머고ᄃᆡ’가 나타난다. ¶①師子ㅣ 삿기 져거도 자바 머구 드틀만 너기며〈월인석보 23:44ㄴ〉 ② 술로  돈 프러 머고  네 다 번 머그라〈구급방언해 상 86ㄴ〉.
주003)
져:
저(箸). 젓가락.
말며 주004)
말며:
말며. 원문의 ‘毋’의 독음이 ‘모’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23ㄴ)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차이에는 예외가 없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밥을 헤젓지 말며 기장밥을 먹되 젓가락으로 먹지 말며,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해) : 양(揚: 휘저음)은 뜨거운 기운을 흩는 것이니, (휘젓지 말라는 것은) 급히 먹고자 하는 것을 혐의한 것이다. 젓가락을 쓰지 말라는 것은 숟가락의 편리함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다.(揚謂散其熱氣 嫌於欲食之急也 毋以箸 貴其匕之便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헤젓디:헤젓지. 헤-[披]+젓-[攪, 搖]+디(보조적 연결 어미).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주002)
머고ᄃᆡ:먹되. 먹-[食]+오ᄃᆡ(연결 어미).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른 ‘머구ᄃᆡ’가 쓰이다가, 『구급방언해』 이후에 ‘머고ᄃᆡ’가 나타난다. ¶①師子ㅣ 삿기 져거도 자바 머구 드틀만 너기며〈월인석보 23:44ㄴ〉 ② 술로  돈 프러 머고  네 다 번 머그라〈구급방언해 상 86ㄴ〉.
주003)
져:저(箸). 젓가락.
주004)
말며:말며. 원문의 ‘毋’의 독음이 ‘모’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3:23ㄴ)에서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차이에는 예외가 없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