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4
  • 번역소학 제4권
  • 내편(內篇)○제3편 경신(敬身)○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 명심술지요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심술지요 001


居거處쳐恭며 執집事敬며 與여人忠을 雖슈之지夷이狄뎍이라두 不블可가棄기也야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샹해 주001)
샤ᇰ해:
늘. 항상. 평상시에. 한자 ‘常’이 노출된 ‘常해’로도 쓰였다. ¶내 常해  확실 의론이라 노라〈소학언해 6:46ㄴ〉. 중세 국어 시기에는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닌 ‘녜’와 ‘長常’이 널리 쓰였고, 한글로 표기된 ‘’도 쓰였다. ¶①나 죠고맛 거슬 주어시든 녜 供養지이다〈석보상절 6:44ㄴ〉 ②부텨는 三界 밧긔 버서나샤 長常 便安거시〈석보상절 3: 20ㄴ〉 ③一生애 깃그며 怒호  眞性 믿놋다〈두시언해 초간본 8:28ㄱ〉. ‘해’의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반시 해 너과  가지로 이셔셔〈장수경언해 31ㄴ〉.
이쇼매 주002)
이쇼매:
있음에. 이시-[在]+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샤ᇰ해 이쇼매’는 『소학언해』(3:4ㄴ)에서 ‘居處【居 뎌ᇰ여 이심이오 處 잠 이심이라】 홈애’로 바뀌었다. ‘샤ᇰ해 이쇼매’는 『소학언해』의 협주 내용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온며 주003)
온고ᇰᄒᆞ며:
온공(溫恭)하며. 공손하며. 『소학언해』(3:4ㄴ)에는 ‘엄고ᇰᄒᆞ며’로 적혀 있다. ‘엄고ᇰ’은 ‘嚴恭’이다.
호매 주004)
호매:
함에. ᄒᆞ-[爲]+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일 호매’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일 잡음애’로 바뀌었다. 원문의 ‘執’을 축자역한 것이다. ‘호매’는 ‘ᄒᆞ요매’와 공존하였다. ¶行요매 붓그러우믈 두며〈내훈 1:13ㄱ〉. 두 명사형 ‘홈, ᄒᆞ욤’은 모음 충돌을 막는 방법의 차이를 보여 준다. 전자는 ‘ㆍ’를 탈락시킨 것이고, 후자는 반자음 [j]를 개입시킨 것이다.
공경 주005)
공경:
공경(恭敬). 두 글자의 종성이 ‘ㆁ’이 아닌 ‘ㅇ’으로 적혀 있다. 그 다음 줄의 ‘졍셩’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원문의 한자음은 ‘고ᇰ’과 ‘겨ᇰ’으로 나타난다.
며 사 주006)
사ᄅᆞᆷ:
남. 바로 앞의 ‘ᄂᆞᄆᆡ게’와 달리 여기서는 ‘人’을 ‘사ᄅᆞᆷ’으로 번역하였다.
졉호매 주007)
ᄃᆡ졉호매:
대접함에. 『소학언해』(3:4ㄴ)에서는 ‘덥을어(=더불어)’로 바뀌었다.
졍셩도이 주008)
졍셩도이:
정성되게. 정성스럽게. 졍셩+도이(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어미). ‘졍셩도이’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ᄆᆞᄋᆞᆷᄭᆞ지’로 바뀌었다. 여기서도 바로 앞의 ‘공경’과 같이 두 글자의 종성이 ‘ㆁ’이 아닌 ‘ㅇ’으로 적혀 있다. 형용사 파생 접미사 ‘-도이-’는 ‘-ᄃᆞᄫᆡ/ᄃᆞᆸ-’의 발달형인 ‘-되-’의 이표기이다.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여기서 발달하였다.
호 주009)
호ᄆᆞᆯ:
함을. ᄒᆞ-[爲]+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비록 주010)
됫:
오랑캐의. 되[夷, 狄, 蠻]+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다 주011)
다ᄒᆡ:
땅에. ᄯᅡㅎ[地](ㅎ말음체언)+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ㅼ’이 ‘ㄷ’으로 표기된 것은 ‘됫’의 ‘ㅅ’과 겹치기 때문이다. ‘됫 다ᄒᆡ’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되게’로 바뀌었다. ‘되게’의 기원적 구조는 ‘되[夷, 狄, 蠻]+Ø(관형격 조사)+그ᇰ(처소를 뜻하는 의존 명사)+에(부사격 조사)’이다. 이 책의 ‘됫 다ᄒᆡ’가 『소학언해』에서 ‘되게’로 바뀐 것은 ‘게’의 형태적 기원을 잘 보여 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가도 주012)
가도:
가도. 가-[去, 之]+아도(연결 어미). ‘-아도’는 ‘아(연결 어미)+도(보조사)’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비록 됫 다 가도’의 원문은 ‘雖之夷狄이라두’인데, 보조사 ‘도’ 대신 ‘두’가 쓰인 것이 특이하다. ‘ㅗ’ 대신 ‘ㅜ’가 쓰인 것인데, 현대 경기도 방언의 특징이 이 시기 문헌에서 보이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①雖슈婢비妾쳡이라두 衣의服복飮음食식을 必필後후長者쟈ㅣ니라〈번역소학 3:17ㄴ〉 ②雖蠻貊之邦이라두 行矣의어니와〈번역소학 4:5ㄱ〉 ③비록 바미라두 모로매 니러 옷 닙고〈번역소학 4:18ㄱ〉. ‘비록 됫 다 가도’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비록 되게 가도’로 바뀌었다.
리디 몯 주013)
몯ᄒᆞᆯ:
못할. ‘ᄇᆞ리디 몯ᄒᆞᆯ 거시니라’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可히 ᄇᆞ리디 아닐 디니라’로 바뀌었다. ‘몯ᄒᆞᆯ’을 ‘아닐’로 교체한 것이다.
거시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평상시에 거처(居處)함에 공(恭)하며 일을 함에 경(敬)하며 남을 대접함에 정성스럽게 하는 태도를 비록 오랑캐 땅에 가더라도 버려서는 안 되느니라.
〈해설〉 출전 : 논어 자로편(子路篇). 주석(소학집해) : 지(之)는 감(往)이다. 이(夷)는 동쪽 오랑캐(東夷)이고 적(狄)은 북쪽 오랑캐(北狄)이다.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공(恭)은 주로 용모에 관한 것이고 경(敬)은 주로 일에 관한 것이니, 공(恭)은 겉모습에 드러나고 경(敬)은 주로 마음속에 존재한다. 이적(夷狄) 땅에 가더라도 버려서는 안 된다는 것은 굳세게 지켜서 잃지 말기를 권면한 것이다.”(之往也 夷東夷 狄北狄 朱子曰 恭主容 敬主事 恭見於外 敬主乎中 之夷狄不可棄 勉其固守而勿失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샤ᇰ해:늘. 항상. 평상시에. 한자 ‘常’이 노출된 ‘常해’로도 쓰였다. ¶내 常해  확실 의론이라 노라〈소학언해 6:46ㄴ〉. 중세 국어 시기에는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닌 ‘녜’와 ‘長常’이 널리 쓰였고, 한글로 표기된 ‘’도 쓰였다. ¶①나 죠고맛 거슬 주어시든 녜 供養지이다〈석보상절 6:44ㄴ〉 ②부텨는 三界 밧긔 버서나샤 長常 便安거시〈석보상절 3: 20ㄴ〉 ③一生애 깃그며 怒호  眞性 믿놋다〈두시언해 초간본 8:28ㄱ〉. ‘해’의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반시 해 너과  가지로 이셔셔〈장수경언해 31ㄴ〉.
주002)
이쇼매:있음에. 이시-[在]+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샤ᇰ해 이쇼매’는 『소학언해』(3:4ㄴ)에서 ‘居處【居 뎌ᇰ여 이심이오 處 잠 이심이라】 홈애’로 바뀌었다. ‘샤ᇰ해 이쇼매’는 『소학언해』의 협주 내용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주003)
온고ᇰᄒᆞ며:온공(溫恭)하며. 공손하며. 『소학언해』(3:4ㄴ)에는 ‘엄고ᇰᄒᆞ며’로 적혀 있다. ‘엄고ᇰ’은 ‘嚴恭’이다.
주004)
호매:함에. ᄒᆞ-[爲]+옴(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일 호매’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일 잡음애’로 바뀌었다. 원문의 ‘執’을 축자역한 것이다. ‘호매’는 ‘ᄒᆞ요매’와 공존하였다. ¶行요매 붓그러우믈 두며〈내훈 1:13ㄱ〉. 두 명사형 ‘홈, ᄒᆞ욤’은 모음 충돌을 막는 방법의 차이를 보여 준다. 전자는 ‘ㆍ’를 탈락시킨 것이고, 후자는 반자음 [j]를 개입시킨 것이다.
주005)
공경:공경(恭敬). 두 글자의 종성이 ‘ㆁ’이 아닌 ‘ㅇ’으로 적혀 있다. 그 다음 줄의 ‘졍셩’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원문의 한자음은 ‘고ᇰ’과 ‘겨ᇰ’으로 나타난다.
주006)
사ᄅᆞᆷ:남. 바로 앞의 ‘ᄂᆞᄆᆡ게’와 달리 여기서는 ‘人’을 ‘사ᄅᆞᆷ’으로 번역하였다.
주007)
ᄃᆡ졉호매:대접함에. 『소학언해』(3:4ㄴ)에서는 ‘덥을어(=더불어)’로 바뀌었다.
주008)
졍셩도이:정성되게. 정성스럽게. 졍셩+도이(형용사 파생 접미사)+이(부사형 어미). ‘졍셩도이’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ᄆᆞᄋᆞᆷᄭᆞ지’로 바뀌었다. 여기서도 바로 앞의 ‘공경’과 같이 두 글자의 종성이 ‘ㆁ’이 아닌 ‘ㅇ’으로 적혀 있다. 형용사 파생 접미사 ‘-도이-’는 ‘-ᄃᆞᄫᆡ/ᄃᆞᆸ-’의 발달형인 ‘-되-’의 이표기이다. ‘-ᄃᆞ-’ 계열의 형용사 파생 접미사에는 ‘--, --, --, --’이 있었다. 선행음과 후행음이 자음이냐 모음이냐에 따라서 선택된다.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모음과 자음 사이에서는 ‘--’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는 ‘--’가 쓰인다. 단 부사 파생 접미사 ‘-이’ 앞에서는 ‘--, --’이 쓰인다. 자음 앞의 ‘--, --’은 ‘--, --’으로 귀착된다. 현대 국어의 접미사 ‘-답-, -롭-, -되-’는 여기서 발달하였다.
주009)
호ᄆᆞᆯ:함을. ᄒᆞ-[爲]+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주010)
됫:오랑캐의. 되[夷, 狄, 蠻]+ㅅ(관형격 조사). 중세 국어의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ㅣ’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높임의 대상인 체언 또는 무정 명사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11)
다ᄒᆡ:땅에. ᄯᅡㅎ[地](ㅎ말음체언)+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ㅼ’이 ‘ㄷ’으로 표기된 것은 ‘됫’의 ‘ㅅ’과 겹치기 때문이다. ‘됫 다ᄒᆡ’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되게’로 바뀌었다. ‘되게’의 기원적 구조는 ‘되[夷, 狄, 蠻]+Ø(관형격 조사)+그ᇰ(처소를 뜻하는 의존 명사)+에(부사격 조사)’이다. 이 책의 ‘됫 다ᄒᆡ’가 『소학언해』에서 ‘되게’로 바뀐 것은 ‘게’의 형태적 기원을 잘 보여 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주012)
가도:가도. 가-[去, 之]+아도(연결 어미). ‘-아도’는 ‘아(연결 어미)+도(보조사)’가 어미로 굳어진 것이다. ‘비록 됫 다 가도’의 원문은 ‘雖之夷狄이라두’인데, 보조사 ‘도’ 대신 ‘두’가 쓰인 것이 특이하다. ‘ㅗ’ 대신 ‘ㅜ’가 쓰인 것인데, 현대 경기도 방언의 특징이 이 시기 문헌에서 보이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것이다. ¶①雖슈婢비妾쳡이라두 衣의服복飮음食식을 必필後후長者쟈ㅣ니라〈번역소학 3:17ㄴ〉 ②雖蠻貊之邦이라두 行矣의어니와〈번역소학 4:5ㄱ〉 ③비록 바미라두 모로매 니러 옷 닙고〈번역소학 4:18ㄱ〉. ‘비록 됫 다 가도’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비록 되게 가도’로 바뀌었다.
주013)
몯ᄒᆞᆯ:못할. ‘ᄇᆞ리디 몯ᄒᆞᆯ 거시니라’가 『소학언해』(3:4ㄴ)에서는 ‘可히 ᄇᆞ리디 아닐 디니라’로 바뀌었다. ‘몯ᄒᆞᆯ’을 ‘아닐’로 교체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