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44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44


[선우 태자의 보시행 44]
그 리 깃거 누늘 앳다가 주001)
다:
‘눈을 쏘아 보다’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드러가 父王  내 샤니미 善友太子ㅣ러시다 王이 닐오 어린 거시 귓것 들여 미친 말 다 善友太子 바래 드러가 몯도라왯니 네 엇뎨 빌

월인석보 22:59ㄴ

머글 싸 太子ㅣ라 다 그 리 닐오 고디옷 아니 듣거시 번 가 보쇼셔 王이 즉재 가보니 善友太子 알오 주002)
알오:
‘ㅇ’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야 한다. 중세 문헌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ㅇ’에 두 종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어두음이 모음임을 표시하거나 어중에서 두 모음 사이에 사용되어 서로 다른 음절에 속함을 표시하는 소극적인 기능을 가진 것이다. 둘째는 보다 적극적인 기능을 가진 것이다. 가령 ‘알-[知]’의 활용형 ‘알어늘, 알오’는 ‘*알거늘, *알고’ 등으로부터의 변화인데, 15세기 정서법의 규정에 비추어 보아 ‘ㄹ’로 하여금 종성의 위치에 머물러 있도록 막고 있는 힘은 ‘ㅇ’이 하나의 자음인 데서 생기는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두려 닐오 波羅㮈王이 이 일옷 드르시면 날 외오 너기샤미 젹디 아니시리라 고 善友太子 곧 나

월인석보 22:60ㄱ

懺謝 주003)
참사(懺謝):
참회하여 사과함.
호 주004)
내:
‘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 속격형은 평성.
實로 주005)
실(實)로:
참으로.
몰라호다【懺謝 懺悔 주006)
참회(懺悔):
참고 견딘다는 뜻. 과거의 죄를 뉘우쳐 부처, 보살, 스승, 대중 등에게 고백하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참고 용서해 주기를 청함.
야 외오호다 주007)
외오다:
벗어나게 하다.
씨라】
太子ㅣ 닐오 므던시니다 주008)
므던다:
무던하다.
날 爲야 쇼 치던 사 이받고 주009)
이받다:
공궤하다. 대접하다. 윗사람에게 음식을 드리다. 이바지하다.
주쇼셔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44]
그 딸이 기뻐 눈을 쏘아보다가 들어가 부왕께 아뢰되 “내 스승이 선우태자이시었습니다.”
왕이 이르되 “어리석은 것이 귀신 들려 미친 말을 한다. 선우태자는 바다에 들어가 못 돌아왔으니 너 어찌 빌어먹을 사람을 태자라고 하느냐.” 그 딸이 이르되 곧이 아니 들으시거든 한번 가 보소서. 왕이 즉시 가보니 선우태자인 것을 알고 두려워하여 이르되 “파라내왕이 이 일곳 들으시면 날 그릇되게 여기심이 적지 아니 하실 것이라” 하고 선우태자께 곧 나아가 참회하여 사과하되 “내 참으로 몰랐었습니다.【참사는 참회하여 벗어나고 싶습니다 하는 것이다】 태자가 이르되 “무던하십니다. 날 위해서 소 치던 사람을 대접하고 주십시오.”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눈을 쏘아 보다’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주002)
알오:‘ㅇ’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야 한다. 중세 문헌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ㅇ’에 두 종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어두음이 모음임을 표시하거나 어중에서 두 모음 사이에 사용되어 서로 다른 음절에 속함을 표시하는 소극적인 기능을 가진 것이다. 둘째는 보다 적극적인 기능을 가진 것이다. 가령 ‘알-[知]’의 활용형 ‘알어늘, 알오’는 ‘*알거늘, *알고’ 등으로부터의 변화인데, 15세기 정서법의 규정에 비추어 보아 ‘ㄹ’로 하여금 종성의 위치에 머물러 있도록 막고 있는 힘은 ‘ㅇ’이 하나의 자음인 데서 생기는 것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주003)
참사(懺謝):참회하여 사과함.
주004)
내:‘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 속격형은 평성.
주005)
실(實)로:참으로.
주006)
참회(懺悔):참고 견딘다는 뜻. 과거의 죄를 뉘우쳐 부처, 보살, 스승, 대중 등에게 고백하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참고 용서해 주기를 청함.
주007)
외오다:벗어나게 하다.
주008)
므던다:무던하다.
주009)
이받다:공궤하다. 대접하다. 윗사람에게 음식을 드리다. 이바지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