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선우 태자의 보시행[본생담]
  • 선우 태자의 보시행 34
메뉴닫기 메뉴열기

선우 태자의 보시행 34


[선우 태자의 보시행 34]
그 쇼 치 사미 뒤헤 오다가 보고 무로

월인석보 22:52ㄱ

 네 어 사민다 善友 주001)
선우(善友):
선지식, 선친우.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나와 마음을 같이하여 선행을 하는 이.
주002)
ㅣ:
(일부 받침 없는 체언류 뒤에 붙어) 이/가(조사).
너교 이제 올야로 주003)
올야로:
옳 -+-은 -+- 야 -+ -으로.
니르면 주004)
니르면:
이르면. ‘이르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닐-’로 나타난다.
다가 내 주005)
앗:
아우.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가운데 ‘와’를 제외한 조사 앞에서 나타나며, 휴지(休止) 앞에서나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는 ‘아’로 나타난다.
受苦 주006)
수고(受苦):
일을 하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씀. 또는 그런 어려움.
리라 야 닐오 나 빌머 주007)
빌머:
빌어먹을. 빌먹다 〉 빌어먹다(남에게 구걸하여 거저 얻어먹다).
盲眼이로라 주008)
쇼:
소.
치 사미 모 주009)
사미 모:
사람이 몸을. 사람-+-이 몸-+-을.
두루 보니 주010)
상(相):
얼굴이나 체격의 됨됨이.
다 주011)
다:
다르므로. 다르기에. 다르-+-ㄹ. ‘-ㄹ’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기에. -므로’를 나타내는 어미.
닐오 내 지비 주012)
지비:
집이. 집+-이.
갓가니 주013)
갓가니:
가까우니. 가깝-+-오니.
너를 供養 주014)
공양(供養):
공시. 공급. 음식, 옷 따위를 부모, 스승, 죽은 이 등에게 공급하여 자양한다는 뜻.
호리라 고 려 지븨 주015)
지븨:
집+-의. 집에.
도라와 주016)
도라와:
돌-+-아-+-와.
種種

월인석보 22:52ㄴ

飮食 이받고 집 사 주017)
사:
여기에서의 ‘’은 여격으로 쓰인 것이다.
警戒호 주018)
:
(모음 ‘ㅏ, ㅓ, ㅗ, ㅜ’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어) ‘-되’.
이 사 供養 날와 주019)
날와:
나와. 나-+-와(‘ㄹ’ 탈락).
달이 주020)
달이:
달리. 다르게.
말라 주021)
:
한(관형사).
리 주022)
리:
[月]+이.
디나거늘 주023)
디나거늘:
지나거늘. ㄷ=ㅈ(구개음화 현상) 디-〉지.
그 지비 잇비 주024)
잇비:
고단히, 피곤하게.
너겨 닐오 주025)
닐오:
이르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닐-’로 나타난다. ‘닐-+-오’.
지비 가며디 주026)
가며디:
부요하지. 재산이 넉넉하고 많지. ‘가멸다’는 ‘가멸다’임.
몯니 어드리 주027)
어드러:
어디로. 어떻게.
長常 주028)
장상(長常):
같은 말. 늘.
이 盲眼이 供養 주029)
공양(供養):
① 웃어른을 모시어 음식 이바지를 함. ②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나 죽은 이의 영혼에게 음식, 꽃 따위를 바치는 일. 또는 그 음식. ③ 절에서, 음식을 먹는 일.
려뇨 주030)
-려뇨: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의문사와 함께 쓰여 ‘-려는가’.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선우 태자의 보시행 34]
그때 소 치는 사람이 뒤에 오다가 보고 묻되 네가 어떤 사람인가? 선우가 생각하되 이제 옳은 양으로 이르면 만일 내 아우가 수고하리라 하여 이르되 “나는 빌어먹는 맹안이다” 소 치는 사람이 몸을 두루 보니 얼굴이 다르므로 이르되 내 집이 가까우니 “너를 공양하겠다.” 하고, 데리고 집에 돌아와 여러 가지 음식을 대접하고 집 사람에게 경계하되 “이 사람 공양을 나와 달리 말라. 한 달이 지나거늘 그 집이 고단히 여겨 이르되 집이 재산이 넉넉하지 못하니 어떻게 늘 이 맹안이를 공양하겠는가”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선우(善友):선지식, 선친우. 부처님의 정도를 가르쳐보여 좋은 이익을 얻게 하는 스승이나 친구. 나와 마음을 같이하여 선행을 하는 이.
주002)
ㅣ:(일부 받침 없는 체언류 뒤에 붙어) 이/가(조사).
주003)
올야로:옳 -+-은 -+- 야 -+ -으로.
주004)
니르면:이르면. ‘이르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닐-’로 나타난다.
주005)
앗:아우.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가운데 ‘와’를 제외한 조사 앞에서 나타나며, 휴지(休止) 앞에서나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는 ‘아’로 나타난다.
주006)
수고(受苦):일을 하느라고 힘을 들이고 애를 씀. 또는 그런 어려움.
주007)
빌머:빌어먹을. 빌먹다 〉 빌어먹다(남에게 구걸하여 거저 얻어먹다).
주008)
쇼:소.
주009)
사미 모:사람이 몸을. 사람-+-이 몸-+-을.
주010)
상(相):얼굴이나 체격의 됨됨이.
주011)
다:다르므로. 다르기에. 다르-+-ㄹ. ‘-ㄹ’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기에. -므로’를 나타내는 어미.
주012)
지비:집이. 집+-이.
주013)
갓가니:가까우니. 가깝-+-오니.
주014)
공양(供養):공시. 공급. 음식, 옷 따위를 부모, 스승, 죽은 이 등에게 공급하여 자양한다는 뜻.
주015)
지븨:집+-의. 집에.
주016)
도라와:돌-+-아-+-와.
주017)
사:여기에서의 ‘’은 여격으로 쓰인 것이다.
주018)
:(모음 ‘ㅏ, ㅓ, ㅗ, ㅜ’로 끝나는 어간 뒤에 붙어) ‘-되’.
주019)
날와:나와. 나-+-와(‘ㄹ’ 탈락).
주020)
달이:달리. 다르게.
주021)
:한(관형사).
주022)
리:[月]+이.
주023)
디나거늘:지나거늘. ㄷ=ㅈ(구개음화 현상) 디-〉지.
주024)
잇비:고단히, 피곤하게.
주025)
닐오:이르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닐-’로 나타난다. ‘닐-+-오’.
주026)
가며디:부요하지. 재산이 넉넉하고 많지. ‘가멸다’는 ‘가멸다’임.
주027)
어드러:어디로. 어떻게.
주028)
장상(長常):같은 말. 늘.
주029)
공양(供養):① 웃어른을 모시어 음식 이바지를 함. ②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나 죽은 이의 영혼에게 음식, 꽃 따위를 바치는 일. 또는 그 음식. ③ 절에서, 음식을 먹는 일.
주030)
-려뇨: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의문사와 함께 쓰여 ‘-려는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