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제22
인쇄 의견 제시
역주 월인석보 제22
역주 월인석보 제22

석보는 석가모니의 연보, 즉 그의 일대기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은 1446년(세종 28년)에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아들인 수양대군(후의 세조)이 불교 서적을 참고하여 한국어로 번역하여 편찬한 것이다. 1447년(세종 29년)에 세종은 《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곧 《월인천강지곡》이다. 1457년(세조 3년) 아들인 의경세자가 죽자 세조가 부왕 세종대왕과 의경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석보상절》과 《월인천강지곡》의 내용을 증보, 수정하여 1459년(세조 5년)에 간행한 것이 《월인석보》이다. 《월인석보》는 현재까지 발견된 것으로 보면, 이 책은 조선 전기 2대에 걸쳐 임금이 편찬·간행한 것으로 한국 최초로 불교 서적을 한국어로 번역한 책이다. 조선 전기 《훈민정음》 연구와 불교학 및 문헌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한재영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박사과정 졸업(문학박)

국어연구소(현 국립국어원) 연구원.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교수

동경외국어대학 외국어학부 동아시아과정 객원교수. 츠쿠바대학 초빙 외국인 연구원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Visiting Professor

현재 한신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KOREAN Ⅰ·Ⅱ·Ⅲ(영어판), 대한민국 문화부.(공저) 16세기 국어 구문의 연구, 신구문화사.

국어정서법,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공저) 국어생활, 법문사.(공저) 작문, 두산동아.(공저)

한국어 발음 교육, 한림출판사.(공저) 한국어 교수법, 태학사.(공저) 한국어 문법 교육, 태학사.(공저)

삶과 말과 글, 신구문화사.(공편저), 증보 한글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공저), 한국어학, 신구문화사(공저)

역주 원각경언해 권9.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역주서)

역주 월인석보 권22. 권23.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역주서)

‘중세국어 시제체계에 대한 관견’, ‘16세기 국어의 대우체계 연구’ 등 논문 다수.

역주위원

  • 월인석보 제22 : 한재영

  • 교열·윤문·색인위원

  • 월인석보 제22 : 박종국·홍현보
  • 편집위원

  • 위원장 : 박종국
  • 위원 : 강병식 김구진 김석득
  • 나일성 노원복 박병천
  • 오명준 이창림 이해철
  • 전상운 정태섭 차재경
  • 최기호 최홍식 한무희
  • 홍민표

역주 월인석보 제22을 내면서

우리 회가 추진하는 한글 고전역주사업은 1990년에 착수, 1991년부터 그 성과물을 내고 있는 사업으로, 그동안 역주하여 간행한 문헌과 책수는 ≪석보상절≫ 2책, ≪월인석보≫ 6책, ≪능엄경언해≫ 5책, ≪법화경언해≫ 7책, ≪원각경언해≫ 9책, ≪남명집언해≫ 2책,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 1책, ≪구급방언해≫ 2책, ≪금강경삼가해≫ 5책, ≪선종영가집언해≫ 2책, ≪육조법보단경언해≫ 3책. ≪구급간이방언해≫ 1책 등 모두 45책이다.

우리 회는 세종성왕 탄신 611돌인 올해를 맞아 한글고전역주사업으로 ≪역주 원각경언해≫ 1책을 펴내어 권10을 완간하고, ≪역주 구급간이방언해≫ 3책과, ≪역주 월인석보≫ 2책을 이어 펴내며, 새롭게 ≪역주 진언권공·삼단시식문 언해≫ 1책과 ≪역주 불설아미타경언해, 불정심다라니경언해≫를 묶어 1책으로 펴내어 모두 8책을 역주해 펴내기로 하였는데, 이번에 ≪역주 월인석보 제22≫를 간행한 것이다.

〈월인석보〉는 우리 회가 1992년부터 꾸준히 역주 간행하여 왔는데, 그동안 원간본 1, 2, 7, 8, 9, 10, 11, 12, 20권을 역주하여 출판한 바 있다. 올해 들어 우리 회는 삼성출판박물관에 제22, 23권이 소장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박물관장께 정중히 당부드린 바, 김종규 관장께서 흔쾌히 승낙하여 주심으로, 그 원본을 영인하여 부록으로 싣게 되었다. 이 자리를 빌어 깊이 감사드린다.

잘 알다시피 〈월인석보(月印釋譜)〉는 조선 세조가 돌아가신 부모님과 세조 3년(1457) 9월에 세상을 떠난 큰아들 도원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편하여 세조 5년(1459)에 발간한 것으로 추정하는 책이다. 모두 25권으로 된 목판본이다.

책의 체제는 〈용비어천가〉를 본떠서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석보상절〉을 설명 부분으로 하여 합편하였는데, 합편에서는 문장과 〈석보상절〉의 권차에 상당한 수정을 하였다. 특히 문장 표기에 있어서 〈석보상절〉에서는 우리 토박이말로 되어 있던 것을 이 〈월인석보〉에서는 한자말로 상당한 부분을 바꿔 놓았다. 전체 문장의 표기는 거의 완벽하게 연철(連綴) 표기이나 몇 개의 분철(分綴) 표기가 보인다.

이 책은 〈석보상절〉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산문(散文) 자료일 뿐만 아니라 15세기의 언어와 서지학 연구 등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월인석보〉 권제1 앞 ‘어제월인석보 서’ 앞에 ‘석보상절 서’와 ‘훈민정음언해’가 실려 있어서 그 가치가 더욱 크다. 이번에 역주하여 펴내는 월인석보 제22는 역주자의 선택에 따라 편집 체제를 조금 달리하였으나, 독자에게는 읽기가 더욱 편리하리라 믿는다.

이번에 우리 회에서 역주하여 출판하는 〈월인석보 제22〉는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된 목판본으로서 보물 745-7호(월인석보 22)로 지정된 귀중한 자료이다. 이 자리를 빌어 이 자료를 영인하도록 허락하여 주신 삼성출판박물관 김종규 관장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아울러 이 책의 역주를 담당한 한신대학교 한재영 교수님과 본 역주 사업을 위하여 지원해 준 교육과학기술부에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이 책의 발간에 여러모로 수고하여 주신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08년 12월 20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 박종국

일러두기

1. 역주 목적

세종대왕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이후, 언해 사업이 활발히 전개되어 우리 말글로 기록된 다수의 언해류 고전과 한글 관계 문헌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나, 말이란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이어서 15, 16세기의 우리말을 연구하는 전문학자가 아닌 다른 분야 학자나 일반인들은 이를 읽고 이해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현대어로 풀이와 주석을 곁들여 도움을 줌으로써 이 방면의 지식을 쌓으려는 일반인들에게 필독서가 되게 함은 물론이고, 우리 겨레의 얼이 스며 있는 옛 문헌의 접근을 꺼려하는 젊은 학도들에게 중세국어 국어국문학 연구 및 우리말 발달사 연구 등에 더욱 관심을 두게 하며, 나아가 주체성 있는 겨레 문화를 이어가는 데 이바지하고자 함에 역주의 목적이 있다.

2. 편찬 방침

(1) 이 〈월인석보 제22〉 역주는 삼성출판박물관 소장본을 저본으로 하였고, 축소 영인하여 뒤에 실었다. 이 책은 세조 때 처음으로 간행된 본을 바탕으로, 복각하여 간행한 중간본이며, 책의 크기는 가로 22.2㎝, 세로 32㎝정도이다. 간행된 때는 정확치 않지만 희방사, 갑사 무량굴 등에서 복각한 것과 비교하여 거의 비슷한 시기일 것으로 짐작하며, 임진왜란 이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2) 이 책의 편집 내용은, 원문의 순서가 〈월인천강지곡〉 기445부터 기494까지를 먼저 싣고, 다음에 그에 해당하는 〈석보상절〉을 이어 붙였는데, 사이사이에 협주(夾註) 쌍행(雙行) 세문(細文)이 이어지므로, 내용에 맞추어 끊어서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과 협주를 각각 다른 글자 크기로 편집하였다.

(3) 원문은 네모틀에 넣어서 현대문 풀이와 구분하였으며, 원문에 각주 번호를 붙여 쪽마다 밑에 각주를 달아 독자가 참고하기에 편리하도록 조판하였다.

(4) 원문의 동국정운식 표기와 방점은 없애고, 문장에 맞게 띄어쓰기를 하였으며, 원전과 비교하여 찾아보는 데 도움이 되도록 원문의 쪽마다 시작되는 글자 앞에 원문의 장(張)·앞[ㄱ]·뒤[ㄴ]쪽 표시를 아래와 같이 나타냈다.

〈보기〉

제2장 앞쪽이 시작되는 글자 앞에 : … 2ㄱ無量 千歲예 波羅아사세王이 太子 …

제2장 뒤쪽이 시작되는 글자 앞에 : … 2ㄴ第一夫人 本性 긋더시니 懷妊後로 …

(5) 현대역은 옛글과 ‘문법적으로 같은 값어치’의 글이 되도록 직역을 위주로 하였으며, 작은 글씨 2행 협주가 중첩적으로 나타날 때, 첫 번째 협주 부분은 원문에는 없지만 【 】 표시로 구분하였다. 또 【 】 안의 주석 부분은 ≪ ≫, 다시 ≪ ≫ 안의 주석은 ⋘ ⋙으로 표시하였다.

(6) 찾아보기 배열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초성: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ㅱ ㅂ ㅃ ㅲ ㅳ ㅄ ᄢ ᄣ ᄩ ㅸ ㅅ ㅆ ㅺ ㅼ ㅽ ㅿ ㅇ ㆀ ㆁ ㆆ ㅈ ㅉ ㅊ ㅋ ㅌ ㅍ ㅎ ㆅ

② 중성: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ㆉ ㅜ ㅝ ㅞ ㅟ ㅠ ㆌ ㅡ ㅢ ㅣ ㆍ ㆎ

③ 종성: ㄱ ㄴ ᅛ ㄵ ㄶ ㄷ ㄹ ꥤ ꥦ ꥨ ꥩ ㄽ ㅬ ㄾ ㄿ ㅀ ㅭ ㅀ ㅁ ꥯ ꥱ ㅰ ㅂ ㅄ ㅅ ㅺ ㅼ ㅿ ㆁ ㅈ ㅊ ㅋ ㅌ ㅍ ㅎ

월인석보 제22에 대하여

한재영(한신대학교 교수)

〈월인석보 제22〉의 간행 연대는 분명하지는 않다. 희방사, 갑사 무량굴 등에서 복각한 것과 비교하여 거의 비슷한 시기일 것으로 짐작되며, 임진왜란 이전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니 16세기 간행본인 셈이다.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석보는 석가모니불의 연보 즉 그의 일대기라는 뜻이다. 조선 세종 28년(1446) 소헌왕후 심씨가 죽자 세종은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아들인 수양대군(후의 세조)에게 명하여 불교서적을 참고하여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것이 곧 『석보상절』이다. 세종 29년(1447) 세종은 『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곧 『월인천강지곡』이다.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월인석보 제22〉 역시 세조 때 처음으로 간행된 본을 바탕으로, 복각하여 간행한 중간본이며, 1권 1책이다. 사주단변(四周單邊), 반곽(半郭) 21.8cm×18.0cm, 유계(有界), 반엽(半葉) 7행(行) 14자(字)~15자(字), 주쌍행(註雙行), 흑구(黑口),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로 판심제(版心題)는 ‘月印釋譜’이다. 책의 크기는 33.8cm×22.8cm이다. 일견 책의 상태는 첫장부터 마지막장까지 갖추어져 있어 일부 훼손된 마지막장을 제외하고는 완전한 듯이 보이나 24장 이후 낙장이 있으며, 72장부터 108장까지도 낙장이다.

〈월인석보 제22〉의 33ㄴ에 보이는 ‘거늘’이라든가, 37ㄴ에 보이는 ‘너’라든가 46ㄱ의 ‘귀’ 등은 〈월인석보 제22〉가 16세기 중반의 복각본임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먼저 ‘거늘’을 ‘먹거늘’의 잘못이라고 보는 것은 〈월인석보 권22〉가 16세기 중엽의 한 사찰에서 복각된 복각본이어서 군데군데 오각이 보인다는 점을 기억한 판단이다. 이도 그러한 오각 중의 하나로 보는 것이다. 2인칭 복수 대명사인 ‘너’는 〈월인석보 권22〉에 보일 뿐이다. ‘너’를 보이는 다른 자료들은 16세기 자료인 순천김씨묘 출토 간찰이나 번역소학이나 번역노걸대 등에서 찾아볼 수 있어, 현전하는 월인석보 권22가 16세기 중엽에 간행된 책임을 보여주는 하나의 증거라 할 수 있다. ‘귀’의 경우 중세국어에서의 귀[耳]는 거성으로 나타나는 데에 비하여, 여기에서는 평성으로 되어 있다. 복각본인 탓으로 보는 것이다.

여기서 월인석보에 대한 구구한 설명을 줄이고자 하는 까닭은, 월인석보에 관한 많은 논문과 해제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의 논저를 참조하기 바란다.

강규선(1998), 주해 월인석보(권1,2), 보고사.

강순애(2001), 월인석보 권20연구 영인본, 아세아문화사.

강순애(2003), 초참본 『월인석보』 권15에 관한 연구: 그 저경과 구성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25, 서지학회.

고성환(2000), 〈월인천강지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학술진흥재단.

고성환(2000), 〈월인천강지곡〉의 운율성, 텍스트언어학 8, 한국텍스트언어학회.

고영근(1961),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와의 한 비교 : 몇 개의 어형변화를 중심으로, 한글 128, 한글학회.

고영근(1993),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월인석보』 「문헌해제」,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안병희 선생 회갑 기념 논총), 문학과지성사.

고영근(2000), 월인천강지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연구, 학술진흥재단.

고영근(2003),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분석, 집문당.

김동소(2000), 『월인석보』 권19의 국어학적 연구, 국어사연구 1, 국어사자료학회.

김동소(2000), 『월인석보』 권4의 국어학적 연구, 21세기 국어학의 과제(솔미 정광 교수 회갑 기념 논총), 간행위원회.

김문오(1999),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소재 석보상절’의 대조 연구, 어문논총 33, 경북대 국어국문학과.

김문오(2000),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소재 석보상절의 대조 연구: 유의어의 의미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2000 국어사자료학회 제8차 전국학술발표대회, 국어사자료학회.

김문오(2000),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소재 석보상절의 문법형태소 대조 연구, 2000 하계 전국 학술발표 논문집, 언어과학회.

김선효(2001),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분석, 한국 텍스트 과학의 제과제, 역락출판사.

김영근(1994), 월인석보의 수량사 구조에 관한 연구, 어문학 55, 한국어문학회.

김영배(1974), 석보상절 제9와 월인석보 제9, 수련어문논집 2, 부산여대 국어교육과.

김영배(1985), 『월인석보 제22』에 대하여, 한국문학연구 8,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김영배(1985), ≪월인석보 제22≫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93, 국어국문학회.

김영배(1985), 월인석보 제22의 어학적 고찰, 건국어문학 9·10, 건국대 국어국문학연구회.

김영배(1993), 역주 월인석보 제7·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영배(1994), 역주 월인석보 9·1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영배(1999), 역주 월인석보 제11·1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김정남(1995), 중간 『월인석보』 권 21의 이본에 대하여, 국어학논집 2, 태학사.

김진규(1995), 월인청강지곡(상)에 나오는 사어 고찰, 웅진어문학 3, 웅진어문학회.

김진규(1996), 월인천강지곡(上)에 나오는 사어 고찰, 어문연구 89, 한국어문교육연구회.

김차균(1986), 『월인천강지곡』에 나타나는 표기 체계와 음운, 한글 194, 한글학회.

김혜숙(2002), [서평] 이정복 『국어 경어법과 사회언어학』 월인, 2002, 사회언어학 10-2, 한국사회언어학회.

남경란 외(2000), 『월인석보』 권19의 서지 및 『묘법연화경』 언해 권7과의 본문 대조, 국어사연구 1, 국어사자료학회.

남광우(1961), 월인천강지곡 상(上)에 나타난 희귀어에 대하여, 한글 128, 한글학회.

남권희 외(2000), 『월인석보 권19』의 서지 및 『묘법연화경 언해 권7』과의 본문 대조, 국어사연구 1, 국어사자료학회.

남성우(1988), 월인석보 권17과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교육논총 14,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남성우(1993), 『월인석보』의 국어학적 의의, 진단학보 75, 진단학회.

남성우(1994), 『월인석보』의 국어학적 의의, 한국고전 심포지엄-파한집·보한집·용비어천가·월인석보- 제4집, 일조각.

남성우(1996), 『월인석보』 권13과 『법화경언해』의 번역, 한국어문학 7, 한국외대 한국어교육과.

남성우(1996), 『월인석보』 권13과 『법화경 언해』의 동의어 연구, 구결연구 1, 구결학회.

남성우(1997), 『월인석보』 권11과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한국어문학연구 8, 한국외대 한국어문학연구회.

남성우(1998), 『월인석보』 권12와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국어 어휘의 기반과 역사(심재기 선생 회갑 기념 논총), 태학사.

남성우(2001),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동의어 연구, 태학사.

려증동(1990), 「어제월인석보서」날조에 대한 진상규명, 벽사 이우성 선생 정년 퇴직 기념 국어국문학 논총, 간행위원회.

려증동(1991), 『월인석보』 만든 이에 대하여, 배달말교육 9, 배달말교육학회.

민영규(1963), 월인석보 제23 잔권(殘卷) 경(景), 동방학지 6, 연세대 국학연구원.

민영규(1969), 월인석보, 한국의 명저, 현암사.

박금자(2000), 『월인천강지곡』의 간텍스트성 : 『석보상절』과 『석가보』·‘제경’과의 비교, 텍스트언어학 8,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박병채(1986), 월인천강지곡의 찬자에 대한 재론, 서정범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집문당.

박병채(1988), 『월인천강지곡』의 찬자에 대한 재론, 이동림 박사 정년 기념 국어학 연총, 집문당.

박병천(2000), 월인석보의 한글 글꼴 분석과 기초적 개발 방안-월인석보 권 1, 2의 큰 문자를 중심으로, 글꼴 2000, 한국글꼴개발원.

박병천(2002), 『월인석보』 한글 문자의 조형성 고찰 : 『월인석보』 권1·2의 한글 큰 문자를 대상으로,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박순서(1998), 『월인석보』 권 십이와 『법화경언해』의 대비연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창원(2000), 월인천강지곡의 표기와 음운,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사재동(1982), 『월인천강지곡』의 몇 가지 문제, 어문연구 11, 어문연구회.

서은아(1998), 해제 월인천강지곡, 국어사 강독선, 한말연구학회.

손양숙(2004), 『월인석보』 권19와 『법화경언해』 권칠의 동의어 연구,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기중(1994), 『용비어천가』에 등장하는 북방민족어명, 한국고전 심포지엄-파한집·보한집·용비어천가·월인석보- 제4집, 일조각.

신지연(2000), 서사텍스트로서의 월인석보 권8 안락국전의 응집성, 목원국어국문학 6, 목원대 국어국문학과.

신지연(2002),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 출판부.

심재완(1962), 월인석보 제21 이본고, 청구대학 논문집 5집.

안병희(1975),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 규장각 3집.

안병희(1987), 월인석보 권11·12에 대하여, 국어생활 9, 국어연구소.

안병희(1993), 『월인석보』의 편간과 이본, 진단학보 75, 진단학회.

안병희(1994), 『월인석보』의 편간과 이본, 한국고전 심포지엄-파한집·보한집·용비어천가·월인석보- 제4집, 일조각.

안주호(2003), 『석보상절』과 『월인석보』의 진언표기 연구, 한국언어문학 51, 한국언어문학회.

양영희(1999), 『월인석보』와 『석보상절』에 나타난 인물의 위계, 국어국문학 123, 국어국문학회.

여증동(1991), ≪월인석보 권1·2≫라는 불온서적에 대하여, 배달말 16, 배달말학회 .

여증동(1991), ≪월인석보≫ 만든이에 대하여, 모국어교육 9, 모국어교육학회 .

윤석민(2000),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성 : 기85~기92의 응결성과 응집성을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8,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윤석민(2000),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성, 월인천강지곡의 종합적 고찰,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윤석민(2002),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 출판부.

윤석민(2003), 텍스트수정과 텍스트언어학 : 〈월인천강지곡〉 기1~기92를 중심으로, 텍스트언어학 1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이동림(1959), 월인석보와 관계불경의 고찰, 백성욱박사 송수기념 불교학 논문집.

이동림(1972), 월인천강지곡주해, 한국의 사상대전집, 동화출판공사.

이봉규(1995), 『석보상절』 권20과 『월인석보』 권18의 대비연구, 한국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수봉(1984), [해제] 초제본 『월인석보』에 대하여, 호서문화연구 4, 충북대 호서문화연구소.

장태진(1972), 보림사본 『월인석보』 제17에 대하여, 한글 150, 한글학회.

전수태(2002), 한국어의 체언과 조사기술에 대하여, 우리말의 규범생성문법, 월인.

정광(2001), 所謂 佛日寺版 『월인석보』의 玉冊에 대하여 : 그 眞本 여부와 그것이 주는 敎訓을 중심으로, 제28회 공동연구회 발표논문집, 국어학회.

정광(2002), 『월인석보』의 편간 재고, 제12차 국어사 자료학회, 국어사자료학회.

정우영(2002), 월인석보 권20의 어휘연구, 국어국문학 131, 국어국문학회.

조문제(1959), 계룡산(鷄龍山) 갑사(甲寺) 소장(所藏) 「월인석보(月印釋譜)」 권(卷)21 쌍계사(雙溪寺) 판본(板本)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20, 국어국문학회.

조은주(1995), 15세기 국어의 명사구 연구 : 『법화경언해』, 『석보상절』, 『월인석보』를 대비하여, 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의성(2001), 월인석보, 박이정.

조의성(2002), 월인석보 어휘색인, 박이정.

조재관(2000), 월인석보에 나타난 15세기 국어의 사동 연구, 단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흥욱(1994), 『월인천강지곡』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흥욱(1996), 월인천강지곡의 노랫말 구성 방식에 대하여, 문학과 언어의 만남(김완진 교수 정년 퇴임 기념), 신구문화사.

천혜봉(1977), 새로 발견된 초판본(初槧本) 월인석보 권 제7·8, 현대사학의 제문제.

허경(1995), 월인천강지곡의 국어 표기에 대한 고찰, 한국방송통신대 논문집 19, 한국방송통신대.

황경수(1999), 월인석보에 나타난 의존 명사 연구, 언어학 3, 중원언어학회.

이전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