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2
  • 월인천강지곡 기445~기494(50곡)
  • 월인천강지곡 기447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447


其 四百四十七

월인석보 22:2ㄱ

無量 주001)
무량(無量):
한량(限量)이 없음. 무한량(無限量).
千歲예 주002)
천세(千歲)예:
중세국어의 처격 조사에는 ‘-애’, ‘-’가 있었다. 이 두 조사의 관계는 아직 분명하지는 않다. 처격으로 ‘-’를 취하는 명사들은 대체로 정해져 있었으나 동일한 명사가 ‘-’와 ‘-애’를 취한 예도 있다. 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났다.
波羅㮈王 주003)
바라왕(波羅王):
바라내왕(波羅㮈王). 바라내는 석가모니 시대 이전에 갠지스 강 중류의 성도(聖都) 바라나시를 중심으로 존재하였던 나라. 교외에는 녹야원(鹿野苑)이 있었으며 뒤에 고사라국에 병합되었다.
이 太子 求더시니 열두  거늘 第一 第二 夫人이 太子 나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사백사십칠
무량 천세에 바라왕이 태자를 구하시더니
열두 해를 차거늘 제일 제이 부인이 태자를 낳으시니
Ⓒ 역자 | 한재영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량(無量):한량(限量)이 없음. 무한량(無限量).
주002)
천세(千歲)예:중세국어의 처격 조사에는 ‘-애’, ‘-’가 있었다. 이 두 조사의 관계는 아직 분명하지는 않다. 처격으로 ‘-’를 취하는 명사들은 대체로 정해져 있었으나 동일한 명사가 ‘-’와 ‘-애’를 취한 예도 있다. 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났다.
주003)
바라왕(波羅王):바라내왕(波羅㮈王). 바라내는 석가모니 시대 이전에 갠지스 강 중류의 성도(聖都) 바라나시를 중심으로 존재하였던 나라. 교외에는 녹야원(鹿野苑)이 있었으며 뒤에 고사라국에 병합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